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2 원전의 통근과 투간 내용

통근처 ① 『자평진전』: 오행의 록왕지(祿旺支)와 묘고지(墓庫支)와 여기(餘氣).음간(陰干)의 장생지(長生支)도 통근처로 보았으나 양간(陽干)의 장생지보다는 약하다고 보았음.② 『자평진전평주』, 『자평수언』: 오행의 삼합과 방합. 음양을 함께 묶어 통근처를 살펴 음간의 통근처는 따로 보지 않음.③ 『적천수천미』: 『자평진전평주』와 같음.④ 인성이 곧 통근처는 아님.
통근력 ① 통근 자리에 따른 통근력- 일간: 월지 > 일지 > 시지 > 년지- 다른 천간: 월지 > 앉은자리 > 가까운 자리
② 지지 특성에 따른 통근력- 록왕지, 장생지 > 여기 > 묘고지- 천간 1개의 비견(比肩) < 지지 1개의 묘고지- 천간 2개의 비견 < 지지 1개의 여기- 천간 3개의 비견 < 지지 1개의 록왕지, 장생지- 천간에 같은 오행 수가 많은 것보다 지지에 뿌리를 강하게 내린 것을 더 중요하게 봄.
투간 통근의 상대적 개념.월지의 정기(正氣)가 투간 되었을 때가 가장 좋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