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응연(1992) | 환경에 대응함으로써 나타나게 되는 행동 및 태도, 동기, 경향성, 인생 과정들의 총합, 사람들에게 있어 시간과 상황에 걸쳐 지속되 는 독특한 구조이며, 인성은 어떠한 경험을 하느냐에 따라 크게 변화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 |
이근철(1996) | 좁게는 도덕성, 사회성 및 정서(감정)등을 의미, 넓게는 지ㆍ덕ㆍ체 또는 지ㆍ정ㆍ의를 모두 골고루 갖춘 전인성 |
이윤옥(1998) | 다른 사람애게 주는 그 사람의 전체적인 인상으로 성품, 기질, 개 성, 인격 등 가치개념의 의미를 내포 |
한국교육학회 (1998) | 사람의 마음의 바탕이 어떠하며, 사람된 모습이 어떠하다는 것을 말하는 개념으로 사람의 마음과 사람됨이라는 두 가지 요소로 구성 |
남궁달화 (1999) | 사람의 성품이며, 성품은 성질과 품격, 성질은 마음의 바탕이고 사람됨의 바탕을 가리키는 말 |
조난심(2004) | 인성은 태어나면서 지니고 있는 성격이나 특질의 개념이 아니라, 의도적 교육이나 학습에 의해 습득하거나 변화가 가능한 인간의 성품을 지칭하는 것 |
조연순(2008) | 자신의 내면적 요구와 사회 환경적 필요를 지혜롭게 잘 조화시킴 으로써 세상에 유익함을 미치는 인간의 특성 |
현주 외(2009) | 보다 긍정적이고 건전한 개인의 삶과 사회적 삶을 위한 심리적, 행동적 특성 |
미 교육부 (2007, 2008) | 존중, 공정성, 보살핌 등의 도덕적, 윤리적 가치와 책임감, 신뢰, 시민성 등을 망라하는 개념으로, 개인 또는 집단의 정서적, 지적, 도덕적 자질은 물론 이러한 자질들이 친사회적 행동으로 발현되 는 것을 포함하는 것 |
Lickona & Davidson (2005) | 인성을 도덕적 인성과 행동적 인성으로 구분함. 도덕적 인성은 핵 심 윤리적 가치가 될 수 있는 정직, 정의와 같은 덕목을 의미하 며, 행동적 인성은 인내심, 용기와 같이 옳은 것을 행하지 않도록 유혹하는 상황을 잘 견딜 수 있도록 하는 내적인 강인함을 의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