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대순사상에서의 도(道) 개념과 사상적 특징에 관한 연구

이지영1,*, 이경원2,**
Jee-young Lee1,*, Gyung-won Lee2,**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Researcher, The Institute for the Study of Korean Philosophy and Culture.
2Professor,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제1저자. 한국철학문화연구소 연구원ㆍ대진대학교 박사과정 E-mail: jasmine-50@naver.com
**교신저자. 대진대학교 교수, E-mail: leegw@daejin.ac.kr

© Copyright 2019,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Oct 31, 2019; Revised: Nov 24, 2019; Accepted: Dec 14, 2019

Published Online: Dec 31, 2019

초록

‘도(道)’는 동아시아 종교 사상의 관점에서 ‘궁극적 실재’를 나타내는 주요한 용어이다. 대순사상이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도통진경에 이르기 위해서는 도(道)에 대한 개념의 이해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전경(典經)』에는 금문(金文)에 처음 등장하는 ‘길’로서의 도에서부터 음양(陰陽)의 도, 인도(人道), 천도(天道) 등 각기 다양한 도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상도(常道), 천도(天道), 신도(神道), 인도(人道), 상생(相生)의 도 다섯 가지 ‘도’로 분류하였다.

우주만물의 생성과 성장, 소멸하는 모든 자연현상은 천지자연의 이치이다. 따라서 대순사상에서의 상도는 자연계와 신계뿐만 아니라 인간계에도 적용되는 영원불변의 진리이자 천지의 운행 법칙으로 인간의 행위에도 궁극적인 준칙이 된다. 천도(天道)는 천을 주재하고 통제 관장한다는 관점에서 구천상제의 ‘대순진리’이자 세상을 구제하는 ‘제세대도’라고 본다. 신도는 모사재천 성사재인에 의해 ‘신의 법칙과 뜻에 따라 인간이 일을 완성해야 하는 도’ 즉 ‘상제의 천명에 의해 신과 인간이 인의예지를 지향점으로 함께 신인합일을 이루는 도’라고 할 수 있다. 세상이 우환과 위기에 빠졌을 때 요청되는 성인의 도를 『전경』에서는 요순의 도로 상징하고 있다. 진멸해 가는 세상에서 천하를 구하고 창생을 구제하는 대순사상의 성인의 도는 ‘제생 의세(濟生醫世)’라 한다. 제생의세는 구천상제의 천명인 제세대도를 따르는 인간의 도리라 할 수 있으며 대순사상의 인도(人道)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상생의 도는 ‘상도를 다시 세우고 제생의세의 인도를 펼치는 도’이며 남을 잘되게 해야 내가 사는 후천의 윤리로 상극적 세상을 바로 잡는 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종합하면 천계와 지계, 신계와 인간계 모든 곳에 치우침 없이 적용되고 작동되는 구천상제의 제세대도로서 대순진리라고 할 수 있다.

대순사상의 도는 그것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특징을 담고 있다. 중국 고전에서 말하는 도와 동아시아의 사상을 대표하는 유ㆍ불ㆍ도에서 전개하는 도의 전통적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특별히 신앙대상으로서의 상제의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보인다. 대순사상은 도 개념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한국 근대의 민족종교사상이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 갈래를 조화하고 발전시키면서 전개되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Abstract

‘Dao’ is an important research subject as it is the main term for ‘ultimate reality’ in East Asian religious thought.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Dao’ is essential to reach the state of ‘Perfected Unification with Dao,’ the ultimate aspiration in Daesoon Thought. The meaning of ‘Dao’ can vary such as ‘Dao’ meaning ‘way’, which was first introduced in Jinwen. There is also the ‘Dao’ of yin and yang, and Dao used to mean human obligation, or Dao meaning the way of Heaven. These can also be classified into five categories: Constant Dao, Heavenly Dao, Divine Dao, Human Dao, and the Dao of Sangsaeng.

Every natural phenomenon of birth, growth, and death in the universe operates under the patterns of Heaven and Earth. Therefore, Constant Dao in Daesoon Thought is the ultimate pattern underlying human action and the operations of Heaven and Earth. These apply not only to the natural and the divine world but also to the human world. It can be said that ‘Rather than natural law or moral symbol of the world, ‘Heavenly Dao’ means the great Dao that saves the world through the Daesoon Truth of Sangje, Supreme God of the Ninth Heaven. Divine Dao can be said to be ‘the Dao by which man must complete his work according to the law and the will of God,’ that is, ‘the Dao by which God and man are united together by Sangje’s heavenly order and teaching, which aims for humanity, righteousness, propriety, and wisdom.’ When the world is in a state of calamity and crisis, the request for the saint’s Dao can symbolized by the kings, Yao and Shun, in The Canonical Scripture (Jeon-gyeong). The saint’s Dao saves the dying world and people’s lives and is called ‘saving lives by curing the world (濟生醫世)’. It can be regarded as a characteristic of Human Dao in Daesoon Thought, which is the human obligation to follow Sangje’s order, the great Dao to save the world. The Dao of Sangsaeng is the true dharma that rectifies the world full of mutual conflict through the ethics of the Later World, which is to promote the betterment of others and to practice the human Dao that saves the world and rebuilds the Constant Dao. Thus, The concept of Dao in Daesoon Thought is Daesoon Truth which applies to and operates throughout all realms of Heaven, Earth, Humanity, and the Divine world.

Dao in Daesoon Thought was influenced by the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it emerged and this can be seen in its ideological features. It embraces the traditional concept of Dao, which refers to the Chinese classics and represents the main schools of thought in East Asia: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And it is unique in that it implies the will of Sangje as a religious object, a supreme being. It can be seen that Daesoon Thought has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 of defining the concept of Dao by harmonizing both the universality and specificity of modern Korean religious thought.

Keywords: 상도; 천도; 신도; 인도; 상생의 도
Keywords: Constant Dao; Heavenly Dao; Divine Dao; Human Dao; The Dao of Sangsaeng

Ⅰ. 머리말

‘도(道)’는 동아시아 종교사상의 관점에서 ‘궁극적 실재’를 나타내는 주요한 용어이다. 특히 도(道)라는 글자는 동아시아 한자 문화권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어온 진리의 대명사이기도 하다. 대순사상 연구에 있어서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 용어는 『전경』 전반에 걸쳐 사용되고 있으며, 대순사상 이해를 위한 가장 기본적인 키워드가 된다고 본다. 따라서 대순사상이 지향점으로 삼고 있는 ‘도통진경’에 이르기 위해서는 도(道)에 대한 개념의 이해가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이 주제에 관한 그동안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종지로서의 ‘도통진경’을 연구하는 논문에서 일부 언급하고 있으나 하나의 독립된 논문으로 연구된 바는 아직 없다. 본 연구는 여기에 주목하여 대순사상에서 바라보는 도 개념과 사상적 특징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한다. 수도의 과정에서 자각(自覺)되는 도를 글로써 연구하여 그 개념을 밝힌다는 것에 한계가 있겠지만 경전 연구의 일환으로 정리를 하는 것에 의의를 두고 본 연구가 대순사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

기존의 연구 성과를 검토해보면 「도통진경」에 관한 연구논문으로 1998년 『대순사상논총』 제5집에 16편, 2009년 『대순사상학술논총』 제5집에 10편, 총 26편이 있다. 그 중에 도에 대한 어휘, 개념, 의미 등으로 기술된 부분은 총 14편이다.1) 기존 논거에서 가장 많이 언급된 대순사상의 도의 의미는 하늘의 이치와 원리로서 원형이정(元亨利貞),2) 신도(神道),3) 구천상제의 진리4) 등이다. 『전경』과 『대순지침』을 근간으로 한 의미 분석이므로 대체로 동일하고 중복적이라고 할 수 있으나, 같은 단어라도 연구자에 따라 다른 의미를 부여하기도 한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도통진경에 대한 연구자의 관점을 설명하기 위해 경전의 내용을 선별해서 기술하거나 모두 열거하는 방법, 또는 고전의 해석에 의거하여 설명하는 식이 있다. 이는 대순사상의 도의 특징을 드러내는 데 한계가 있다고 본다.

