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1923 | 『보광』창간호 | 人尊은 인류의 吉凶禍福이 모다 자기의 所召에 잇다하야 | 1909년 |
2 | 1975 | 이항녕 | 「사람이 神을 부린다」고 했으니…이것은 인존사상의 극치 | |
3 | 1975 | 신순갑 | 인존사상은 인간존중의 홍익이념이다 | 후천시작 |
4 | 1983 | 조영배 | 인존은 천지신명보다 존귀하며 모든 것을 부릴 수 있다. | |
5 | 1983 | 이일청 | 인간은 우주와 함께 하는 지존의 존재 | 후천시작 |
6 | 1984 | 안종운 | 인존은 우주 섭리를 행사 할 수 있는 대표적인 존재 | 후천시작 |
7 | 1990 | 박팽련 | 地上仙境은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드러내는 인존시대 | 후천시작 |
8 | 1990 | 엄유섭 | ‘신명이 인간의 수종을 든다’ 이것이 인존사상이다. | |
9 | 1991 | 배종호 | 인존사상은 홍익인간 할 것을 목적…증산은 모사의 주인이요. | |
10 | 1993 | 박춘균 | 「인존」의 인간상은 곧 道德君子라고 | 후천시작 |
11 | 1995 | 김탁 | 인간의 본질적 가치가 극적으로 발현되는 시대를 ‘인존시대’ | 후천시작 |
12 | 1996 | 김정태 | 일곱 번째 박팽련의 논리를 답습 | 후천시작 |
13 | 1996 | 윤재근 | 인존의 인간상이 도덕군자, 진인, 신인 | 후천시작 |
14 | 1997 | 고남식 | 인존시대의 도래는 지상에 천국을 이루는 일이 수반 후천세계의 구현은 인존의 세상을 구체화. | 후천시작 |
15 | 1997 | 조태룡 | 신명을 사람에게 봉하는 ‘신봉어인’의 시대가 도래함을 추론 | 후천시작 |
16 | 1997 | 정대진 | 인존은 신인합본의 경지이며 도통이다.(1997)인존시대는 후천선경을 살아가는 인간의 모습(2002) | 후천시작 |
17 | 1998 | 배규한 | 후천선경세계는…인존시대이다. | 후천시작 |
18 | 2001 | 김석한 | 인존은 후천의 세계를 살아가는 인간의 위상을 가리키는 말 | 후천시작 |
19 | 2002 | 윤기봉 | 인존의 인간상은 도덕군자 | 후천시작 |
20 | 2002 | 주현철 | 인존, 도통군자, 지상신선은 같은 존재에 대한 다른 표현이다 | 후천시작 |
21 | 2005 | 이경원 | 인존적 인간상에 두고 있을 때 인간의 모든 행위는 그러한 본질의 자기실현 또는 자기완성을 궁극 목적으로 한다. 이 궁극적 목적을 도통이라 한다 | 후천시작 |
22 | 2005 | 이재호 | 인존은 무한한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미래 인간의 위상 | 후천시작 |
23 | 2007 | 황선명 | 인존의 시대의 후천선경에 | 후천시작 |
24 | 2008 | 유재갑 | 인존은 인간이 신명위에 위치하며 모든 신명을 통제 관장 | 후천시작 |
25 | 2008 | 양무목 | 인존은 초월적 능력을 가진 존재, 이를 도통이라 한다. | 후천시작 |
26 | 2010 | 김승남 | 새로운 인간상은 도덕군자라고 일컫는 인간상이니 이것이 인존 | 후천시작 |
27 | 2011 | 조창섭 | 인간의 가치가 최고도에 도달하게 되며, 이런 상태가 되면 인간이 귀한 존재가 되는 인존의 경지 | 후천시작 |
28 | 2014 | 김항제 | 인성의 원시반본을 인존에 있다고 보았으므로 그 인존의 개념에 해당하는 인간의 신명화를 실현하고 완성하는 것이 도통이 되는 것이다. | 후천시작 |
29 | 2016 | 송하명 | 후천세계는 궁극적으로 인간의 존엄성을 드러내는 인존시대현재가 지존시대에서 인존시대로 넘어가는 과도기 | 후천이전 |
30 | 2016 | 김대현 | 인존은…신적 존재의 참모습이 실현된다, 신적 인식이 발현된다. | 후천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