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대순진리회 수행 연구의 경향과 과제

차선근1,
Seon-Keun Cha1,
1대순종교문화연구소ㆍ연구위원
1Daesoon Institute of Religion & Culture
Corresponding Author : Seon-Keun Cha

ⓒ Copyright 201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31, 2014 ; Accepted: Dec 29, 2014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ABSTRACT

This paper was carried out to bring the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which have been at a standstill after analyzing the directions of studies on Cultivation Practice and diagnosing its problems, in addition to that, the paper was also conducted in a way of discussing the research directions in the future. This work enables scholars who have interests in Daesoon Thoughts to easily comprehend over the length and breadth of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as well as help them understand what level of researches regarding Cultivation Practice has been demanded. Furthermore, this paper will be a step-stone for scholars to ponder how and on what perspective they approach a wide variety of studies on Daesoon Thoughts.

The problems reflected on the previous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except a few researches in general, problem recognition, research target, style, method, and content are not diverged from the frame defined by Jang Byeong-Gil, who set it up in Daesoon Religion and Thought (Daesoon Jonggyo Sasang) in 1989. Proliferating overlapped researches without developing problem awareness is of great concern. And such researching climate has gradually set in. Secondly, there are numerous researches intending to reveal the researcher’s forceful attitude implying faith. Thirdly,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es neglect to focus on defining the range of researches. Fourthly, when defining concepts, more thorough insight is needed. Lastly, the researches on analysing symbols and attempting signification analysis are relatively few, only to find many errors.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suggests to develop theories which back up Cultivation Practice by researching on the fields of theory of mind-nature(心性), theory of mind-qi(心氣), theory of pain, Religious Ethics, viewpoint of God/gods, and psychology. Secondly, all the symbols and meanings of elements shown in Cultivation Practice need analyzing more elaborately sophisticatedly and more in-depth. In order to fulfil this goal, by adapting the recent trends of historical studies, it is essential to attempt to engraft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on cultural phenomena, to analyze thick layers of meanings beneath its surface, to interpret differently, utilizing various perspectives such as focusing on the gender problems, and to extract true meanings out of Cultivation Practice by analyzing everyday events which can occur in real cultivation practices. Thirdly, the terms and concepts regarding Cultivation Practice base the principle themselves. Fourthly, by utilizing methodology of comparative studies on religions, the comparative researches on cultivation practice of different religious traditions are also needed. Lastly, the history of aspects on Cultivation Practice such as transition of mantras, processes which have been conducted through proprieties of prayer and training should be collected and classified. In this context, this work is very important since it helps understand the aspects of transition of originality and characteristics in Cultivation Practice of Daesoonjinrihoe according to passage of time.

Keywords: Cultivation Practice; history of research; research map; symbol; comparison; Beopbae(法拜: Four Sets of Bows); Tae-eul Mantra(太乙呪); mantra; meta analysis

참고문헌(References)

1.

『대순진리회요람』,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69.

2.

『대순회보』 4, 1986.

3.

『玉樞寶經』 「道以誠八章」, 보현사 판본, 1733.

4.

『전경』, 서울: 대순진리회 교무부, 1974.

5.

강돈구, 「종교심리학의 경향과 과제」, 『종교학연구』 10, 1991.

6.

강돈구, 「현대 종교이론의 쟁점」, 『종교학연구』 11, 1992.

7.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종교교육」, 『종교연구』 62, 2011.

8.

강돈구, 「대순진리회의 신관과 의례」, 『종교연구』 73, 2013.

9.

김방룡, 「남종선과 북종선의 관점에서 본 원불교의 마음과 수행법」, 『신종교연구』 26, 2006.

10.

고병철, 「대순진리회의 전개와 특징」, 『한국 종교교단 연구Ⅱ』, 성남: 한국학중앙연구원, 2007.

11.

김낙필, 「도교수행론에서의 心과 氣」, 『도교문화연구』 33, 2010.

12.

김석한, 「대순사상에 나타난 인간주체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5, 2001.

13.

김영주, 「증산 수양론에 있어서 욕망 해석의 문제」, 『종교문화연구』 18, 2012.

14.

김영주, 「대순진리회 마음공부 프로그램의 현황과 과제」, 『종교교육학연구』 43, 2013.

15.

김윤성, 「종교와 젠더 논의의 국면 전환과 전망-포스트구조주의와 탈식민주의의 효과를 중심으로」, 『종교문화연구』 8, 2006.

16.

김의성, 「대순사상의 윤리관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1.

17.

김정태,「해원상생의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포덕ㆍ교화를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4, 1998.

18.

김종서, 「현대 신종교 연구의 이론적 문제」, 철학ㆍ종교연구실 편집, 『현대 신종교의 이해』,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94.

19.