이에 본 논문은 Ⅱ장 ‘도 개념의 사상사적 전개’에서 도의 자의(字意)와 함께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사상적으로 어떻게 변하여 왔는지 알아보고 한자문화권의 사상에서 정의되는 다양한 도에 대한 관점을 살피고자 한다. Ⅲ장에서는 대순진리회의 경전에서 표현되는 도의 용어들을 발췌하고 기존의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상도, 천도, 신도, 인도, 상생대도 등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그 단어의 어원과 고전에서의 용례, 전경에서의 용례를 기술할 것이다. 그리고 Ⅳ장에서는 사상사적으로 변천해온 도의 개념과 대순사상의 비교를 통해 대순사상이 지향하는 도 개념의 특징을 살펴보기로 하겠다.

Ⅱ. 도 개념의 사상사적 전개

1. 도(道)의 자의(字意)와 의미의 변천

도(道)의 국어 사전적 의미는 ① 마땅히 지켜야 할 도리 ② 종교상 근본이 되는 뜻, 또는 깊이 깨달은 지경 ③ 기예, 무술, 방술의 방법 ④ 우리나라 지방 행정구역의 한 가지로 시(市)와 군(郡) 따위를 관할함의 뜻을 나타낸다.5) 한자로 도의 자해(字解)는 ① 길 ‘도’로 통행하는 곳을 의미하는 도로(道路), 준수하여야 할 덕으로 도덕(道德), 인도(人道)나 시행의 방법, 경로, 방향이나 방면을 뜻한다. ② 도 ‘도’는 예악, 형정, 학문, 기예, 정치 따위를 의미하는 왕도(王道), 사도(斯道), 선도(仙道)를 뜻하며 ③ 순할 ‘도’는 자연에 따름을 뜻하고 ④ 구역이름 ‘도’는 행정상의 구획을 의미한다. ⑤ 말할 ‘도’는 이야기하다를 의미하고,6) ⑥ 말미암을 ‘도’는 쫒음, 따름이며7) ⑦ 다스릴 ‘도’는 ‘다스리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인다.8) ⑧ 인도할 ‘도’는 ‘인도하다, 이끌다’라는 뜻의 동사로 導(도)와 같다.9) 자원(字源)은 行(행)+首(수) 로 ‘行’은 ‘길’을 본뜬 것이며 ‘首’는 ‘목’의 상형으로 이민족의 목을 묻어 정화된 길의 뜻을 나타낸다. 전문(篆文)은 금문(金文)의 ‘行’부분이 辵(착)이 되었고 파생하여 사람이 지키고 실천해야 할 바른길, ‘도리’의 뜻을 나타내며 또 ‘조리 있게 말하다’의 뜻도 나타낸다.10) 한자정해에서 ‘도’는 길(way), 원칙(doctrine), 인도하다(lead)를 의미한다.11)

한편 중국역사에 등장한 도의 개념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12) ‘도(道)’자는 은주(殷周) 시기 금문에 처음 나타난다. 금문에서 ‘도’는 도로(道路)를 가리킨다. 『역경』에서도 최초의 의미인 도로의 뜻은 넘지 못한다. 그러나 『상서』에서는 원칙이나 규칙, 방법, 수단으로 그 의미가 확대되고 『시경』에서도 방법, 말(言) 등 추상적 사유의 의미가 들어간다. 춘추시대의 도(道)는 공자(孔子)와 노자(老子)에 의해 인도(人道)와 천도(天道)사상으로 각각 발전되었다. 전국시대에는 많은 학파가 생겨나면서 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이 나타났다. 『역전(易傳)』에서는 ‘한번 음하면 한번 양하는 것을 도’13)라 하여 ‘형체가 없는 추상적인 특성을 가진 도’로 의미의 발전을 보인다. 진ㆍ한시기는 중국의 통일 국가 시대로, 사상에 있어서도 일(一)을 필요로 한 시기이다. 『회남자』와 『여씨춘추』에서는 도를 태일(太一) 또는 일(一)이라고 하였다. 태일은 형체와 상태가 없는 것을 말하고 일은 만물이 생겨나는 근본을 가리킨다. 천지만물은 태일에서 생성되므로 태일과 일을 천지만물의 본체이자 근본인 도로 보았다. 이후 위ㆍ진 남북조시기에는 사상이 분열되면서 도에 대한 여러 해석이 나오게 된다. 이 시대의 사조는 모든 천지만물이 무(無)를 본(本)으로 한다는 하안(何晏)과 왕필(王弼)의 무도(無道)라고 할 수 있다. 수ㆍ당 시기에는 인도로부터 중국에 전파되어 더욱 발전을 이룬 불도(佛道)가 대표적이라 할 수 있으며 양송(兩宋)시기에는 북송의 이정(二程)과 남송의 주희가 리(理)를 도로 보는 정주학파가 가장 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는 원ㆍ명 시대의 통치사상이 되었으나 이후 왕수인(王守仁)이 ‘마음이 곧 도[心卽道]’라는 심학(心學)을 집대성 하여 마음의 도[心之道]가 큰 영향력을 가졌다. 이후 청나라가 들어서면서 방이지(方以智)는 ‘기(器)가 바로 도’라고 하였고 왕부지(王夫之)는 기(氣)로 도를 말하였다. 명ㆍ청시대의 정신을 대표하는 도는 ‘기(氣)의 도’로 본다.

요약하면 은주 시대부터 변천된 도(道)의 의미는 도로(道路)에서 천인(天人)의 도, 태일(太一)의 도, 허무(虛無)의 도, 불(佛)도, 리(理)의 도, 마음(心)의 도, 기(氣)의 도로 계속 새로운 주장이 있었다. 사람들의 생각과 인식이 깊어짐에 따라 도의 의미는 끊임없이 바뀌어 왔음을 알 수 있다, 도는 이제 중국철학은 물론 동양철학에서 빼놓을 수 없는 철학적 기본 개념이 되었다. 다음 장에서는 한자문화권의 사상으로 대표되는 유가, 불가, 도가가 각각 갖고 있는 도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겠다.

