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현) 정읍시 | 정읍과 타지역 | 선인포전 | 구천(九天)과 정읍 | 구천상제의 강세(降世) | 구천상제의 탄강 / 행록 1-1ㆍ2 |
정읍과 덕천사거리를 가로질러옴 (신작로 만들어짐) | 정읍과 사(四)거리 | 천지대도의 전개지(展開地) | 대덕의 펼쳐짐 / 행록 1-30 |
철도선을 그리고 정읍과 사거리사이에 점을 침 | 정읍(대흥리)으로 감 | 후천(後天)의 시(始)와 본(本) | 선천의 종(終)과 후천의 시(始)ㆍ본(本) / 예시 52 |
2 | 도창현 (구태인) | 도는 도통군자로 창성하리라 | 우물이 젖샘 | 구천상제를 최초 지상에 봉안(奉安)한 곳 | 교단인 무극도장의 건립 / 예시 45 |
3 | 문공신 집 | 물 반바가지를 퍼서 순환 | 종도들 집의 우물 물(水) 교환 | 만국창생 새 생활법 | 후천의 생활원리 / 공사 3-21 |
4 | 안씨 재실 (피란동) | 안씨 재실 우물 | 대가지로 우물 물(水)을 저어 돌림 | 천하의 수기(水氣)를 돌림 | 물기운 풍요롭게 함 / 공사 3-23 |
5 | (현) 김제시 | 동곡 약방 (전주) | 수박에 소주를 넣음 | 수박을 우물에 담금 | 구천상제 화천지(化天地) | 만국의원, 화천 / 행록 5-35 |
6 | 태극 49개 그림, 동도지, 문축을 불사름 | 용(龍)자를 우물에 넣음 | 태극(太極) 원리의 조화 | 용(龍)과 관련된 태극의 운용 / 공사 3-12 |
7 | 김자선의 집 | 구하려 했더니 개가 우물에서 나옴 | 개가 우물에 있다가 나옴 | 강성(姜姓) 강세와 정읍으로부터 천지공사의 홍포 | 김경학의 몽(夢). 원시반본시대 정읍시 고부 강세 / 예시 4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