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Article

대순사상의 태극에 관한 연구: 주자의 태극과 비교를 중심으로

최치봉1,
Chi-Bong Choi1,
1대진대학교ㆍ박사과정
1Daejin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 Chi-Bong Choi

ⓒ Copyright 201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May 31, 2014 ; Accepted: Jul 27, 2014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ABSTRACT

This thesis strives to identify the peculiarities of Taegeuk (the yin-yang) and the relationships of Ri (reason/cause), Ki (Energy) and Do (duty). The Taegeuk is related with the Sangjekwan (highest ruling entity), Rikiron (noble theory) and the Boncheron (ontology) of the Daesoon Sasang (Daesoon Thoughts) which therefore is a priority research topic. Although said, due to the lack of original materials and the difficulty to understand the topic, the research is insignificant. Within chapter Ⅱ of this thesis, the concept of the Taegeuk, the Rigi and Do from the perspective of Juja is observed. In chapter Ⅲ, the relationship of Moogeuk and the Taegeuk which is mentioned in the foundation origin of the Daesoonjinrihoe. In addition, the Taegeuk and Eumyang’s noble perspectives are observed through the comparison of Juja and Daesoon Sasang. In chapter Ⅳ, the aspects of Taegeuk’s supervision is observed through the noumenality of the Taegeuk which is shown in the Daesoon Sasang along with the concept of mythology.

Within the overall context, the Daesoon Sasang’s ontology has similar structures with Juja’s Taegeuk. This can be stated that Jojeongsan who had found the system of doctrine had not acknowledged Juja’s theories but have rather interpreted Kangjeungsan’s ontology in a Neo-Confucianism to better let the people understand. This can be observed as expediential teachings. The metaphysical Ri and the physical Ki’s separation, and the relationship of matters and functions of the Taegeuk and Do can be stated to be similar within an overall outline in the aspect of the Rikiron. The Taegeuk becomes the primary figure whilst explaining Daesoon Sasang’s Ri/Ki/Do and also becomes the Soiyeon (such reasons). Extreme Do is drawn from the Taegeuk and as Do resembles the trend of the Taegeuk, it is referred as the origin of all the things in the universe. However, Juja vigorously tried to witness God’s notions in a principled, atheistic way. However, the main principle is regarded as divine in the aspect of the universe’s functions and effects in the Daesoon Sasang. The personal Sangjekwan which embodies these profound and mysterious Taegeuk, is Daesoon Sasang’s peculiarity which cannot be found in Neo-Confucianism. Therefore, in the Daesoon Sasang, both the order and character are being regarded in the ontology through personal divine.

Keywords: Daesoonjinrihoe; Juja(朱子); Taegeuk(太極); Moogeuk (無極); Ri(理); Ki(氣); Do(道); ontology; Sangjekwan

참고문헌(References)

1.

『典經』.

2.

『大巡指針』.

3.

『大巡眞理會要覽』.

4.

『大巡典經』 3版.

5.

『東經大全』.

6.

『無極大道敎槪況』, 대순종교문화연구소 역, 일본학습원대학 동양문화연구소, 1925.

7.

『周易』.

8.

『朱子大全』.

9.

『朱子語類』.

10.

『朱子全書』.

11.

『朱熹集』.

12.

『太極圖說解』.

13.

『太極道說』.

14.

『太極道通鑑』, 부산: 태극도, 1956.

15.

『太極解義』.

16.

고남식, 「理定心法과 修心의 궁극정 性向」, 『대순사상논총』 13, 2001.

17.

대순진리회 교무부, 『종단 대순진리회』, 서울: 대순진리회 출판부, 1978.

18.

대순진리회 교무부, 「천리(天理)와 인사(人事)의 합일성(合一性)」, 『대순회보』 150, 2013.

19.

대순진리회 교무부, 「상생의 법리」, 『대순회보』 153, 2014.

20.

김경재, 『이름 없는 하느님』, 서울: 삼인, 2010.

21.

김경호, 『동양적 사유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파주: 글항아리, 2012.

22.

김영식, 『주희의 자연철학』, 서울: 예문서원, 2006.

23.

김치완, 「천ㆍ상제론과 리기론을 중심으로 본 다산 인간관의 기초」, 『대동철학』 34, 2006.