2. 한자문화권의 사상에서 도의 의미
1) 유가의 도

유가(儒家)의 도는 춘추시대 공자(孔子)에 의해 정립된 인(仁)을 바탕으로 한 도덕사상으로 인도(人道)에 중점을 두고 발전한 사상이다. 이후 북송시기의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남송시기의 주희(朱熹)는 도를 리(理)로 보았으며 명대의 왕수인(王守仁)은 ‘마음이 곧 도’라 하는 명제를 제기했다. 여기서는 유가의 도를 인도(人道), 리의 도(理之道), 마음의 도[心之道]로 구분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인도(人道)는 공자를 비롯한 선진유가의 도 개념으로 정치적, 도덕 윤리적 의미라고 볼 수 있다. 인(仁)은 타인을 사랑하는(愛人) 마음으로 인도(人道)의 핵심이다. 공자는 ‘인(仁)은 사람이다.’14)라 하였고 맹자는 ‘인(仁)과 인(人)을 합하면 도(道)’15)라 하였다. 인(仁)은 곧 인간에 내재해 있는 삶의 도리이며 인도로서, 인간이 인간다울 수 있는 존재 법칙이며, 인간의 행위를 규정하는 법칙이다.16) 효제(孝悌),17) 충서(忠恕)18), 신의(信義)19), 중용(中庸)20)은 모두 인도를 관철시키기 위한 최고의 도덕 준칙이다.

리(理)는 송대(宋代)에 천(天)을 대체하는 중심근원이다. 정이(程頤)는 천(天)은 리이며 하늘의 리가 곧 도(道)21)라고 한다. 주자(朱子) 또한 도를 리로 보았다. “도는 곧 성(性)이요 성은 곧 도”22)이며 “도는 사물에 있는 리이고 성은 자기에게 있는 리이다.”23)라 하여 도는 또한 성이라고 보았다. 정자(程子)는 성을 리로 해석하여 인간의 선(善)한 본성인 덕성의 가치근원과 만물의 원리를 리에 두었다.24) 선한 덕성이 곧 리라는 것이다.

마음(心)이 곧 도라는 명제는 명대(明代)의 왕양명(王陽明)의 사상이다. 그는 “심은 곧 리[心卽理]”25)라는 심일원론(心一元論)을 제기하여 주자가 도심과 인심으로 구분하는 관점을 비판한다. 왕양명의 심(心)은 양지(良知)를 의미한다. 양지는 경험 없이 선천적으로 선을 알고 판단하여 행할 수 있는 능력으로, 인간 누구나 지니고 있으며 그 마음을 따르면 바로 도가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리는 곧 양지에서 나오는 도덕법칙을 가리킨다. ‘마음이 곧 도’라는 왕양명의 심(心)은 리의 창출근거로서 리에 중점을 두고 심을 해석하여, 사람의 본질을 나타내는 심이 바로 리임을 주장한다.26)

요약하면 유교의 천(天)에 대한 개념은 인간 세계에 대한 도덕적 상징이자 세상을 주재하는 추상적 상징이다. 그러한 천도[理]가 인간 안에 인(仁)과 성(性) 그리고 심(心)으로 내재해 있다고 본다. 인도의 실현에 중점을 둔 천도관(天道觀)으로 천인합일(天人合一)의 지향은 천하를 인(仁)으로 돌아가게 하는 현실사회의 인도를 강조하는 것이다.

2) 불가의 도

불도의 도는 성불(成佛)의 과정과 이치를 가리키고 있다. 중생을 초탈하고 고해를 뛰어넘는 깨달음의 세계로 들어가는 것을 의미하는 등도(等道), 보리ㆍ열반의 도(菩提ㆍ涅槃之道), 중도(中道)를 중심으로 살펴보겠다.27)

등도(等道)는 차별이 없는 평등한 피안의 세계를 말한다. 등도에는 ‘법신(法身)’과 ‘여(如)’와 ‘진제(眞際)’의 세 가지 뜻이 있다.28) “‘법신’은 항상 고요하며 일체를 모두 잊고 어떠한 구별도 존재하지 않으며 어떤 잘못 물듦도 없는, 즉 일(一)인 영원한 도이다. ‘여’는 곧 본래 이와 같다는 것으로 불(佛)은 연면히 끊이지 않으며 항상 존재하고 깃들지 않은 곳이 없다. ‘진제’는 집착하는 것이 없고 편안하고 고요하여 움직이지 않고, 맑고 고요하여 일체의 심원한 이치[玄理]가 그 속에 있고, 하는 것도 없고, 하지 않는 것도 없는 만물의 진성(眞性)이다.”29) 삶도 죽음도 고통도 영원히 없고 지혜로움과 어리석음도 없는 현실을 초탈한 고요한 피안의 세계가 ‘등도’이며 극락세계인 것이다.30)

열반(涅槃, nirvna)은 ‘불어 끈다[吹滅]’는 뜻으로 번뇌의 뜨거운 불길이 꺼진 고요한 상태를 가리키며 팔정도(八正道)의 수행이 궁극에 이른 탐(貪)ㆍ진(瞋)ㆍ치(痴)가 사라진 상태를 말한다.31) 열반의 도(涅槃之道)는 위ㆍ진 남북조시기에 나타난 전형적인 불교의 도를 의미한다. 이 시대의 대표적 인물 중 하나인 혜원(慧遠)과 법장은 열반을 불변함으로 보았다. 이들은 세속의 삶을 초탈하고 사물의 차별이 없고 사랑이나 미움의 감정으로 마음이 얽매이지 않으며 생각을 없애고 감정을 끊어야만 비로소 윤회응보를 벗어나 최고의 경지인 열반에 도달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32) 보리(菩提)는 도(道)와 각(覺)을 말하는 것으로 깨달음과 최고의 지혜를 의미한다.33) 보리ㆍ열반의 도는 깨우침으로 모든 분별이 사라져 고통으로부터 벗어나는 성불의 길과 과정을 가리키는 불교 수행의 최고 경지이다.

중도(中道)라 함은 어떤 양극단에 치우치지도 집착하지도 않는 가장 공명하고 바른 길(正道)의 실천으로 팔정도(八正道)의 수행을 말한다. 지나친 쾌락도, 지나친 계율과 고행도 모두 한편에 치우친 극단이므로 팔정도의 실천 방법을 통해 심신의 안정과 조화를 강조하는 올바른 행법이 초기불교의 중도이다. 대승불교의 철학적 근거를 정립하고 팔종(八宗)의 조사(祖師)가 된 용수(龍樹, Nãgãrjuna)의 『중론(中論)』에 나타난 팔부중도(八不中道)의 사상은 8가지의 부정[八不]을 의미하는 것으로 생(生)과 멸(滅), 단(斷)과 상(常), 일(一)과 이(異), 거(去)와 내(來)의 8종의 편견이 제거된 공(空)의 세계이다.34) 그러므로 중도는 모든 집착과 분별을 초월한 무소득(無所得)의 경지라 할 수 있다.

