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7 연월일 표기가 나타난 『전경』과 『공사기』의 구절 및 그 내용(1870~1902년)

『전경』 및 『공사기』 내용 『전경』 편장절 『공사기』 (page)25) 비고
1870 9 모친(母親)의 꿈 행1-9 p.1
1871 9 19 강증산의 강세(降世) 행1-5 p.1
1876 서당 스승의 속뜻을 앎26) 행1-13 pp.1-2 『전경』에는 7세 이후
1877 7세시의 한시(漢詩) 행1-12
1883 모시베를 다시 찾음 행1-14
1884, 5 (주유, 머슴, 벌목 / 14, 5세시) p.2
1887 술주정꾼 신명징벌 행1-18
1894 글방 개설, 한문 가르침 행1-20 p.3
1895 두승산 시회(詩會) 행1-24
1895. 5 유덕안 제생 행1-26
1895. 7 동학군 패멸 예시 행1-23 p.3 『전경』 연도 없음
1902 신약전서 소화(消火) 행1-27, 8 pp.14-15 『공사기』는 6월
1904 일진회 발족 시(時) 행1-33 p.33
1897 서당 재개, 유불선음양참위 행2-1 p.4
1897 8 15 공주에서 소를 잡아 올림 p.5
1900 객망리로 귀향, 면례 행2-7
1900 마을 호구를 맞춤 권1-14 p.6
1901 5 대원사 수도 행2-12 p.7 『공사기』에는 2월로 기록
1901 7 5 천지대도를 열다 행2-12 p.7 『공사기』는 대각(大覺)으로 표현
1901 겨울 9일 동안 천지공사 시작 공1-1 p.7 『공사기』는 9일 없음
1902 1 7 류서구 일화 권1-1 pp.7-8
4 공사, 개벽 공1-2 p.9
4.13 김형렬 부인 산후복통 제생 제5 p.8 형렬 부인 제생
4 김형렬 내알(來謁) 행1-20 p.8 『공사기』는 1894년으로 기록
가을 천하종기를 없앰 공1-8 p.13
4 유불선 글자, 부유(腐儒) 운1-6 p.39
4 명부공사 공1-5 pp.12-13
4 15 심법 운1-4 p.12
7 망량의 사귐 운1-7 pp.15-16
8 미륵불 출세 예86 p.13 추석절
9 보리수확 없음 예시 권1-5 p.13
9 19 심법 수련 마침 권1-4 p.12
송시열 일화 행1-36 p.14
1902 치도령(治道令) 권1-9 p.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