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ost Read Articles
Most read articles are listed by the number of read for the previous three months.
Research on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Mutual Beneficence’ Shown in the Principle of ‘Guarding against Self-deception’ in Daesoon Thought: in Comparison to Kantian and Utilitarian Ethical Views
대순사상의 무자기(無自欺)에 나타난 상생윤리: 칸트와 밀의 윤리관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대순사상의 무자기(無自欺)에 나타난 상생윤리: 칸트와 밀의 윤리관과의 대비를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16;27:283-317.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28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272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283
A Study on Mutual Aid and Mutual Contention of the Ten Celestial Stems and Twelve Earthly Branches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에 관한 연구
천간과 지지의 상조(相助)와 상극(相剋)에 관한 연구
J. Daesoon Acad. Sci. 2022;42:109-141.
https://doi.org/10.25050/jdaos.2022.42.0.10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1202
https://doi.org/10.25050/jdaos.2022.42.0.109
동아시아 원의 해결: 대만 유심성교와 한국 대순진리회의 해원 의의와 현대적 실천
解東亞之冤: 臺灣唯心聖教和韓國大巡真理會的解冤意識與當代實踐
解東亞之冤: 臺灣唯心聖教和韓國大巡真理會的解冤意識與當代實踐
J. Daesoon Acad. Sci. 2020;35:477-508.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47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74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477
Animal Welfar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Grievance-Resolution of Animals
동물해원 관점에서의 동물복지
동물해원 관점에서의 동물복지
J. Daesoon Acad. Sci. 2021;37:229-262.
https://doi.org/10.25050/jdaos.2021.37.0.22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928
https://doi.org/10.25050/jdaos.2021.37.0.229
A Study on Daesoon Jinrihoe’s View of Time (Ⅱ): Focusing on Re-calibrated and Governed Time
대순진리회의 시간관 연구 (Ⅱ): 재조정되고 통치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대순진리회의 시간관 연구 (Ⅱ): 재조정되고 통치되는 시간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4;49:1-52.
https://doi.org/10.25050/jdaos.2024.49.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93
https://doi.org/10.25050/jdaos.2024.49.0.1
The Hero with Two Faces: Heroes as Portrayed in The Jeon-gyeong
두 얼굴을 가진 영웅: 『전경』의 영웅을 중심으로
두 얼굴을 가진 영웅: 『전경』의 영웅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19;32:201-236.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2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88
https://doi.org/10.25050/jdaos.2019.32.0.201
A Study on the Discourse Regarding the Lineage Transmission to Haewol in the Eastern Learning: Focused on Document Verification
해월의 동학 도통전수 담론 연구: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해월의 동학 도통전수 담론 연구: 문헌 고증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4;48:41-155.
https://doi.org/10.25050/jdaos.2024.48.0.4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59
https://doi.org/10.25050/jdaos.2024.48.0.41
도(道) 문화의 궁극적 가치에 대한 문자학적 해석: ‘대순’과 ‘도통진경’의 인문적 함의에 대한 논의
道文化终极价值的文字学阐释: 兼论「大巡」「道通真境」之人文意涵
道文化终极价值的文字学阐释: 兼论「大巡」「道通真境」之人文意涵
J. Daesoon Acad. Sci. 2020;34:293-321.
https://doi.org/10.25050/jdaos.2020.34.0.29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53
https://doi.org/10.25050/jdaos.2020.34.0.293
Haewon-sangsaeng Thought for the Future of Humanity and World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인간과 세계의 미래에 관한 해원상생사상 연구
J. Daesoon Acad. Sci. 2018;30:1-57.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17
https://doi.org/10.25050/jdaos.2018.30.0.1
The Present Condition and Problems of Maitreya in the Context of Daesoon Jinrihoe
대순진리회의 미륵사상 현황과 그 과제
대순진리회의 미륵사상 현황과 그 과제
J. Daesoon Acad. Sci. 2022;42:167-199.
https://doi.org/10.25050/jdaos.2022.42.0.16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715
https://doi.org/10.25050/jdaos.2022.42.0.167
The Educational Acceptance of Religion in Multicultural Society: Focused on Cooperative Religious Education
다문화사회에서 종교의 교육적 수용: 협력 종교 교육을 중심으로
다문화사회에서 종교의 교육적 수용: 협력 종교 교육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3;45:153-186.