요약하면 불교의 도는 고해와 윤회에서 벗어나서 불생불멸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성불의 과정이자 수행을 가리킨다고 본다. 물욕과 관념에 대해 가까이 가지도 않으면서 멀어지지도 않게 수행하면 성불에 다다르며 보리와 열반의 경지로 갈 수 있다는 것이다.35)

3) 도가의 도

도가(道家)는 창시자인 노자(老子)의 천(天) 중심의 형이상학적인 도(道)사상을 출발점으로 이후 종교사상으로 발전하였다. 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은 도가의 기본경전으로 여기서의 도덕은 유가(儒家)적 인간 윤리의 의미가 아닌 자연적 의미에 있어서 철학적 도[眞理觀]와 덕[得의 의미]으로 도는 자연적 진리를 의미한다.36) 도가의 도는 노자의 사상에서 비롯되었으므로 노자 『도덕경』에 등장하는 상도(常道)와 자연의 도(道法自然), 무위(無爲)의 도를 중심으로 살펴보도록 하겠다.

상도(常道)는 『도덕경』 제1장에 “도라고 말할 수 있는 도는 영원한(常) 도가 아니다.”37)라 하여 ‘도’ 앞에 ‘상(常)’을 붙여 영원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덕경』에서 제일 먼저 언급이 되는 이러한 노자의 상도 개념은 인간의 말로 형상화할 수 없는 어떤 영원한 진리를 가리키고 있다. 즉 형태를 가진다는 것은 언젠가는 없어지게 되므로 형태는 없으나 모든 만물 속에 내재하는 만물의 모체로서 영원히 불변하는 궁극적 본질을 도를 보았다.

자연(自然)의 도는 『도덕경』 제 25장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으며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자연을 본받는다.”38)에서 유래한다. 이 때 도는 스스로 자연을 법칙으로 삼고[道法自然] 각각의 사물은 스스로 그러함[自然以然]일 뿐이다. 따라서 도는 작위(作爲)하지 않고 자연의 본성에 따른다. 노자는 자연의 원리를 인간의 원리보다 우선한다고 보는 천도(天道)를 강조하였다.39) 노자는 천(天)을 자연(自然)으로 이해하였다. 이는 천지만물을 생성하고 운행시키는 궁극적 실재의 성격이 인격성이나 주재성을 가지지 않는다는 점에서 종교적 상제의 의미와 구분된다.

무위(無爲)의 도는 도를 우주만물의 원리로 보아 “도는 항상 스스로 하는 것이 없지만 하지 않음도 없다.”40)라는 것이다. 도는 만물이 생성하고 변화하는 근거이며 원리이고 스스로 작위(作爲)하지 않는다. 우주의 원리로서 천지만물의 생성과정에서 “도는 하나(一)를 낳고 하나(一)는 둘(二)을 낳고 둘(二)은 셋(三)을 낳고 셋(三)은 만물을 낳는다. 만물은 음(陰)을 지고 양(陽)을 품으며 기(氣)가 서로 합하여 조화를 이룬다.”41)고 설명한다. 하나(一)는 도가 음양으로 나눠지기 이전의 원리(原理)를 말한다. “세상만물은 있음[有, 존재]에서 생기고 있음은 없음[無]에서 생긴다.”42)고 하여 무(無)를 원리로 보았다. 하나(一)는 무(無)를 가리키고 둘(二)은 음과 양을 가리키며 음과 양이 합해 구체적 사물이 되는 질료가 생기는데 그것이 셋(三)이다. 이 질료로부터 만물이 생성된다는 것이 있음[존재]이 무(無)에서 생긴다[有生於無]고 한 이유이다.43)

유가에서 공자와 맹자는 인간으로서 지켜나가야 할 규범과 인륜으로서의 도를 말하였고 리(理)와 심(心)으로 도에 대한 개념을 세운 유학자들도 인본주의 사상을 바탕으로 한 인도(人道)를 말하였다. 노자는 자연으로서의 천도(天道)에 중점을 두어 우주 만물의 근본적 원리가 도라 하여 자연과 같이하는 무위자연(無爲自然)을 강조하였다. 불가에서는 인간의 고통을 해결하는 것이 최고의 목적으로, 고통을 멸하는 깨달음의 과정을 도라 하여 자각(自覺)을 중시한다. 이처럼 도에 대한 의미는 유ㆍ불ㆍ도의 사상에서 각기 서로 다른 맥락으로 인식되고 이해되어왔으며 시대와 각 사상과 학파마다 다양하게 정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다음 장에서는 이러한 여러 사상에 나타난 도 개념과 대비하여, 대순사상에 나타난 도의 의미를 대순진리회의 경전인 『전경』을 중심으로 고찰해 보도록 하겠다.

Ⅲ. 대순사상에서의 도

『전경』에는 금문에 처음 등장하는 길로서의 ‘도’44)에서부터 음양(陰陽)의 도, 인도(人道), 천도(天道)등 각기 다양한 도의 개념이 나타나고 있다. ‘도’가 들어가는 단어는 대략 28개가 나온다.45) 기존의 선행연구에서는 대순사상의 도를 ‘구천상제의 대순진리’46), ‘이치나 법칙, 원리(原理), 원형이정(元亨利貞), 천도(天道)’47), ‘신도(神道)’48), ‘상생대도(相生大道), 해원상생대도(解冤相生大道)’49), ‘대도(大道)’50), ‘대순(大巡), 원(圓), 무극(無極), 태극(太極)’51), ‘인도(人道)’52), ‘관왕(冠王)의 도’53), ‘음양(陰陽)’54), ‘길(道), 심(心), 현묘(玄妙)한 의미, 무(無)’55)등으로 설명하였다. 본 장에서는 이와 같은 도의 의미를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상도(常道), 천도(天道), 신도(神道), 인도(人道), 상생(相生)의 도로 나누어 그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겠다.

1. 상도(常道)

상(常)은 상(裳)의 본래자로 자해(字解)는 떳떳할, 항상, 영구, 확정, 불변의 도, 늘 행하여야 할 도, 당연, 일정, 확정, 척도의 단위를 나타낸다.56) 『원불교대사전』에서는 항상 변하지 않는 떳떳한 도리, 불생불멸의 진리, 인과보응의 이치나 인간으로서 항상 지켜야 할 도리, 곧 인ㆍ의ㆍ예ㆍ지나 효ㆍ제ㆍ충ㆍ신의 의미로 표기되기도 한다.57) 고전에서의 용례를 살펴보면 왕필은 노자 『도덕경』의 ‘상도(常道)’를 ‘치우치지 않은 도’라 설명하기도 하며,58) 『노자지략』에서는 ‘도는 불변(不變)이고 이것을 상’59)이라 하였다. 한비자(韓非子)도 “오직 천지가 갈라질 때 함께 나서 천지가 없어질 때에 이르기까지 죽지도 아니하고 쇠하지도 아니하는 것을 상(常)이라고 한다.”60)라 해서 상을 영원불변으로 보았다. 정이는 “하늘의 변화가 비록 넓고 무궁하지만 음양의 법칙인 일월과 추위와 더위, 낮과 밤의 변화는 항상성(常)이 있지 아니함이 없다. 이것은 도가 중용인 까닭이다.”61)라 하여 자연계의 일정한 법칙을 도(道)와 늘 그러한 항상성의 상(常)이라고 보았다.

대순진리회 『전경』 용어사전에 상도(常道)는 ‘항상 지키고 변하지 않아야 하는 도리(道理) 혹은 이치, 원리, 법칙 등’이라 한다.62) 다음 『전경』 내용을 자세히 살펴보기로 하자.

