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학교 교육과정에서 종교교육의 개념모형 탐색

김귀성1,
Gui-Sung Kim1,
1한국, 원광대학교
Corresponding Author : Kim, Gui-Sung

ⓒ Copyright 2009,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Dec 30, 2004

Abstract

This paper is to inquiry into the conceptual model of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curriculum focused on 7th revised curriculum, subject matter and teacher training system. We have to consider the related variables for the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student, school, teacher. In school curricula of Korea, religious education can be practiced as a elective course of subject, discretion activity and special activity, latent curriculum etc. And also it should be considered student’s right of option and autonomy of private school, because at least those are the important variables effect upon the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curriculum. Now I’d like to abstract results of this paper as followed.

First, it should be considered student’s right of option for religious education in private school curriculum. But at this case, also under the name of education it should be justified precondition of purpose, content, approach method. If not, it easy to access to pejorative meaning as a religious indoctrination.

Second, in case of conflict between student and school, I think that a proper method is to adjust the related variables.

Third, if the purpose of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based on religiosity, it can be cover the understanding of religious culture, affectionate domain of religiosity, behavioral religiosity.

Finally, in order to accomplish such an conceptual model of religious education in school, it should be set a condition for teacher training system, subject matter etc.

Keywords: 종교교육의 개념모형; 학교교육과정; 종교교재개발; 종교교사양성; 제7차 교육과정
Keywords: Conceptual model of religious education; school curriculum; Development of subject matter in religious education; Teacher of religious education training; 7th revised school curriculum

<참고문헌>

1.

강희천, 『한국기독교 학교교육의 현황과 과제』, 부산, 한일 종교교육심포지움 발표문, 2001..

2.

공윤배, 『종교의 자유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2..

3.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교양, 서울, 교육부, 1998..

4.

교육부, 『고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 사회, 서울, 교육부..

5.

교육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서울, 교육부, 1998..

6.

교육부, 『고등학교교육과정(I)』, 서울, 교육부, 1998..

7.

교육인적자원부, 『교원자격검정 실무편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2004..

8.

김귀성, 『한국중등학교에서 종교교육의 현황과 과제』, 『종교교육학연구』 3, 서울, 한국종교교육학회, 1997..

9.

김종서, 『학교 도덕교육에 영향 주는 종교적 변수』, 『교육개발』 14-6,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0, 한국교육개발원..

10.

김종서, 『한국종교교육의 과제와 전망』, 『종교학연구』 20권, 서울, 서울대학교 종교학연구회, 2001..

11.

김형중, 『한국의 초ㆍ중등학교와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3권, 서울, 종교교육학회, 1997..

12.

김철주ㆍ고병철, 『종교교사 양성 및 연수프로그램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1-2, 경기도, 한국교원교육학회, 2004..

13.

박범석, 『교육의 종교성 회복을 위한 통합적 접근』, 동국대학교 박사논문, 2003..

14.

서희정, 『종교교육의 의의와 방향』, 동국대교육대학원 석사논문, 1993..

15.

성낙인, 『종교의 자유와 학교에서의 종교교육』, 『판례실무연구』 (II), 서울, 비교법실무연구회 편, 1998..

16.

손희권, 『국가의 종교학교 지원에 관한 미대법원 판례분석』, 『교육문제연구』 13집, 서울,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00..

17.

손희권, 『사립학교에서의 의무적 종교교육의 헌법적 검토』, 2004 한국교육학회 추계학술대회 교육행정연구회 발표논문, 2004..

18.

손희권, 『한국 학교교육에서의 종교의 자유』, 『교육법학연구』 10, 서울, 한국교육법학회, 1998..

19.

신광철, 『한국에서의 고등학교 종교과목 교육과정의 현황과 과제』, 부산, 한일종교교육심포지움 발표문, 2001..

20.

신상명, 『교원양성체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교육행정학연구』 20집, 서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2..

21.

안병초, 『한국의 가톨릭 학교교육』, 서울, 가톨릭문화원, 1999..

22.

염현철, 『미국공립학교에서의 종교교육 및 활동에 대한 교육법적 검토』, 『교육행정학연구』 20-2, 서울, 한국교육행정학회, 2002..

23.

오승현, 『대한민국의 교원양성체제 현황과 과제』,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acher Training and Appointment System 2004..

24.

오인탁, 『독일의 종교교육과정이론의 최근 동향』, 『교육철학』 8권, 경기도, 교육철학회, 1990..

25.

오태순, 『종교교육 프로그램과 대학생의 신심변화』, 『카톨릭 사회과학연구』 2권, 한국카톨릭 사회과학연구회, 1983..

26.

윤이흠, 『종교다문화속에서 종교교육』, 『종교연구』 2, 서울, 한국종교학회, 1986,.

27.

이경숙, 『종교의 자유에 관한 연구-미국 연방대법원의 판례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003..

28.

이은봉, 『학교에서 종교교육의 필요성』, 『학문과 종교』, 서울, 도서출판 주류..

29.

이일주, 『한국의 교사양성제도 현황과 발전방향』, International Symposium on Teacher Training and Appointment System 2004, 충청남도, 공주대학교, 2004..

