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한국 근대시기 대순사상의 특질: 초민족주의와 근대 및 탈근대 가치를 중심으로

박재현1,
Jae-Hyun Park1,
1성균관대학교ㆍ교수
1Sungkyunkwa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Jae-Hyun Park

ⓒ Copyright 201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31, 2014 ; Accepted: Dec 29, 2014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ABSTRACT

This study's aim is to identify modern and post-modern values and transnationalism embodied in Daesoon Thought and to seek for the new value to overcome irrationality of modern values in this society we live in. Several previous studies discussed about these issues, but most of them studied them on the basis of Korean new religions or Jeungsangyo, or in sociological theory perspective.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Daesoon Thought encompassing ideological perspective as well as historical perspective of Daesoonjinrihoe.

As for nationalism, while Eastern learning(Dong-Hak) is prone to ethnocentricity, Daesoon Thought shows trans-ethnic perspective. As for historical perspectivel, Mugeuikdo, a precursor to Daesoonjinrihoe showed non-relationship with any politics as contrasted with other new korean religious movement at that time.

As for aspects of modern values, 3 perspectives (political system, social system, abolition of premodern values) were discussed.

As for political system perspective, while Eastern learning advocates democratic modernity but accepted monarchy, Jeungsan denied monarchy. And While western political philosophy advocated rationality-based absolute person, Daesoon Thought proposes ideal human who can have political power and do religious indoctrination all together.

As for social system perspective, while western humanism is based on all of he people's equity in front of God, Eastern learning on humans are Heaven (人乃天), Daesoon Thought is based on Injon thought(人尊思想) which encompasses spiritual world, human world and all of the universe. Daesoon Thought also proposes abolition of discrimination by gender, social position.

As for abolition of premodern values, Daesoon Thought critics pre-modern formalism and advocate acceptance of other nations’ culture, pragmatism, and humanism.

As presented above, Daesoon Thought has not only modern values but also aspects of post-modernity and transnationalism. In the future, further studies are needed which tackle these issues and search for new values of Daesoon Thought which can overcome limitation of modern values.

Keywords: Daesoon Thought; Jeungsan; modernity; modernization; Postmodernism; nationalism; Daesoonjinrihoe

참고문헌(References)

1.

대순진리회 교무부,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진리회 교무부,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1984.

3.

이상호, 『대순전경』 7판, 전라북도: 증산교회본부, 1975.

4.

강돈구, 『한국 근대종교와 민족주의』, 서울: 집문당, 1992.

5.

강돈구, 「근대 신종교와 민족주의 I」, 강돈구 외, 『근대성의 형성과 종교지형의 변동 I』,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종교문화연구소, 2005.

6.

강돈구, 「근대 신종교의 민족주의 II」, 강돈구 외,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06.

7.

강돈구, 『종교이론과 한국종교』, 서울: 박문사, 2011.

8.

강영한, 「한국 근대 신종교의 성격과 사회변동: 동학, 증산교, 대종교, 원불교를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4.

9.

고건호, 「동학의 세계관에 나타난 전통과 근대의 변증법」, 강돈구 외,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06.

10.

고남식, 「수운과 증산의 민족주의적 요소 비교」, 『신종교연구』 26, 2012.

11.

권혁범, 『민족주의와 발전의 환상』, 서울: 솔, 2000.

12.

기시모토 히데오(岸本英夫), 『종교학』, 박인재 옮김, 서울: 김영사, 2000.

13.

김태수, 「대순사상의 민족주의적 요소에 대한 재해석」,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2.

14.

노길명, 『한국신흥종교연구』, 서울: 경세원, 1996.

15.

노길명, 『한국사회와 종교운동』, 서울: 빅벨출판사, 1988.

16.

라정원, 「인간과 정치사상 그리고 정치체제」, 촤상용 외, 『인간과 정치사상』, 서울: 인간사랑, 2002.

17.

박광수, 『한국신종교의 사상과 종교문화』, 서울: 집문당, 2012.

18.

박승길, 「한 일 근대초기 신종교운동과 구체제변혁의 논리구조」, 경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19.

박원용, 「한국 신종교의 민족주의 사상에 관한 연구-천도교, 증산교, 원불교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0.

20.

윤기봉, 「증산사상에서의 근대성 해석 문제-계급제도의 붕괴와 부의 재분배를 중심으로」, 『신종교연구』 34, 2010.

21.

윤사순, 「조선조 성리학의 사회사상」, 『한국의 사회사상』, 서울: 한길사, 1987.

22.

윤승용, 「사회변동에 대한 종교의 반응형태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2.

23.

이경원, 「대순진리의 근대성과 변혁사상」, 『동학학보』 10, 2005.

24.

이경원, 「한국 근대 증산교단의 민중ㆍ민족운동-개항기부터 해방이전의 시기를 중심으로」,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52, 2012.

25.

이항녕, 「대순사상의 우주사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1, 1996.

26.

임현진, 「사회과학에서의 근대성 논의」 『한국의 근대와 근대성비판 역사문제연구소편』, 서울: 역사비평사, 1996.

27.

정영훈, 「삼일운동과 단군민족주의」, 『동양정치사상사』 11, 2012.

28.

조현범, 「'종교와 근대성' 연구의 성과와 과제」, 강돈구 외, 『근대 한국 종교문화의 재구성』,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06.

29.

주영하, 「조선총독부의 의례준칙 발령과 풍속교화 정책」, 강돈구 외, 『근대 한국종교문화의 재구성』,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2.

30.

하종필, 「증산 강일순의 정치사상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16, 2007.

31.

함재봉, 『탈근대와 유교-한국정치담론의 모색』, 서울: 나남출판, 1998.

32.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서울: 국학자료원, 2006.

33.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15.

34.

위키백과, Available: http://ko.wikipedia.org/wik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