선천에서는 인간 사물이 모두 상극에 지배되어 세상이 원한이 쌓이고 맺혀 삼계를 채웠으니 천지가 상도(常道)를 잃어 갖가지의 재화가 일어나고 세상은 참혹하게 되었도다. … 63)

… 그 문명은 물질에 치우쳐서 도리어 인류의 교만을 조장하고 마침내 천리를 흔들고 자연을 정복하려는 데서 모든 죄악을 끊임없이 저질러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렸으므로 천도와 인사의 상도가 어겨지고 삼계가 혼란하여 도의 근원이 끊어지게 되니 … 64)

위 구절에서 볼 때 ‘상도’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고 본다. 첫째, ‘천지’와 ‘천도’, ‘인사’ 각각에 적용되는 도리(道理) 혹은 이치로서의 상도이다. 연월일시(年月日時)와 분(分)과 각(刻)이 윤회하는 것은 모두 원형이정(元亨利貞)천지의 법칙이다.65) 도는 우주 만상의 시원이며 생성 변화의 법칙이라 하여 사물의 근본 원리인 생장염장(生長斂葬)의 원형이정의 이치를 가리킨다.66) 『전경』에서 이치나 원리, 법칙을 의미하는 도에 대한 내용으로는 생쇄지도, 길흉화복지도67) 의식색지도68) 등이 있다. 둘째, ‘천과 지’, ‘천도와 인사’의 음양(陰陽)의 상호 관계에 적용되는 ‘항상 지키고 변하지 않아야 하는 도리, 이치’ 등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천지의 일과 만물이 형성되는 도리가 모두 이 음양 가운데 있다.69) 음이 쇄(殺)하면 양이 자라나고 양이 쇄하면 음이 다시 자라나는 생쇄의 이치는 모두 음양에 있다.70) 음양은 만물을 지배 자양하는 법칙으로 상도가 어겨졌다는 것은 음양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이치[陰陽之道]가 어겨졌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대순사상의 상도는 자연계의 원형이정의 법칙뿐만 아니라 신계와 인계 그리고 그 음양 관계의 윤리규범에 있어서도 ‘항상 지키고 변하지 않아야 하는 도리, 이치, 원리, 법칙 등’으로 이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천도(天道)

“천은 큰 대(大)와 한 일(一)로 구성된 회의글자로 일(一)은 처음을 의미하면서 만물의 근본으로 ‘전체’라는 뜻을 가진다. 따라서 천(天)의 전체적인 의미는 사람(大)의 머리위로 끝없이 펼쳐진 허공(一)을 표시하여 ‘하늘’이란 뜻을 부여하였다.”71) 『시경』에 “솔개는 날아서 하늘에 이르는데 물고기는 연못에서 뛴다.”72)라 하여 천(天)은 땅의 대(對)로서 천공(天空)인 하늘을 의미하고 『역경』에서는 “하늘이 도우니 길하여 이롭지 않음이 없다.”73)라 하여 하늘[天]은 만물의 주재자이며 인간의 길흉화복을 주재하는 인격적인 천으로서 상제, 하느님을 가리킨다. 공ㆍ맹은 천을 도덕적 인격신으로서 긍정하면서도 자연의 이법으로 파악한다.74) 한편 순자는 천과 인을 분리하여 자연의 이법으로서의 천을 강조한다.75) 종합하면 고전에서의 천관(天觀)은 인격적인 속성으로서의 상제(上帝), 자연의 법칙으로서 상도(常道), 도덕적 상징으로서의 궁극적 실재로 시대의 변천에 따라 분화되고 전개되었다.

『전경』을 통해 천도(天道)의 의미를 살펴보면 총 다섯 곳에서 천도라는 말이 나온다. 첫째, 천도가 걸에게는 악을 가르쳤고 탕에게는 선을 가르쳤다. 76) 둘째, 신인이 서로 통한 다음에야 천도가 이루어지고 지도가 이루어진다.77) 셋째, “ … 인류의 교만을 조장하고 마침내 천리를 흔들고 자연을 정복하려는 데서 모든 죄악을 끊임없이 저질러 신도의 권위를 떨어뜨렸으므로 천도와 인사의 상도가 어겨지고 … ”78) 넷째, “상제께서 용두치(龍頭峙)에 가서 계실 때 하루는 마당에 촛불을 밝히고 천유일월지명 지유초목지위 천도재명고 인행어일월 지도재위고 인생어초목이라 써서 불사르셨도다.”79) 다섯째, “상제께서 이해 六월에 김형렬의 집에 이르시니라. 그는 상제의 말씀을 좇아 전주로 가서 김병욱을 만나고 상제와 만날 날짜를 정하고 돌아오니라. 그가 돌아오는 길에 장흥해의 부친 장효순이 사망하였다는 소식을 들으니라. 형렬은 모든 것을 상제께 아뢰면서 장효순은 진작 우리의 손에 죽었어야 마땅하거늘 저절로 죽었으니 어찌 천도가 공정하다 하오리까.”80)이다. 『전경』의 내용에서 의미하는 천도는 단순히 자연 현상으로만 보이지 않는다. 천도가 인간의 행(行)에 준칙이 되어 인간을 가르치기도 하고, 신과 인간의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기도 하며 어겨지기도 한다. 이는 물리적 자연을 주재하는 초자연적인 존재로서의 천(天)이 인사(人事)에 관여하여 공정을 기하는 인격성이나 주재성을 가진다는 것을 알 수 있다.81) 다음 내용을 다시 살펴보면,

원시의 모든 신성과 불과 보살이 회집하여 인류와 신명계의 이 겁액을 구천에 하소연하므로 내가 서양(西洋) 대법국(大法國) 천계탑(天啓塔)에 내려와 천하를 대순(大巡)하다가 이 동토(東土)에 그쳐 모악산 금산사(母岳山金山寺) 삼층전(三層殿) 미륵금불(彌勒金佛)에 이르러 三十년을 지내다가 최제우(崔濟愚)에게 제세대도(濟世大道)를 계시하였으되 제우가 능히 유교의 전헌을 넘어 대도의 참뜻을 밝히지 못하므로 갑자(甲子)년에 드디어 천명과 신교(神敎)를 거두고 신미(辛未)년에 강세하였노라.82)

윗글에서 상제는 최제우에게 세상을 구제하는 큰 도[濟世大道]를 계시하기도 하고 명(命)과 가르침[神敎]을 거두기도 하며,83) 마침내는 스스로 천지대도(天地大道)를 열기도 하는 등 인격적인 속성을 드러내며 만물을 주재하는 모습을 보인다.84) 『대순지침』에는 “상제께서 천하를 대순하시고 광구천하ㆍ광제창생으로 지상선경을 건설하시고자 인세에 강세하셔서 전무후무한 진리의 도를 선포한 도는 우주대원의 진리이며 영원한 진리로 대순진리인 것이다”라고 하였다.85) 우주의 궁극(窮極)자로서 상제가 갖는 삼계의 대권으로 계시한 제세대도와 직접 열은 천지대도는 곧 대순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86) 그러므로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천도(天道)의 의미는 인격적인 절대자가 선포한 천명(天命)이자 대도(大道)로서 구천상제의 대순진리라고 말할 수 있다.87)

