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전경』의 숫자 부호 ‘三’의 의미에 대하여

양옌1,
1사천사범대학ㆍ교수
Corresponding Author : 양옌

ⓒ Copyright 201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31, 2014 ; Accepted: Jul 27, 2014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초록

본 논문은 『전경』에서는 나타나는 숫자 부호 ‘삼(三)’의 의미와 나아가 ‘삼’과 『주역』 그리고 도교 신선신앙과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화의 문화에는 예부터 ‘삼’을 숭상하는 풍속이 있고, 도교문화도 ‘삼’을 숭상한다. 이는 주로 『주역』, 『도덕경』 및 도교 신선신앙과 관련이 있다.

한국문화는 전체적으로 중국문화의 영향을 깊이 받았다. 대순진리회 또한 이러한 배경 하에 있다고 볼 수 있다. 대순진리회에서는 ‘삼’이라는 숫자를 반복해 사용하고 있는데, 어떤 의미에서 이것은 『주역』에 나타나는 부호 상징 사유의 확장된 표현이라 할 것이다. 또한 대순진리회의 교의(敎義)와 부도(符圖)에서도 ‘삼을 숭배하는(尙三)’ 도교 신선신앙의 특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므로 대순진리회에서 볼 수 있는 ‘삼’의 의미는 도교의 영향을 받은 것일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렇게 말하는 것에는 두 가지 이유가 있는데 그 중 하나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대순진리회의 상제와 종도들이 중국의 서적을 이해하고 중시했기 때문이며 대순진리회의 구천상제께서 많은 종교를 통섭하였기 때문이다.

공사(公事) 활동, 부주(符呪) 문건, 상제와 도주의 행적 사료, 신령신앙 등의 내용 곳곳에서 ‘삼’이라는 특별한 숫자에 대한 각별한 관심이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삼’은 생명과 시작을 나타내며 또한 완성과 완결을 의미한다. 대순진리회 신앙의 특징을 보면 그 배후에는 아주 깊은 중국문화의 영향이 있으며, 『주역』사상의 구체적인 표현이고, 도교신선신앙의 흔적이기도 하다. 물론 대순진리회는 자신만의 독창적이 재해석으로 이러한 문화나 사상을 계승하고 발전시켰다. 그렇기 때문에 ‘삼’이라는 숫자의 근원을 탐구하고, ‘삼’이 지니고 있는 철학적 사상을 파헤쳐 그 속의 오묘함을 발견한다면 대순사상의 깊을 뜻을 이해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될 것이다.

Keywords: 전경; 삼; 주역; 도교; 신선신앙; 현무경

참고문헌(References)

1.

大巡宗教文化研究所编, 『典经』, 韩国:大巡真理会出版部, 2010年版。.

2.

大巡宗教文化研究所编, 『大巡指针』, 韩国:大巡真理会出版部, 2010年版。.

3.

『道教符咒』(手抄本)。.

4.

『黄帝阴符经释义』, 西安:三秦出版社, 1993年版。.

5.

[唐]务成子、梁邱子注, 『黄庭经』, 上海:上海古籍出版社, 1990年版。.

6.

[宋]白玉蟾, 『白玉蟾全集』, 『道藏精华』, 台北:自由出版社印行。.

7.

[晋]王弼, 『老子道德经注』, 『诸子集成』第三册, 北京:中华书局, 1954年版。.

8.

[宋]张君房纂辑、蒋力生等校注, 『云笈七籤』卷三, 北京:华夏出版社, 1996年版。.

9.

吉川忠夫等编, 朱越利译, 『真诰校注』, 北京: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6年版。.

10.

蓝吉富主编, 『禅宗全书ㆍ史传部一』, 台北:文殊出版社, 中华民国七十七年版。.

11.

李安宅著, 『藏族宗教史之实地研究』, 上海:上海人民出版社, 2005年版。.

12.

苗力田主编, 徐开来译『亚里士多德全集』第二卷, 『论天』, 北京:中国人民大学出版社, 1991年版。.

13.

皮埃尔ㆍ吉罗著, 怀宇译, 『符号学概论』, 成都:四川人民出版社, 1988年版。.

14.

玄光居士编著, 『闾仙符箓教学课程』, 大汉易经学院发行。.

15.

黄寿祺、张善文, 『周易译注』, 上海古籍出版社, 2004年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