24.

남상호, 「중국철학의 본체론」, 『동서철학연구』 41, 2006.

25.

류정동, 「정ㆍ주의 태극론」, 한국동양철학회 엮음,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26.

몽배원, 『성리학의 개념들』, 홍원식 외 3명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8.

27.

무라야마 지준(村山智順), 『조선의 유사종교』, 최길성ㆍ장사언 역, 대구: 계명대학교출판부, 1991.

28.

민중서림 편집국, 『한한대자전』, 경기파주: 민중서림, 2009.

29.

박재현, 「대순사상에서의 무극과 태극 그리고 대순의 의미 고찰」, 『대순사상논총』 22, 2014.

30.

안은수, 『주희의 자연관 형성의 두 원천』, 서울: 문사철, 2010.

31.

오하마 아키라, 『범주로 보는 주자학』, 이형성 옮김, 서울: 예문서원, 1997.

32.

왕쭝위, 「대순사상의 종교 문화 조화정신」, 『대순사상논총』 22, 2014.

33.

윤기봉, 「신인조화의 종교적 이해」, 『대순사상논총』 3, 1997.

34.

윤사순, 「동양 본체론의 의미」, 한국동양철학회 엮음, 『동양철학의 본체론과 인성론』, 서울: 연세대학교 출판부, 1994.

35.

이경원, 『대순종학원론』, 서울: 문사철, 2013.

36.

이동희, 『조선조 주자학의 철학적 사유와 쟁점』, 서울: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08.

37.

이동희, 『동아시아 세계관의 원천 주자』, 서울: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0.

38.

이상옥, 「현대 중국 본체론 논쟁의 의미」, 『대동철학』 37, 2006.

39.

이현중,「한국 성리학과 중국 성리학의 비교연구-주자와 퇴계의 리기ㆍ심성론을 중심으로」, 『범한철학』 18, 1998.

40.

임헌규, 「주ㆍ육태극논변과 형이상학」, 『한국철학논집』 17, 2005.

41.

장복동, 「다산 윤리사상의 인간학적 특질」,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42.

장입문, 『도』, 권호 역, 서울: 동문선, 1995.

43.

장입문, 『기의 철학』, 김교빈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12.

44.

장입문, 『리의 철학』, 안유경 옮김, 서울: 예문서원, 2004.

45.

장윤수, 『정주철학원론』, 서울: 이론과 실천, 1992.

46.

장원석, 「주역에서 시간이란 무엇인가?-화이트헤드의 시간의 획기성 이론과 비교하여」, 『화이트헤드연구』 3, 2000.

47.

정병석, 「태극 개념 형성의 연원적 배경과 해석」, 『철학』 88, 2006.

48.

정상봉, 「주자형이상학의 심층구조-태극에 대한 이해」, 『한국 철학논집』 33, 2012.

49.

주광호, 「주희 태극론의 '생성'의 원리」, 『철학연구』 98, 대학철학회, 2006.

50.

주광호, 「주희와 육구연의 '무극태극' 논쟁」, 『철학연구』 36, 고려대학교 철학연구소, 2008.

51.

차선근, 「종단 대순진리회의 변천 과정과 무극 태극의 관계」, 『대순회보』 94, 2009.

52.

차선근, 「정역사상과 대순사상의 비교연구」, 『종교연구』 60, 2010.

53.

차선근, 「대순진리회와 감천 태극도장의 사상 비교」, 『대순회보』 109, 2010.

54.

최동희ㆍ이경원,『대순진리의 신앙과 목적』,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2000.

55.

최영진, 「대순사상의 역학적 조명」, 『대순사상논총』 20, 2014.

56.

최진덕, 「주자학의 이기론과 귀신론」, 『양명학』 23, 2009.

57.

최치봉, 「대순사상의 신관연구」, 대진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58.

한국철학사상연구회, 『철학대사전』, 서울: 동녘, 1997.

59.

한형조, 「주희 형이상학의 구조와 문제」,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엮음, 『형이상에 대한 동서양의 철학적 접근』, 서울: 정아, 1998.

60.

후외려, 『송명이학사2』, 박완식 옮김, 서울: 이론과실천, 19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