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 행록 2-15 | 각색의 새와 각종의 짐승, 후천 해원 | 새 / 짐승 | 후천+해원 |
2 | 행록 4-54 | 서당에서 만난 후 죽은 이웃 아이 신[명]의 원한, 해원 | 신명 | |
3 | 공사 1-25 | 촌 양반[상제]과 아전[김광찬]의 화해. 천하 해원 | 천하 | |
4 | 공사 1-32 | 해원시대 | 남녀 | 해원+시대 |
5 | 공사 2-3 | 바둑의 시조 단주(丹朱)의 해원도수, 조선 국운 | 단주 | 해원+도수 |
6 | 공사 2-19 | 역도(逆度) 조정. 동학교도의 원한. 왕후장상의 해원 | 신명 | |
7 | 공사 3-2 | 전명숙과 최수운의 원. 해원 | 전명숙 / 최수운 | |
8 | 공사 3-4 | 단주의 원. 원의 마디와 고. 원의 뿌리. 종자. 해원공사 | 단주 | 해원+공사 |
9 | 공사 3-5 | 지기 통일. 반목쟁투. 해원. 신명조화. 천지도수. 개벽. 선경 | 신명 | |
10 | 공사 3-6 | 단주의 해원 | 단주 | |
11 | 공사 3-17 | 진시황(秦始皇)의 해원 도수 | 진시황 | 해원+도수 |
12 | 공사 3-18 | 중국의 해원 공사 | 중국 | 해원+공사 |
13 | 교운 1-17 | 신인(神人)의 해원 | 신인 | |
14 | 교운 1-20 | 신명 해원시대. 최제우와 김경흔(金京訢) | 신명 | 해원+시대 |
15 | 교운 1-32 | 해원시대. 무당 6명 | ? | 해원+시대 |
16 | 교운 2-18 | 무극대운(无極大運)의 해원상생 대도(大道)의 진리 | ? | 해원+상생 |
17 | 교운 2-32 | 을축년 무극도 창도. 상제. 종지 및 신조와 목적 | ? | 해원+상생 |
18 | 교운 2-35 | 토지 해원. 안면도와 원산도에 간사지(干潟地) 개척 | 토지 | |
19 | 교운 2-41 | 무진년 포유문(布喩文): … 一世之冤至于斯而豈不解冤哉 | ? | |
20 | 교운 2-57 | 도전 박한경. 동학사. 신명 해원(神明解冤)을 위주 | 신명 | 신명+해원 |
21 | 교법 1-9 | 해원시대 | ? | 해원+시대 |
22 | 교법 1-67 | 해원시대 | ? | 해원+시대 |
23 | 교법 2-14 | 각 선령신들이 해원시대. 척신 | 선령신 | 해원+시대 |
24 | 교법 2-15 | 해마를 위주. 복마의 발동을 잘 견디어야 해원 | ? | |
25 | 교법 2-20 | 해원시대. | ? | 해원+시대 |
26 | 교법 3-6 | 만고 역신을 해원 | 역신 | |
27 | 교법 3-15 | 부친이 해를 입은 경석. 복수. 해원시대. | 차경석 | 해원+시대 |
28 | 권지 1-18 | 노름꾼들이 일행의 돈이 빼앗으려 하니 이 일로 해원 | 노름꾼 | |
29 | 권지 2-37 | 진묵(震默)의 원(冤). 해원 | 진묵 | |
30 | 예시 22 | 신농씨(神農氏). 강태공(姜太公). 해원의 때. | 신농 / 강태공 | 해원+때 |
31 | 예시 74 | 임진왜란 때 일본인의 세 가지 한(三恨堂). 해원시대. | 일본인 | 해원+시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