建寧元年 (168) | 正月 | 段熲의 先零羌 토벌 | | |
二月 庚午 | 段熲이 先零羌 토벌 | 逢義山 | |
五月 | 수해, 500여가 파괴 | | |
六月 | 京師 雨水 | 京師(洛陽) | |
夏 | 60여일 비 내림 | | |
七月 | 破羌將軍 段熲이 先零羌 격파 | 涇陽 | |
十二月 | 鮮卑와 濊貊이 幽州와 幷州 2州 침입 | 幽州와 幷州 2州 | |
建寧 2년 (169) | 四月 癸巳 | 大風, 雨雹 | | |
七月 | 破羌將軍 段熲의 先零羌 대파 | 射虎塞 外谷 | “東羌悉平.” |
九月 | 江夏蠻 반란 | 江夏郡 | |
九月 | 丹陽 山越 침입 | 丹陽郡 | |
建寧 3년 (170) | 十月 丁亥 | 濟南賊의 東平陵 공격 | 東平陵 | |
建寧 4년 (171) | 二月 癸卯 | 지진, 해일 | | “河水清” |
三月 | 大疫, 謁者를 보내 醫藥 분배 | | |
五月 | 河東郡 땅 균열, 우박, 물벼락 | 河東郡 | |
冬 | 鮮卑의 幷州 침입 | 并州 | |
熹平元年 (172) | 六月 | 京師 홍수 | 京師(洛陽) | |
夏 | 70여일 동안 霖雨 내림 | | |
十一月 | 會稽 사람 許生이 越王을 자칭하고 반란 일으킴 | 會稽郡 | |
十二月 | 鮮卑의 幷州 침입 | 并州 | |
熹平 2년 (173) | 正月 | 대규모 질병 발생, 사자에게 醫藥 나눠 주도록 함 | | |
六月 | 北海 지진, 北海·東萊 海溢 | 北海·東萊 2郡 | |
六月 | 地震 | | |
十二月 | 鮮卑가 幽州·幷州 2州 침입 | 幽州·幷州 2州 | |
熹平 3년 (174) | | 洛水(雒水) 범람 | 洛水(雒水) | |
十一月 | 揚州刺史 臧旻과 丹陽太守 陳夤이 會稽郡에서 許生 대파, 참함 | | 2년만에 평정 |
十二月 | 鮮卑가 北地郡과 幷州 침입 | 北地郡과 幷州 | |
熹平 4년 (175) | | 7개 郡國 大水 | 7개 郡國 | |
四月 | 延陵園(延陵; 成帝陵) 제사 | 咸陽縣 西 | |
四月 | 鮮卑의 幽州 공격 | 幽州 | |
六月 | 弘農·三輔 벌레 피해 | 弘農·三輔 | |
夏 | 3개 郡國 수해, 秋稼 傷害 | 3개 郡國 | |
熹平 5년 (176) | 六月 | 益州郡 夷 반란, 益州太守 李顒이 평정 | 益州郡 | |
夏 | 가뭄 | | |
| 鮮卑가 幽州 침입 | 幽州 | |
熹平 6년 (177) | 二月 | 南宮의 平成門(南門)과 武庫 東垣屋이 무너짐 | 洛陽 | |
四月 | 대 가뭄, 7州 메뚜기 피해 | 7州 | |
四月 | 鮮卑가 三邊 침입 | | |
夏 | 가뭄 | | |
夏 | 7州 메뚜기떼 피해. 鮮卑의 30여 차례 침입 | 7州, 北邊 | |
八月 | 鮮卑 공격 실패 | | |
十月 辛丑 | 京師 지진 발생 | | |
光和元年 (177) | | 合浦·交阯 烏滸蠻이 반란 | 合浦·交阯 2郡 | |
二月 辛未 | 地震 | | |
| 鮮卑의 酒泉郡 침입 | 酒泉郡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