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대순사상의 종교 문화 조화정신

왕쭝위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북경대학ㆍ교수
Corresponding Author : 왕쭝위

ⓒ Copyright 2014,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Aug 31, 2013; Accepted: Mar 09, 2014

Published Online: Jun 01, 2017

초록

한국은 백 년 이래로 군사적 침략과 경제적 대변혁을 맞았으며, 또한 종교와 문화적 측면에서 전통의 중흥기와 서학의 유입에 대한 문제를 경험하게 되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역사적 경험은 주변 국가의 국민들이 배울 만한 의미가 있다고 생각된다. 이와 연관하여 대순진리회가 역사를 계승하고 창신을 이루어나가는 측면의 문제는 정리해볼 만한 가치가 있다.

대순진리회의 종지는 ‘음양합덕, 신인조화, 해원상생, 도통진경’이다. 특히 대순진리회는 해원상생 사상으로 조화정신을 집중적으로 잘 나타내고 있다. 대순진리회의 해원은 고대 단주로부터의 원을 푸는 것에서 시작되며, 인류가 근본적으로 여러 세대에 걸친 원한을 풀어야만 행복하고 안락한 시대에 진입할 수 있다는 역사관을 보여주고 있다. 대순진리회가 해원을 푸는 방책으로 제시하는 상생은 당시의 갑오동학혁명이나 역사상 많은 종교에서 원한을 해결하는 방법과 구별되는 것이다. 과거에 있어서는 상극의 방법으로 원한을 해결하여 왔으나, 상극의 방식은 오히려 새로운 원한을 더욱 만들어 낼 수 있기 때문에, 현대에 있어 원한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은 악을 선으로써 대하는 것이라고 한다. 증산 성사 및 그 후학들은 사회의 질서를 새롭게 세우는 문제와 전통사회에서 인간 간의 조화를 방해하고 원한을 용인하는 구습을 개조하고 원을 소멸하는 문제에 주의를 기울였다. 이러한 변혁은 평등의 관념을 나타내고 있다.

증산께서는 전 세계적인 관점에서 민족과 국가 그리고 종교 간의 조화를 실현해야 할 것을 강조하셨다. 당시 동아시아 국가는 매우 폐쇄적인 상황에서 서양 국가의 침략을 받던 시기였는데, 증산 성사께서 미래의 세계는 마땅히 화합을 이루고 서로의 장점을 배우는 세계가 될 것임을 예견하셨다는 것은 그의 위대함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증산의 후천개벽사상 역시 조화의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 후천개벽사상은 전통적 참위를 현대적으로 개조한 것으로 민중을 적극적으로 인도하기 위한 것이다.

다음으로, 증산께서는 각 종교에 대해 관용적인 태도를 표하셨고, 또한 매우 진지한 태도로 타 종교로부터 자신이 주창하는 사상과 관련한 자원을 흡수하셨다. 동양의 전통적인 유불선 삼교를 가장 중요한 종교와 문화 형태로 인정하시고, 그 삼교의 내용을 두로 포용하셨으며, 심지어 예수교와 서양문화까지 모두 아우르는 태도를 보여주셨다. 서양의 문화 역시 증산께서 추구하시는 신세계의 한 부분이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실은 증산께서 당시 세계의 역사적 방향에 대해 통찰하고 있었고 이 통찰 속에서 종교 간의 관계가 조화롭게 되어야 함을 주창했음을 말해 준다.

대순사상에는 민간 무교의 내용 역시 풍부하게 들어있다. 부뚜막신, 사명, 아표신, 마장군, 백의군왕, 황천신 등 민간에서 유행했던 다양한 신령 숭배의 내용을 흡수했을 뿐만 아니라, 주문과 부를 태우는 법술로 신명과 관련된 내용을 표현하고 있으며, 칠성과 관우의 신앙까지 수용하고 있다.

또한 증산 성사는 동학과 같은 신종교까지 받아들이셨다. 증산께서는 동학혁명의 비참한 최후를 완화시켰던 위대한 역사적 공적을 이루셨으며, 신종교 운동의 사회적 형태를 변화시켰을 뿐 아니라, 서로 다른 내력을 지닌 교도들간의 관계를 조화롭게 하였다.

