|
종지론과 도의 관계
유승종
J. Daesoon Acad. Sci. 1998;6:471-524. https://doi.org/10.25050/jdaos.1998.6.0.11
|
해원상생사상의 현대적 의의
이항녕
J. Daesoon Acad. Sci. 1998;4:1-24. https://doi.org/10.25050/jdaos.1998.4.0.2
|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이경원
J. Daesoon Acad. Sci. 1998;4:541-568. https://doi.org/10.25050/jdaos.1998.4.0.15
|
통일 기반 사상으로서의 해원상생: 남북 분단의 해소와 한민족 통합을 위한 모색
양무목
J. Daesoon Acad. Sci. 1998;4:81-153. https://doi.org/10.25050/jdaos.1998.4.0.4
|
The perception of gods in Daesoonjinrihoe
대순진리회 신관념(神觀念)의 특성
Yong-Bok Yoon
윤용복
J. Daesoon Acad. Sci. 2013;21:1-28. https://doi.org/10.25050/jdaos.2013.21.0.1
|
Haewon-sangsaeng Thought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Kyu-han Bae
배규한
J. Daesoon Acad. Sci. 2018;30:1-57.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1
|
|
대순사상의 우주사적 의의
이항녕
J. Daesoon Acad. Sci. 1996;1:1-35. https://doi.org/10.25050/jdaos.1996.1.0.2
|
해원상생의 실현에 대한 고찰
박용철
J. Daesoon Acad. Sci. 1998;4:209-235. https://doi.org/10.25050/jdaos.1998.4.0.6
|
해원상생의 실천방법에 대한 소고
윤재근
J. Daesoon Acad. Sci. 1998;4:411-445. https://doi.org/10.25050/jdaos.1998.4.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