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 1 바리공주를 활용한 문화 정체성 교육 방안

학습목표 1. <바리공주> 서사 구조를 활용한 자기 서사 표현을 해본다.2. <바리공주>에 나타나는 한국 문화를 살펴보고 이를 분석, 평가한다.3. 심층적 이해를 통해 자아정체성을 정립한다.
학습대상 재외동포 중 한국어 5급 이상의 고급 한국어 학습자
학습시간 3차시 / 1차시당 2시간 (총 6시간)
1차시 [도입단계 : 텍스트 제시]1. 장르 파악- 굿 제의 등의 동영상을 활용하여 한국의 무속신앙에 대한 소개- 서사무가와 통과제의적 구조에 관한 설명2. 줄거리 파악- 문법과 어휘에 중점을 두지 않고 내용을 중심으로 읽기 활동- 소그룹 활동을 통해 줄거리를 정리하게 하여 내용 파악을 점검- 교사의 질문에 답하며 주인공 ‘바리’에 대한 이해를 확인예) 바리공주는 왜 업비대왕의 부탁을 들어줬는가?
2차시 [전개단계 : 텍스트의 맥락과 내재된 정서 파악]1. <바리공주>에 내재된 문화요소 학습- 한국의 저승 세계와 죽음에 대한 인식2. 역할극을 통해 인물(바리공주)에 대한 심층이해 유도- 자신이 바리공주라면 어떻게 할지에 대한 대본을 쓰고 토론
3차시 [정리단계 : 배운 지식의 심화와 정리]1. 자신의 출생부터 성장 과정까지의 사건을 정리- 거주국에서 이방인으로 느껴지거나 정체성 갈등이 있었는지 토론2. 바리공주의 선택과 내 인생의 방향성에 대해 이야기3. ‘나’와 관련한 인생의 좌우명과 미래의 다짐을 작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