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8 『전경』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1871~1901년)

『전경』 『공사기』 『전경』 편장절
1 모친의 꿈 1870년 9월 어느 날 밤에 모친 권씨가 꿈을 꾼 것으로 기록 행록 1-9
2 훈장 속셈 파악 → 7세 이후 13세 이전 6세로 기록 행록 1-13
3 김보경의 집에서 어린 시절 지은 한시를 말함 → 을사년(1895)38) /‘불가지 가활만인’에서 한시를 말함(1908년 섣달이후) 8, 9세에 지은 한시(漢詩)39) 행록 3-27, 예시 54
4 객망리에강세 → 1871년 기록 서산리에서 이거(移居), 시루산이 있어서 증산(甑山)이라고 호(號)를 함 → 9세(1879년) 이후 기록 행록 1-5
5 광구천하의 뜻을 세움 → 1895년 동학군이 패멸(敗滅)한 1894년으로 기록 행록 1-25
6 신약전서 소화(燒火) → 1902년 1902년 6월로 정확한 월(月)도 나타남 행록 1-27
7 진묵(震黙)의 일화 → 1902년 이후 시기가 없음 1903년의 기록 행록 1-31
8 나의 사자(使者) 일화 → 1904년 이후 1904년 9월 10일이후 11월 사이의 기록으로 수록됨 행록 1-34
9 붕괴된 오동팔 집을 지어줌 → 1904년 이후 1905년 3월로 기록됨 행록 1-35
10 송시열의 정기 → 1904년 이후 1902년 겨울 행록 1-36
11 천지대도를 열다 → 1901년 5월~7월 5일 1901년 2월~7월. 칠성각 폐문수도 천지대도 대각(大覺). 정씨 부인 의복 일화 없음 행록 2-12
12 정집전 일화 → 1901년 7월 5일 이후부터 1903년 3월 사이의 기록 1904년 6월로 기록됨 행록 2-17
13 삼략(三略)의 글 → 1901년 7월 5일 이후부터 1903년 3월 사이의 기록 1907년의 기록 행록 2-18
14 김도일 요통제생, 금산도득 → 1901년 7월 5일 이후부터 1903년 3월 사이의 기록 1906년의 기록 행록 2-19
15 한시를 바로 외워줌 원신(元神)을 묵운(黙運)하여 한시 두 구가 보이고 그 접구를 생각하니 나머지 두 구가 보인 것으로 기록됨 행록 1-23
16 14, 5세의 행적이 있음
17 1. 이리(익산)에서 복서명리를 보다.2. 충남 공주에서의 일화. 공주에서 지역민들이 강증산에게 공양(供養, 8월 15일 한가위).3. 전주에서 명(命)으로 시험함을 미리 알고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