3. 신도(神道)

신(神)자에서 신(申)의 자형(字形)은 번개 칠 때 구름 사이에 나타나는 번갯불 모습이다. 옛날 사람들은 번갯불이 번쩍이는 것은 신(神)이 자신의 모습을 드러내 보이는 것이라고 여겼기 때문에 신(申)을 ‘신(神)’의 뜻으로 썼다.88) 『서경』에서 신(神)은 하늘[天]과 상제(上帝)의 의미로 쓰이고 있다.89) 『사기』에서는 신선으로, 『도덕경』과 『맹자』에서는 신령함, 영묘함[神妙]을 뜻하는 신비스러움을 나타낸다.90) 그 밖의 자해(字解)로는 선인, 혼, 영혼, 마음[精神], 정기 등으로 사용된다.91)

『전경』에서 신의 의미는 혼, 영혼, 신명 등으로 나타난다. 혼과 영혼은 사람이 죽으면 하늘로 올라가서 되는 신이다.92) 신명은93) 천지에 가득 차 있으면서 풀잎이나 자연물에도 내재하고 있다.94) 인간과의 관계를 살펴보면 선령신(先靈神)은 조상신으로 자손을 태어나게 하기 위해 60년을 정성으로 공력을 들이고 태어난 선자선손을 척신으로부터 지켜낸다.95) 또한 신명은 도를 닦는 사람의 주문 읽는 소리에 신응(神應)되어96) 인간을 가호하고자 떠나지 않는다.97) 반면 탐내어 부당한 자리에 앉거나 일들을 편벽되게 처사하는 자들의 덜미를 쳐서 처벌을 하고,98) 공덕의 은혜에 보답하는 등99) 인간의 탄생부터 살아가는 과정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전경』 곳곳에서 보여주고 있다.

선천에는 「모사(謀事)가 재인(在人)하고 성사(成事)는 재천(在天)이라」 하였으되 이제는 모사는 재천하고 성사는 재인이니라. 또 너희가 아무리 죽고자 하여도 죽지 못할 것이요 내가 놓아주어야 죽느니라.100)

위 글에는 ‘모사는 재천’이라 하여 신이 일을 계획하고, ‘내가 놓아주어야 죽느니라.’라 하여 상제가 주재자가 된다는 것을 짐작 할 수 있다. 그러나 ‘성사는 재인’이라 하여 신도 인간의 행동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대순사상의 신도는 인간과 신이 상호 직접적인 감응관계가 있다는 특수한 개념이며, 인간이 신의 뜻을 존중해야 하며 인간의 행동에는 신명이 같이 한다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101) 신과 인간이 같이 가야할 길은 인ㆍ의ㆍ예ㆍ지로 제시된다. 이제 인ㆍ의ㆍ예ㆍ지는 인간도 신도 모두 함께 지켜야 할 도리이다.102) 상제는 천하를 진멸지경에 빠뜨린 무도병(無道病)의 원인을 충ㆍ효ㆍ열(忠孝㤠)의 부재로 진단하였다. 이에 인ㆍ의ㆍ예ㆍ지로 바로잡은 신도를 새 기틀로 하여 신명으로 하여금 사람들의 가슴속에 드나들게 하고 뱃속에 출입케 하여 그 체질과 성격을 고쳐 쓰고자 한다.103) 『대순지침』에도 누차 신도의 중요성이 강조된다.104) 대순사상에서의 신도는 모사재천 성사재인에 의하면 ‘신의 법칙과 뜻에 따라 인간이 일을 완성해야 하는 도’이다. 즉 상제의 천명에 의해 ‘신과 인간이 인의예지를 지향점으로 함께하여 신인합일을 이루는 도’ 라고 할 수 있다.

4. 인도(人道)

인(人)의 자해(字解)는 사람, 사람마다, 남 등이 있다.105) 『서경』에는 “사람은 만물의 영이다.”106)라 하여 인(人)을 ‘사람’으로, 『맹자』에서는 ‘백성, 신민(臣民)’의 뜻으로 쓰고 있다.107) 『논어』에는 사람을 세는 수사(數詞)로 쓰이고,108) 『장자』에서는 ‘인위적이고 작위적인 일’109)을 뜻한다. 또한 ‘사람마다, 매인(每人)’110)의 뜻으로도 쓰이고 『중용』에서는 “자기를 바르게 하고 다른 사람에게 구하지 않으면 원망이 없을 것이니 … ”라 하여 타인(他人)을 의미하기도 한다.111) 인도는 하늘의 도에 대비(對比)되는 작위 할 수 있는 도, 백성이나 남을 위하는 사람의 길(道)이라고 할 수 있다. 공자와 맹자는 윤리와 도덕이 땅에 떨어진 당시 사회에 도덕성 회복을 위하여 필요한 방도로 인(仁)을 말하였다. 그리고 효제충신(孝悌忠信)을 실천 덕목으로 하여 인도(人道)를 제시했다.

대순사상의 경전에 나오는 인도(人道)를 살펴보면 우선 『전경』에 “대저 부모가 정하여 준 배필은 인연이요 저희끼리 작배한 것은 천연이라. 천연을 무시하여 인도를 패하려 하니 어찌 천노를 받지 아니하랴 … ”112)라는 구절이 나온다. 여기서 하늘이 정한 인연을 무시하는 것은 인도를 저버리는 것으로 인도는 천연, 즉 하늘이 정한 도[天道]를 지키는 것임을 짐작할 수 있다. 또 군사부(君師父)의 도리를 잊고 충ㆍ효ㆍ열(忠孝㤠)이 없는 세태를 천하가 큰 병에 걸렸다고 말하며 군사부에 대한 도리와 충ㆍ효ㆍ열을 인륜의 당위법칙으로 보고 대인대의(大仁大義)를 무병(無病)의 해결책으로 제시한다.113) 또 『대순지침』에 “예(禮)라는 것은 사람으로서 일생 동안 움직일 때나, 정지할 때나, 앉아 있을 때나, 누워 있을 때[起居動靜]를 가리지 않고 항상 정도를 넘는 일이 없이, 공경심으로 자기를 낮추고 남을 높여 주는 인도를 갖추는 것을 이른다.”114)라 하여 인도는 예를 체로 삼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115) 하늘의 도를 따르는, 인간이 가야 할 길[道]로서의 윤리도덕은 인ㆍ의ㆍ예ㆍ지(仁義禮智)를 말한다. 인ㆍ의ㆍ예ㆍ지는 인간뿐만 아니라 신 또한 지켜나가야 할 길로 요구된다.116) 세상의 상도가 무너진 현상을 인간의 책임으로만 여기지 않는 대순사상의 특징이라고 볼 수 있다. 『전경』에 “요순의 도가 다시 나타나리라”117)는 말이 나온다. 또, 성인(聖人)의 말은 한 마디도 땅에 떨어지지 아니하므로118) 마음은 성인의 바탕으로 닦아야 한다.119)는 말에서 인도의 기준을 성인에 두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역전』에서 성인은 당시 사람들의 척박한 자연의 생존환경에서 비롯된 우환과 위기에서 재난의 상황을 구제해주는 존재로 숭상된다. 문명을 가져다주는 문화적 상징으로서 삶의 질서와 방향을 제공하는 성인의 업적들은 인문세계의 개창(開創)과정이라 할 수 있다.120) 세상이 우환과 위기에 빠졌을 때 요청되는 이러한 성인의 도를 『전경』에서는 요순의 도로 상징하고 있다. 진멸해 가는 세상에서 천하를 구하고 창생을 구제하는 성인의 도는 대순사상에서 ‘제생 의세(濟生醫世)’라 한다.121) 인의예지의 올바른 인륜으로 세상을 바르게 고쳐 세우고 창생을 위기의 세상에서 구제하고자 하는 제생의세는 천하를 광구하고 창생을 광제하기 위한 구천상제의 강세이유이기도 하다.