30.

이진구, 『종교의 자유에 대한 한국 개신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논문, 1996..

31.

장종철, 『종교다원주의 상황에 있어서 종교교육의 목적 개선에 관한 연구』, 『신학과 세계』 29권, 서울, 감리교신학대학교, 1994,.

32.

정진홍, 『종교교육의 실태』, 『철학 종교사상의 제문제』 제6권, 경기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0..

33.

정진홍, 『제7차교육과정과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13집, 서울, 한국종교교육학회, 2001..

34.

정현숙, 『종교교육의 연구영역』, 『논문집』 8권, 서울, 경희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1992..

35.

조영관, 『가톨릭계 중고등학교의 종교교육』, 『경향잡지』 3월호, 서울,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003..

36.

홍후조, 『선택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에서 과목선택 교과영역선택』, 『교육과정연구』 19-2호, 서울, 한국교육과정학회, 2001..

37.

표시열, 『교육정책과 법』, 서울, 박영사, 2002..

38.

대법원 1989년 9월 26일 선고 87도519 판결(공1989. 1609).

39.

대법원 1992년 12월 22일 선고 92도1742 판결(공1993상, 650).

40.

대법원 1989년 7월 11일 선고 87누1123 판결(공 1989, 1243).

41.

대법원 1992년 7월 14일 선고 91누4737 판결(공 1992, 2420).

42.

(원심판결일자)96년 07월 24일 (원심법원)서울고법 (원심사건번호)95나2938..

44.

加藤西鄕, 『宗敎と敎育』, 東京, 法藏館, 2000..

45.

井上順孝, 『宗敎敎育資料集』, 東京, すずき出版, 1993..

46.

井上順孝, 『宗敎と敎育』 東京, 弘文堂, 1997..

47.

井上順孝, 『敎育のなかの宗敎』, 東京, 新書館, 1998..

48.

K W.Eble, 高橋靖直 譯, 『大學敎育の目的』, 東京, 玉川大學出版部, 1987..

49.

廣瀨卓爾, 『高等敎育大衆化時代における佛敎系大學の課題』 第18回國際佛敎文化學術會議(日本京都, 2003) 發表論文..

50.

安達俊英, 『佛敎系大學における敎育-宗門子弟/一般學生』 第18回國際佛敎文化學術會議 (日本京都, 2003) 發表論文..

51.

齋藤昭俊, 『佛敎敎育の目的』, 『大正大學硏究紀要』 57, 大正大學出版部, 1972..

52.

齋藤昭俊, 『宗敎と敎育理念と現實の乖離のはざまで敎育が負うべき課題』, 『龍谷大論文集』 445, 1995..

53.

齋藤昭俊, 『佛敎敎育における戰前と戰後』, 『印度學佛敎學硏究』 40卷 1號(通卷79號), 日本印度學佛敎學會, 1991..

54.

齋藤昭俊, 『近代における眞言宗の敎育』, 『智山學報』 21, 智山勸學會, 1973..

55.

寺川幽芳, 『私立大學における宗敎敎育の現狀をめぐて』, 『佛敎文化硏究所紀要』 13, 1983..

56.

加藤西鄕, 『現代における宗敎と敎育の問題』, 『龍谷大學論文集』 427號, 1985..

57.

加藤西鄕, 『宗敎と敎育』, 東京, 法藏館, 2000..

58.

小山一乘, 『敎育課程における<宗敎敎育論>と<敎育宗敎論>の對比的措定の覺え書き』, 『佛敎經濟硏究』 20, 駒澤大學 1991..

59.

小山一乘, 『宗敎敎育ㆍ宗敎科敎育』における宗敎の敎育考, 『佛敎經濟硏究』 21, 1992..

60.

林淳, 『近代日本における佛敎學と宗敎學』, 『宗敎硏究』 76-2 (通卷 333), 日本宗敎學會, 2002.

61.

Christoper, Winch “Learning about religion”: The philosophy of human learning, R.KP, 1998..

62.

Edwin Cox and Josephine M.Cairns, Reforming Religious Education, London: Kogan Page, 1989..

63.

Erricker. C and Erricker. J, Reconstructing Religious Spiritual and Moral Education, London: Routledge Falmer, 2000..

64.

Erricker. Jane, “A critical review of religious education”, Reconstructing religious, spiritual and moral Education, NY: Routledge Falmer, 2000..

65.

Gardener. Peter, “Religious upbringing, and Liberal ideal of religious autonomy”,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22, No.1, 1988..

66.

Laura Roanld S. “Philosophical foundations of religious education”, Educational Theory, 28-4, 1978..

67.

Losoto, William F, “Response to Laura: patching up his shaky philosophical foundations for religious education”, Educational Theory, Fall, Vol 29. No. 4., 1979..

68.

Langford. G and O’Connor, “Is religious education possible?”, New essays in the philosophy of education,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73..

69.

McLaughlin.T.H, “Parental right and religious upbringing of children”, Journal of Philosophy of Education Vol. 18, No.1, 1984..

70.

Snook. I. A, “Indoctrination and religion”, Concept of Indoctrination: Philosophical essays, R.K.P 19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