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남북관계의 대순사상적 접근

박승식1,
1행정학 박사
Corresponding Author : 박승식

ⓒ Copyright 2001,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Jun 21, 2001

목차

  • Ⅰ. 서론

  • Ⅱ. 대순사상의 이해

    • 1. 음양합덕의 의의

    • 2. 해원상생의 의의

  • Ⅲ. 남한의 대북정책

    • 1. 대북정책의 전개

    • 2. 현정부의 대북정책

    • 3. 대북정책의 특징

  • Ⅳ. 북한의 대남정책

    • 1. 대남정책의 변천

    • 2. 김정일의 대남정책

    • 3. 대남정책의 특징

  • Ⅴ. 남북관계와 대순사상

  • Ⅵ. 결론


참고문헌

1.

국가정보원, 김정일의 권력승계과정, http://www.nis.go.kr/.

2.

국방부, “北韓선박의 領海侵犯과 우리 軍의 대응”, http://www.mnd.go.kr/.

3.

국토통일원, 남북한 통일제의 자료총람 제1권 (서울 : 국토통일원, 1985).

4.

김승채, “남북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평화정착과 주변 4강과의 관계”,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0년도 자문건의총람 (서울 :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2000).

5.

김정일, “온 민족이 대단결하여 조국의 자주적 평화통일을 이룩하자”, [중앙방송], 1998. 4. 29..

6.

김용호, “북한의 대외협상 행태분석과 우리의 대북 협상전략 수립방안”, 정책연구시리즈, 1996-05(외교안보연구원), http://www.mofat.go.kr/main/top.html.

7.

김학준, “남ㆍ북한 교류와 정경분리원칙”, 통일문제연구협의회, 국민의 정부 대북정책과 민간통일운동의 진로 (서울 : 통일문제연구협의회, 1999).

8.

盧重善 編, 民族과 統一 : 資料編 (서울 : 사계절출판사, 1985).

9.

盧台俊 譯解, 周易 (서울 : 弘新文化社, 1988).

10.

大巡眞理會敎務部, 대순지침. 서울 : 大巡眞理會 出版部, 1984.

11.

大巡眞理會敎務部, 전경. 서울 : 大巡眞理會 出版部, 1989.

12.

대통령비서실, 박정희 대통령 연설문집 2 (서울 : 대통령비서실, 1973).

13.

대통령비서실, 노태우 대통령 연설문집 1 (서울 :대통령비서실, 1990).

14.

동용승,“남북한 경제교류의 한계와 문제점”, 북한,1998년7월호 (북한연구소).

15.

拙稿, “陰陽合德의 意義와 思想的 價値”, 大巡思想論叢, 제2집 (大巡思想學術院, 1977).

16.

拙稿, “政策硏究의 解冤相生的 接近“, 大巡思想論叢, 제4집 (大巡思想學術院, 1977).

17.

박영호, “김정일 체제의 구조적 성격과 정세인식에서 본 북한의 대남정책”, East Asian Review, 1999년 2권..

18.

박흥석, “한반도 대외환경의 변화와 김대중 정부의 대북정책”, 통일문제연구협의회, 국민의 정부 대북정책과 민간통일운동의 진로 : 통일문제연구협의회 권역별 세미나 (서울 : 통일문제연구협의회, 1999).

19.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2001년도 북한 신년 공동사설 분석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사무처, 2001.1.3), http://www.acdpu.go.kr..

20.

謝松齡, 天人象 : 陰陽五行學說史導論(山東 : 山東文藝出版社, 1989), 김홍경, 신하령 共譯, 음양오행이란 무엇인가 (서울 : 연암출판사,1995).

21.

徐相潤 譯解, 周易 (서울 : 韓國協同出版社, 1983).

22.

신평길, 김정일과 대남공작 (서울 : 북한연구소, 1996).

23.

양호민, “전체주의 1인 독재체제의 확립,” 이상우 외, 북한 40년 (서울 : 을유문화사, 1988).

24.

양호민 외, 남과 북 어떻게 하나가 되나 (서울 : 나남, 1992).

25.

유석렬, 남북한 통일론 (서울 : 법문사, 1994).

26.

유석렬, “남북한 통일정책의 비교와 문제점 및 변화전망”, 정책연구시리즈, 1998-03(외교안보연구원, 1999), http://www.mofat.go.kr.

27.

보연구원, “남북한 통일정책의 비교와 문제점”, www.mofat.go.kr.

28.

이정식, 해방삼십년사 : 제3공화국 (서울 : 성문각, 1976).

29.

이종석, “대북포용정책 18개월, 평가와 과제”, 국가전략, 제5권2호 (세종연구소. 1999).

30.

이종석, “한반도 냉전구조 해체와 대북포용정책”, East Asian Review, 2000년 3권 (북한문제연구소), http://www.koreascope.org.

31.

이홍구, “한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정책기조와 실천방향,” 국토통일원 편, 민족공동체 통일방안의 이론적 기초와 정책방향 : 통일방안논문집 제1집 (서울 : 국토통일원, 1990).

32.

이홍구 외, 분단과 통일 그리고 민족주의 (서울 : 박영사, 1984).

33.

임현진, “남북화해시대 통일운동의 새 패러다임 모색”,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남북화해협력시대 통일운동 전개방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2000년 12월 20일), http://www.acdpu.go.kr.

34.

張秉吉, 大巡宗敎思想 (서울 : 大巡宗敎文化硏究所, 1989).

35.

정규섭, “북한의 체제위기와 안정성 평가”, 정진위 외, 새로운 동북아 질서와 한반도 (서울: 법문사, 1998).

36.

정용석, “진정한 남북화해 이루려면”, 동아일보, 2001년 6월 9일..

37.

조민, “남북통일담론의 변화전망, 국민적 합의 형성과제”, 민주평통통일연구회, 남북화해협력시대 통일운동의 전개방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사무처, 2000. 12. 20).

38.

조선로동당, 남조선혁명과 조국통일에 대한 우리 당의 방침 (평양:조국통일사, 1969).

39.

최주활, “절대로 변할 수 없는 북한의 군사전략에 대하여”, East Asian Review, 1999년 2권..

40.

통일원, 8ㆍ15 대통령 경축사 해설자료 (서울 : 통일원, 1994).

41.

통일부, 2001 통일백서 (서울 : 통일부, 2001).

42.

통일부, “포용정책은 안보와 협력입니다.”, http://www.unikorea.go.kr..

43.

통일부, “평화와 화해.협력을 위한 대북정책과 남북현안에 대한 입장,” (1999. 7. 30).

44.

통일부, 2001 통일백서 (서울 : 통일부 통일정책실, 2001).

45.

통일부 “대북정책 추진 방향 및 중점 과제”, 統一速報, 제2001-1호 (統一部統一政策室, 2001).

46.

통일부, 평화와 협력의 시대로 (서울 : 통일부, 2001).

47.

한승주, 제2공화국과 한국의 민주주의 (서울 : 종로서적, 1983).

48.

허문영, “북한의 대남전략과 무력도발”, 북한관련대책보고서 (서울 : 민족통일연구원, 1994).

49.

Research Center for Peaceful Unification, Korean Unification Sources Material with Introduction (Seoul, 1976).

50.

로동신문.

51.

조선일보.

52.

조선중앙통신.

53.

중앙일보.

54.

한겨레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