이처럼 인ㆍ의ㆍ예ㆍ지의 제생의세로 천도를 따르는 것은 남을 잘되게 하는 ‘공에 지극한[無私至公]’122) 대순사상의 인도(人道)라 할 수 있다.

5. 상생의 도

상생(相生)은 음양오행설에서 금(金)은 수(水)를, 수는 목(木)을, 목은 화(火)를, 화는 토(土)를, 토는 금(金)을 나게(生) 하거나 그 관계를 이르는 말로 화합하여 함께 발전하는 것을 말한다.123) 상생에 반대되는 상극(相克)은 오행설에서 목극토(木克土), 토극수(土克水), 수극화(水克火), 화극금(火克金), 금극목(金克木)으로 한쪽이 다른 한쪽을 이기는 일로 두 사람이나 사물이 서로 맞지 않거나 마주치면 서로 충돌하는 상태를 이르는 말이다.124) 『도덕경』에 유무상생(有無相生)125)은 있음과 없음이 서로를 낳는다는 말로 이해된다. “아름다운 것이 아름다운 것이 됨은 추한 것 때문일 뿐이고 선한 것이 선한 것이 됨은 선하지 않은 것 때문일 뿐이다. 그러므로 어려움과 쉬움은 서로를 이어주며 길고 짧음은 서로를 비교하고 높음과 낮음은 서로 차이가 생기며 곡조[音]와 소리[聲]는 서로 반응하고 앞과 뒤는 서로가 따른다.”126) 미추와 선악, 고저와 장단, 선후는 서로의 관계에 의해 이루어지는 상대적 개념으로 하나가 있음으로 인해서 다른 하나가 존재하게 된다. 절대 유(有)와 절대 무(無)란 없는 상대적인 관계로서 상생은 서로 상성(相成)하는 관계라 할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 상생은 시비와 상극이 없는 이념으로서 성수(星宿)에 해당한다.127) 인간의 앎이라는 것에서의 분별은 각기 자기들의 생활 경험의 전승(傳承)에 따라 특수한 사상을 토대로 이룩한 문화에 따른 것으로 그것이 발휘될 때에는 큰 시비가 일어난다고 하였다.128) 이러한 시비는 불완전한 분별로 상호관계에 원망을 낳으므로 상제는 시비를 없애기 위해 역신을 성수로 보내는 등 신명을 해원하고129) 지기를 통일하고130) 국가 민족을 해원하고131), 제도 관습을 해원하고132), 금수를 해원한다.133) 대순사상에서 상극은 선천의 모든 인간지사와 사물을 지배하였으므로 도수가 그릇되고, 천ㆍ지ㆍ인(天地人) 삼계는 서로 통하지 못하여 상도가 어겨지는 원인이 되었다고 한다.134) 음양사상에 근거하면 상도가 어겨지게 되는 상극의 이치는 음양의 불균형으로 볼 수 있다. 생쇄의 이치는 음양에 있으나135) 선천의 묵은 하늘이 그르게 꾸민 세속의 의식과 관습은 사람을 죽이는 공사만 보았으므로136) 생쇄가 고르지 못하였다. 수는 목을 살리는데 목은 수를 쇄하게하는 상생 상극의 공존은 한쪽의 원망을 낳게 하여 조화를 이뤄낼 수 없는 관계를 만든다. 서로가 서로를 살릴 수 있고 살려야만 하는 관계가 되어야 원(冤)이 없어지고 상생의 원리가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제는 생쇄의 이치[生殺之道]를 바로 세우기 위해 명부에서의 상극 도수를 제일 먼저 뜯어고치는 공사를 보았다. 이로 인해 비겁에 쌓인 신명과 창생이 만고의 원한을 풀고 서로 상생하게 되는 기틀이 마련된다고 하였다.137)

선천에서는 인간 사물이 모두 상극에 지배되어 세상이 원한이 쌓이고 맺혀 삼계를 채웠으니 천지가 상도(常道)를 잃어 갖가지의 재화가 일어나고 세상은 참혹하게 되었도다. 그러므로 내가 천지의 도수를 정리하고 신명을 조화하여 만고의 원한을 풀고 상생(相生)의 도로 후천의 선경을 세워서 세계의 민생을 건지려 하노라.138)

제생 의세(濟生醫世)는 성인의 도요 재민 혁세(災民革世)는 웅패의 술이라. 벌써 천하가 웅패가 끼친 괴로움을 받은 지 오래되었도다. 그러므로 이제 내가 상생(相生)의 도로써 화민 정세하리라.139)

위 내용은 상도를 잃은 결과로 인해 벌어진 세상과, 제생의세의 성인의 도를 잃어 괴로움을 받은 세상, 즉 어긋나간 하늘과 인간의 도를 모두 상생의 도에 의해서만 화민 정세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상생의 도는 ‘상도를 다시 세우고 제생의세의 인도(人道)를 펼치는 도’이며 남을 잘되게 해야 내가 사는 후천의 윤리로 상극적 세상을 바로 잡는 진법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대순사상의 다섯 가지 도(道)에 대한 어원과 고전에서의 용례, 전경에서의 용례를 살펴보았다. 다음 장에서는 이를 근거로 하여 대순사상에서의 도의 개념이 지니는 특징에 대하여 논해보기로 하겠다.

Ⅳ. 대순사상에서 도 개념의 특징

상도(常道)에서 상(常)은 고전의 용례에서 대체로 영원불변을 의미하고 있다. 또한 만물은 변화하지만 변화한다는 속성 그 자체는 변하지 않는 것을 ‘상’이라 하여 항상 그러하다는 의미로 이해된다.140) 대순사상에서는 우주를 천계(天界)ㆍ지계(地界)ㆍ인계(人界)로 나누어 ‘삼계(三界)’141)라 하는데 삼계는 음양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기 이치와 경위와 법칙이 있다. 도가 음양이며 음양이 이치이며 이치가 곧 경위이며 경위가 곧 법이라고 하였으므로142) 상도는 음양지도(陰陽之道), 원형이정도(元亨利貞道)143), 천지지도(天地之道)를 말한다고 할 수 있다. 여기서의 상도는 고전에서 말하는 천도자연을 상도라고 보는 관점과 맥을 같이한다. 반면 노자는 천지자연의 법칙은 변하지 않는 상도이나 인도(人道)는 시대와 상황에 따라 변하는 권도(權道)로 보아 인도는 상도가 아니며 자연의 도만이 상도라고 하였다. 『전경』에서의 상도는 고전에서 말하는 상도와 다름이 없는 듯 보이나 하늘이나 자연이라는 단서는 보이지 않는다. 다만 대순사상에서 상도는 자연의 이법[天則: 우주 대자연의 법칙]뿐만 아니라 인ㆍ의ㆍ예ㆍ지의 윤리규범이 각 신계와 인간계에 통용되는 영원불변의 이치이자 신과 인간사이의 행위에도 두루 적용되는 궁극적인 준칙이라 할 수 있다.