이로 볼 때 결국 증산께서 주창한 대순사상은 사람들 간의 충돌과 모순을 소멸시키고, 조화와 상생의 사회 환경을 창조하고자 하는 것이었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대순사상; 상생; 조화정신; 증산; 신종교

참고문헌(References)

1.

『전경』, 대순진리회 교무부.

2.

『대순지침』, 대순진리회 교무부.

3.

『대순진리회요람』, 대순진리회 교무부.

4.

『주역』.

5.

김태수, 「천지공사에 나타난 의례적 성격연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6.

김홍철, 『증산교사상연구』, 익산: 원광대학교 출판국, 2000.

7.

노길명, 『한국의 신흥종교』, 대구: 가톨릭신문사, 1988.

8.

박상래, 『한민족의 진로인 증산교좌표』, 서울: 경인출판사, 1986.

9.

배용덕, 임영창 공저, 『증산신학개론』, 서울: 증산사상연구회, 1982.

10.

염미양, 「증산의 신비체험과 천지공사」, 대진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2.

11.

유병덕, 『한국신흥종교』, 서울: 시인사, 1986.

12.

이강오, 『한국신흥종교총감』, 서울: 한국신흥종교연구소, 1992.

13.

이경원, 『대순진리회 신앙론』,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2012.

14.

이상호, 『대순전경』, 상생사, 1929.

15.

이정립, 『대순철학』, 서울: 증산교본부, 1947.

16.

장병길, 『천지공사론』, 서울: 대순종교문화연구소, 1989.

17.

홍 우, 『동학입문』, 서울: 일조각, 1974.

18.

郭沫若, 『儒道天論發微』.

19.

郭沫若, 『靑銅時代』, 臺北: 文治出版社, 19451. 『典经』, 韩国:大巡真理会出版部, 2010年版。.

20.

『遁甲演义』,文渊阁四库全书本。.

21.

『漫塘集』, 文渊阁四库全书本。.

22.

『汉书』, 中华书局标点本.

23.

金一权, 「朝鲜后期关圣教的敬信修行论」, 『韩国研究论丛』 第22辑, 世界知识出版社, 2010年版。.

24.

金勋, 『韩国新宗教的源流与嬗变』, 北京:宗教文化出版社, 2006年版。.

25.

金勋 主编, 『道与东方文化』, 北京:宗教文化出版社, 2012年版。.

26.

吕春燕、赵岩, 『韩国的信仰和民俗』, 北京:北京大学出版社, 2010年版。.

27.

卢吉明 等, 『韩国民族宗教运动史』, 北京 :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9年版。.

28.

卢晓衡 编, 『关羽、关公和关圣』, 社会科学文献出版社, 2002年版。.

29.

李能和, 『朝鲜道教史』, 韩国:普成文化社出版, 1977年版。.

30.

李元淳, 『朝鲜西学史研究』, 北京 :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1年版。.

31.

马西沙, 『中国民间宗教简史』, 上海 : 上海人民出版社, 2005年版。.

32.

王宗昱 译, 中文本『老子和李弘』, 『国际汉学』第11辑, 大象出版社, 2004年版。.

33.

王宗昱, 「清代汉中地区的全真道」, 『丘处机与全真道』, 中国文史出版社, 2008年版。.

34.

王春来, 『基督教在近代韩国』, 北京 :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0年版。.

35.

周努鲁,「关羽信仰研究的回顾与探讨」, 中国人民大学 刊, 『宗教研究』, 北京:宗教文化出版社, 2012年版。.

36.

朱伯崑, 『易学哲学史』, 上册、中册, 北京大学出版社, 1986、1988年版。.

37.

兴亚院政务部 编, 『北支に於ける文教の現状』, 兴亚院华北联络部, 1941年版。.

38.

兴亚宗教协会, 『华北宗教年鉴』, 兴亚院华北联络部, 1941年版。.

39.

『韩国民族宗教运动史』, 中国社会科学出版社, 2009年版。.

40.

Stephen Bokenkamp, Early Daoist Scriptures,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1997.

41.

The Image of the Perfect Ruler in Early Taoist Messianism, History of Religion9:2, 1970.

42.

V. Goossaert and D.Palmer, The Religious Question in Modern China,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11.

43.

V. Palmer and Liu Xun eds., Daoism in the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