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3 대순진리회 치성과 조선 후기 유교 제사의 순서 비교

대순진리회 도장 치성 순서 유교 제사 순서
① 진설(陳設)② 일동 정렬 취석면수(取席俛首: 고개를 숙이고 시립함), 분향(焚香)③ 봉헌관(奉獻官) 배례, 타고(打鼓) 15회④ 초헌정저(初獻正箸)⑤ 일동 배례⑥ 아헌정저(亞獻正箸)개기(開器)ㆍ삽시(揷匙: 수저를 메의 중앙에 꽂음)⑦ 봉헌관 배례⑧ 삼헌정저(三獻正箸)⑨ 일동 배례⑩ 일동 부복(俯伏), 고유(告諭), 봉헌관 주문 낭독, 타고 15회⑪ 일동 흥(興)⑫ 일동 법좌(法坐), 태을주ㆍ기도주ㆍ도통주 각 4독(讀), 타고 15회⑬ 일동 흥⑭ 퇴갱(退羹)ㆍ반개(半蓋)⑮ 일동 부복, 유식(侑食)⑯ 일동 흥, 하시(下匙)ㆍ합개(合蓋)⑰ 일동 배례, 예필국궁(禮畢鞠躬)ㆍ퇴(退)⑱ 철상(撤床)ㆍ음복 ① 진설(陳設)② 출주(出主: 사당에서 신주를 모셔옴)③ 참신(參神: 신을 맞이하는 절을 함)④ 강신(降神: 분향하고 술을 올린 후 배례함)⑤ 진찬(進饌: 국과 밥 등을 올림)⑥ 초헌(初獻), 축문 낭독⑦ 아헌(亞獻)⑧ 종헌(終獻)⑨ 유식(侑食: 음식을 권함)⑩ 합문(闔門: 문을 닫고 나가 흠향하기를 기다림)⑪ 계문(啓門: 문을 열고 들어가 국을 내리고 숭늉을 올림)⑫ 수조(受胙: 주인이 제물을 받아 음복함)⑬ 사신(辭神: 신을 보내는 절을 함)⑭ 납주(納主: 신주를 사당으로 다시 모심)⑮ 철(撤: 음식을 물림), 준(餕: 참여자가 음복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