니니안 스마트, 『종교와 세계관』, 김윤성 옮김, 서울: 이학사, 2006.

20.

대순종학 교재연구회, 『대순사상의 이해』, 포천: 대진대학교 출판부, 1998.

21.

대순진리회 연구위원회 편집, 『대순논집』,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92.

22.

류성민, 「종교와 도덕의 관계-종교윤리학 방법론의 기초」, 『종교연구』 24, 2001.

23.

류성민, 「'천지공사'의 종교윤리적 의미에 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23, 2014.

24.

문화체육부 엮음, 『한국종교의 의식과 예절』, 서울: 화산문화, 1996.

25.

박상규,「대순진리회 조직의 특성」,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종교연구소 엮음, 『한국 종교교단의 조직』,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3.

26.

박용철, 「도통진경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5, 1998.

27.

박인규, 「한국 불교 진언과 대순진리회 주문의 비교 연구」, 『대순사상논총』 22, 2014.

28.

백경언, 「대순진리회 교화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2.

29.

신진식, 「내단학의 성명쌍수 사상의 현대적 의의」, 『도교문화연구』 27, 2007.

30.

M.엘리아데, 『종교, 신성, 예술』, 박규태 옮김, 서울: 서광사, 1991.

31.

이부영, 「종교현상의 분석심리학적 접근」, 『종교학의 이해』 김승혜 엮음, 칠곡: 분도출판사, 2007.

32.

장병길, 『증산종교사상』,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1976.

33.

장병길, 『대순진리강화Ⅱ』,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34.

장병길, 『대순종교사상』,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35.

정지윤, 「대순진리회 수행의 실제」, 『신종교연구』 30, 2014.

36.

조용기, 「대순사상의 수양론 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1.

37.

조태룡, 「신인조화를 통해 본 수도의 의미」, 『대순사상논총』 3, 1997.

38.

조한욱, 『문화로 보면 역사가 달라진다』, 서울: 책세상, 2006.

39.

진정애, 「기성종교와 대순진리회의 심론 비교 연구」, 『대순회보』 72, 2007.

40.

진정애, 「대순진리회의 치성의례와 그 상징성에 대한 연구」, 『대순회보』 91, 2009.

41.

안영상, 「本然之性ㆍ氣質之性-인간성의 두 측면」, 한국사상사연구회 엮음, 『조선유학의 개념들』, 서울: 예문서원, 2002.

42.

윤기봉, 「대순사상의 수양론에 관한 연구」, 『철학ㆍ사상ㆍ문화』 5, 동국대학교 동서사상연구소, 2007.

43.

윤기봉, 「대순사상의 도통관에 있어서 실천수행의 문제」, 『종교교육학연구』 38, 2012.

44.

윤승용, 「신종교 의례의 현황과 특성」, 『한국종교』 23, 1998.

45.

윤재근, 「다종교사회에 있어서 대순진리회와 종교교육」, 『종교교육학연구』 8, 1999.

46.

이경원, 「대순사상의 수양론 연구」, 『한국종교사연구』 8, 2000.

47.

이경원, 「성ㆍ경ㆍ신과 대순수양론 연구」, 『대순사상논총』 12, 2001.

48.

이경원, 「대순진리회 기도의례의 종교적 상징성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19, 2008.

49.

이경원, 「대순진리회 치성의례의 종교적 특질에 관한 연구」, 『신종교연구』 20, 2009.

50.

이경원, 「대순사상 연구의 현황과 전망」, 『대순사상논총』 20, 2009.

51.

이경원, 『대순종학원론』, 서울: 문사철, 2013.

52.

이재호, 「대순진리회 수행의 이론과 실제」, 『신종교연구』 13, 2005.

53.

정재식, 「학문과 신앙-두 영역의 만남」, 『인문과학』 54, 1985.

54.

차선근, 「근대 한국의 신선 관념 변용」, 『종교연구』 62, 2011.

55.

차선근, 「수운과 증산의 종교사상 비교 연구」, 『종교연구』 69, 2012.

56.

차선근, 「대순진리회의 현재와 미래」, 한국학중앙연구원 문화와종교연구소 엮음, 『한국 종교의 확산 전략』, 파주: 한국학술정보, 2012.

57.

차선근, 「현대사회와 무속의례-해원상생굿의 출현과 그 의미를 중심으로」, 『종교연구』 72, 2013.

58.

차선근, 「대순진리회 상제관 연구서설(Ⅰ)-최고신에 대한 표현들과 그 의미들을 중심으로」, 『대순사상논총』 21, 2013.

59.

차선근, 「중국 초기 민간도교와 대순진리회의 종교윤리 비교연구-승부(承負)와 척(慼)을 중심으로」, 『2014東亞道文化硏討會』, 북경대학교 발표집, 2014.

60.

한수진, 「대순진리회의 종교적 규범에 관한 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