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Koguryo’s Buddhist Relations with Silla in the Sixth Century: Focusing on Koguryo’s Role in Transmitting the State Buddhism of Northern Wei to Silla

Pankaj N. Mohan1,
1Australia, University of Sydney
Corresponding Author : Pankaj N. Mohan

ⓒ Copyright 2009,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Jun 30, 2005

초록

고구려는 지리적인 조건으로 말미암아 삼국 가운데 가장 먼저 불교를 수용할 수 있었으며 5세기부터 7세기사이에 고구려의 불교문화가 백제, 신라와 고대 일본에 전해져 동아시아 전체에 보급되었다. 불교 전래 당시부터 고구려 왕실이 열성적으로 불교를 신봉한 일은 충분히 주목할 가치가 있는데, 왜냐하면 중앙 집권적 국가로 전환을 시도하던 때 마침 불교의 사회적 정치적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불교와 왕권이 상호 관계를 강화하는 쪽으로 힘을 결집시켰는데, 왕실은 불교에 대해서 후한 지원을 아끼지 않았으며, 불교는 전륜성왕, 혹은 우주를 지배하는 자, 미륵 그리고 보살 등 모티브의 상징적 중요성을 통치자에게까지 확대시킴으로써 통치자의 지위를 신성시하는 이념적 기틀을 제공하였던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볼 때 불교를 받아들인 후에 세워진 비문들이 왕명 앞에 聖 자를 붙여 왕의 지위를 신성화하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은 우연의 일치가 아니다. 4세기말 국가 차원에서 불교를 수용한 고구려와 6세기초 법흥왕 당시의 신라는 시대적인 차이가 있으나, 국가 발전의 같은 단계에 서있었기 때문에 이 두 나라의 초기 불교 정책에 많은 유사점을 찾을 수 있다

고구려에서 거칠부와 더불어 신라로 넘어 온 혜량법사가 진흥왕 12년에 처음 개최된 백고좌강회는 《인왕경》에 입각한 것이며, 이 법회가 신라인의 사상적 통합과 진흥왕의 위업을 향상하는 데 기여하였다고 여겨진다. 그리고 진흥왕이 말년에 승복을 입고 법운이라는 법호를 택했는데 여기서 주목할만한 것은 法雲이 《십지경》에서 말하는 보살의 수행 최종 단계 그것에서 따온 것이며, 《십지경》은 이미 고구려에 익히 알려졌을 것이었다.

신라 화랑이 미륵의 현현으로 여겨졌다 함은 일찍부터 지적되어 온 것입니다만 이 논문에서, 그것은 북중국에서 5‐6세기경 유행한 그리고 소미륵으로 간주된 월광동자(月光童子) 신앙이 고구려를 통해 남하여 화랑의 사상적인 바탕이 됐다는 것으로 이해하였다. 그 증거로 《수라비구월광동자경》에 나타난 용어와 고대 한반도의 지명을 들 수 있는데 이 경은 고구려의 仙人 사상 및 신라의 화랑을 간접적으로 직결시킨다는 점도 염두 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신라; 화랑; 미륵; 전륜성왕; 보살; 진흥왕
Keywords: Koguryo; Silla; Buddhism; Inwang Kyong (Benevolent King Sutra); Maitreya; Wolgwang tongja (Candraprabha Kumara); Hwarang

<참고문헌>

1.

『三國史記』.

2.

『三國遺事』.

3.

『海東高僧傳』.

4.

Li Ping, 『魏争前后北魏与高的交』, Contact Between Northern Wei Dynasty and Koguryo Before and After the War, Shanghai shi fan da xue xue kan, 2002..

5.

A. Greenwald, The Relic on the Spear: Historiography and the Saga of Duttagamini, in B.L. Smith (ed.) Religion and Legitimation of Power in Sri Lank, Chambersburg, Pa: Anima, 1978..

6.

A. F. C. Wallace, Religion: An Anthropological View, New York: Random House 1966..

7.

Asanga, Mahayanasutralankara, Editor: Swami Dwarika Das Shastri, Varanasi: Bauddha Bharati, 1985..

8.

C.W. Huntington, Jr. with Geshe Namgyal Wangchen, The Emptiness of Emptiness: An Introduction to Early Indian Madhyamik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89..

9.

Charles Holcomb, The Genesis of East Asia: 221 B.C.‐A.D. 90, Honolulu : University of Hawaii Press, 2000..

10.

Chen Yinke, Chen, Yinke, Sui Tang zhi du yuan yuan lue ka, A preliminary Survey of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Institutions of the Sui and Tang Dynasties, Shanghai: Shanghai shang wu yinshu guan, 1946 (reprint Beijing: Xinhua Shudian), 2001..

11.

Donald H. Shively edited, Tradition and Modernization of Japanese Cultur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71..

12.

David Kertzer, Ritual, Politics, and Power,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1988..

13.

Dorothy C. Wong, Chinese Stele, Honolulu: Hawaii University Press, 2004..

14.

Frederick J. Streng, Understanding Religious Lief, Belmont, California: Wadsworth Publishing company, 1985..

15.

James O. Caswell, Written and Unwritten: A New History of the Buddhist Caves of Yunkan, Vancouver: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Press, 1988..

16.

John Knoblock, Xunzi: A Translation and Study of the Complete Work,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1988..

17.

Maurice Bloch, Ritual, History, and Power: Selected Papers in Anthropolog, London: Atlantic Highlands, NJ: Athlone Press, 1989..

18.

Nalinaksha Dutt, Mahayana Buddhism, Delhi: Motilal Banarasidass, 1973..

19.

Paul Williams, Mahayana Buddhism: The Doctrinal Foundatio, London and New York: Routledge. 1989..

20.

Peng Jiusong and Kim Chae-son, Wonmun Tongyi chon, Seoul: Somun munhwasa, 2000..

21.

Robert E. Buswell, Jr, edited, Introduction In Chinese Buddhist Apocrypha,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0.

22.

Sonda Koryu, Early Buddha Worship, The Cambridge History of Japan, Vol.1 Delmer M. Brow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3..

23.

Wang Jung’s Hymns on the Devotee’s Entrance into the Pure Life, Journal of the American Oriental Societ, 116, 1986..

24.

Seoul Journal of Korean Studies, Maitreya Cult in Early Silla, Seoul: Seoul National University, Vol. 14, 2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