https://doi.org/10.25050/jdaos.2023.45.0.15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69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5.0.153
The Study on the Concept of Earthly Immortality of Daesoonjinrihoe, Yeoju Headquarters
대순진리회의 지상신선 세계관 연구: 여주본부도장을 중심으로
대순진리회의 지상신선 세계관 연구: 여주본부도장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16;27:35-77.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3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633
https://doi.org/10.25050/jdaos.2016.27.0.35
The Taoist Approach to ‘Place’ and ‘Experience’ as Seen by Anthropogeographers: Focusing on Jeff Malpas and Lao-Zhuang Thought
인문지리학자의 ‘장소’와 ‘경험’에 대한 도가적 접근: 제프 말파스와 노장사상을 중심으로
인문지리학자의 ‘장소’와 ‘경험’에 대한 도가적 접근: 제프 말파스와 노장사상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19;33:351-379.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35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627
https://doi.org/10.25050/jdaos.2019.33.0.351
The Modern Significance of Taoist Ecological Ideas as Reflected in Taoist Architecture
도교 생태사상이 반영된 도교 건축의 현대적 의의
도교 생태사상이 반영된 도교 건축의 현대적 의의
J. Daesoon Acad. Sci. 2020;35:359-392.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35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614
https://doi.org/10.25050/jdaos.2020.35.0.359
Changes in the Incantations of the Daesoon Faith: Focusing on Historical Facts
대순 신앙의 주문 변화: 고증을 중심으로
대순 신앙의 주문 변화: 고증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3;44:1-52.
https://doi.org/10.25050/jdaos.2023.44.0.1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611
https://doi.org/10.25050/jdaos.2023.44.0.1
『전경』에 나타난 도술사상의 근원과 변화 및 운용에 대한 연구
《典經》中的道術思想來源與轉化運用研究
《典經》中的道術思想來源與轉化運用研究
J. Daesoon Acad. Sci. 2020;36:267-298.
https://doi.org/10.25050/jdaos.2020.36.0.26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600
https://doi.org/10.25050/jdaos.2020.36.0.267
A Comparative Study on the Simwudo of Daesoon Jinrihoe and that of Buddhism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대순진리회와 불교의 심우도 비교연구
J. Daesoon Acad. Sci. 2023;46:33-68.
https://doi.org/10.25050/jdaos.2023.46.0.33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600
https://doi.org/10.25050/jdaos.2023.46.0.33
In a Time of Change: Reflections on Humanities Research and Methodologies
변화의 시대, 인문학적 변화 연구와 방법에 대한 고찰
변화의 시대, 인문학적 변화 연구와 방법에 대한 고찰
J. Daesoon Acad. Sci. 2024;49:265-294.
https://doi.org/10.25050/jdaos.2024.49.0.265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65
https://doi.org/10.25050/jdaos.2024.49.0.265
Cultural Diversity and Repression in Communities: A Study on China and Latin America
공동체에서의 문화 다양성과 억압: 중국과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공동체에서의 문화 다양성과 억압: 중국과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3;44:177-212.
https://doi.org/10.25050/jdaos.2023.44.0.177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64
https://doi.org/10.25050/jdaos.2023.44.0.177
A Study on Moral Systems of Aristotle and Kang Jeungsan: Focusing on the Nature of Virtue and Teleological Characteristics
아리스토텔레스와 강증산(姜甑山) 성사(聖師)의 덕(德)이론 고찰: 덕의 속성 및 목적성과 관련하여
아리스토텔레스와 강증산(姜甑山) 성사(聖師)의 덕(德)이론 고찰: 덕의 속성 및 목적성과 관련하여
J. Daesoon Acad. Sci. 2023;46:189-234.
https://doi.org/10.25050/jdaos.2023.46.0.189
HTML
PDF
PubReader
Last 3 months views: 543
https://doi.org/10.25050/jdaos.2023.46.0.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