천도(天道)에서 천은 전통적으로 하늘을 가리키는 창공의 의미를 넘어 인격적인 주재신 혹은 형이상학적인 천리 등의 관념으로 다양하게 인식된다. 대순사상에서 천은 고전에서의 용례와 마찬가지로 자연현상이나 만물의 원리뿐만 아니라 인격적인 상제를 포괄한다. 인간을 가르치기도 하고, 명령을 내리거나 거둬들이고 스스로 천지대도를 여는 초월적 주재자인 구천상제로 최고신의 위격을 갖는다. 세상을 구제하기 위한 여러 신성ㆍ불ㆍ보살들의 청원을 받아들여 직접 인간의 몸으로 인세에 강세하여 세계에 적극적으로 관여하기도 한다. 대순사상에서의 상제는 단순히 외경의 대상으로서만 존재하지 않고, 천지를 대순하고 제세대도를 계시하며, 또한 인세에 강세하여 천지공사를 집행하는 현실적 존재이다. 그러므로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천도(天道)의 의미는 자연의 법칙이나 도덕적 상징보다는 구천상제의 대순진리로 세상을 구제하는 제세대도라고 말할 수 있다.

신도(神道)에서 신은 『서경』에 하늘이나 상제로, 『사기』에서는 신선으로, 『도덕경』이나 『맹자』에서는 신령함의 의미를 나타내었다. 『전경』에서 신은 신명, 영혼, 기144) 등으로 표현된 바 있다. 『전경』에 나타난 신의 일반적인 속성을 살펴보면 인간사의 모든 희노애락(喜怒哀樂)의 감정을 그대로 드러낸다.145) 신은 인간이 없으면 의탁할 곳이 없고, 사람은 신이 없으면 이끌어 줄 대상이 없다. 따라서 신명은 사람을 기다리고 사람은 신명을 기다린다고 하였다.146)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 신은 단순히 인간에 의탁하여 원을 풀거나 권위와 외경의 대상으로만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즉 신과 인간이 화합하여 통하면 이룰 수 없는 일이 없으니 신도(神道)는 그 조화를 이루기 위한 길이라고 본다. 사람의 일을 이루는 것은 신의 일이 되고, 신의 일을 이루는 것이 또한 사람의 일이 되므로 서로의 길이 다르지 않다고 본다. 대순진리회의 신도는 상제의 가르침[神敎]인 제세대도의 대순진리를 이루기 위한 목적으로 자격을 갖춘 인간을 기다리며, 인간은 인존(人尊)으로서 신과 대등한 위치에서 합일하기를 바란다. 대순진리회의 신도는 신과 인간의 조화를 지향하는 관점에서 상호 불가분의 관계로 맺어진 도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인도(人道)는 전통적으로 자기를 낮추고 남을 높여주는 예를 갖추는 것으로 극기복례(克己復禮)를 통한 성인의 길이라고 할 수 있다. 유가에서 인간의 윤리적 가치는 천[元亨利貞]에 둔다. 천에 맞춰 인ㆍ의ㆍ예ㆍ지[人道]로 살아야 함을 강조하며 효제충신(孝悌忠信)을 실천 덕목으로 제시한다. 대순사상에서도 군사부에 대한 도리와 충ㆍ효ㆍ열을 인륜의 당위법칙으로 보고 있지만 인ㆍ의ㆍ예ㆍ지는 신에게도 요구된다는 점에서 유가와 차이가 있다. 대순사상의 인도는 하늘이 정한 도[濟世大道]를 따르는 길이라 할 수 있다. 삼계를 구하고자하는 상제의 도에 부합하기 위해 대순사상이 제시하는 성인의 길은 ‘제생의세(濟生醫世)’이다.147) 제생의세는 천도를 따르고 천지에 보은하는 길로 인도의 대의(大義)라 할 수 있으며 대순사상에서 말하는 인도의 특징이라고 본다.

대순사상에서 상생(相生)의 도는 곧 후천의 선경을 여는 도이다. 상생은 상대가 잘 되어야만 내가 잘 될 수 있는 관계의 이념이자 근원적 일체의 감정으로 상의(相依) 상보(相補)의 관계이다.148) 『도덕경』에서 언급된 ‘유무상생(有無相生)’에서의 상생은 모든 가치의 상대성을 전제한 것이며, 『역경(易經)』에서 말하는 ‘오행상생(五行相生)’ 또한 상호관계성을 전제한 자연철학을 나타내고 있다. 대순사상의 『전경』에서는 이와 같은 전통적 의미의 상생을 보다 윤리적이고 사회적인 측면으로 승화시키고 있다. 즉 ‘하늘은 땅이 없으면 그 밑으로 덕화를 펼 곳이 없고 땅은 하늘이 없으면 그 위로 공덕을 이룰 수 없다. 신은 사람이 없으면 의탁할 곳이 없고 사람은 신이 없으면 앞으로 이끌어 줄 대상이 없다’149)라 하여 상대가 있음으로 인해 비로소 나의 존재가 있다는 의미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대순사상에서는 도의 근원이 끊어지게 된 이유를 상극의 지배로 인한 결과로 보고 있다. 이어서 상제의 천지공사에서는 선천의 도수를 뜯어고치고 후천의 무궁한 선경의 운로를 열어서 선천에서의 상극에 따른 모든 원한을 풀고 상생의 도를 세운다고 하였는데,150) 여기서 상생은 모든 인간 사물의 상호 의존적인 관계를 전제하고 영원한 평화를 이루기 위한 궁극적인 진리로 제시되고 있다.

이상으로 살펴본 대순사상의 도 개념은 천ㆍ지ㆍ인 삼계와 그 관계 사이에 적용되는 이치로서 상도, 삼계를 구하고자 하는 상제의 의지의 표명인 제세대도의 천도, 천도를 따르는 제생의세의 인도, 인도에 신이 함께 하는 신도151), 제생의세와 화민정세를 위한 실천적 진리로서 상생의 도이다. 이를 종합하면 도는 천계와 지계, 신계와 인간계 모든 곳에 치우침 없이 적용되고 작동되는 구천상제의 제세대도로서 대순진리라고 할 수 있다.

Ⅴ. 맺음말

‘도’는 여러 사상이나 종교철학을 거치면서 시대에 따라 그 의미가 풍부해지고 심화 되었다. 통행하는 길에서 이치나 규범으로, 우주의 이법으로, 인간의 도리로, 만물의 근원적 진리로 폭넓은 개념을 지니며 변천하여 왔다. 고전의 용례에서 알 수 있듯 도는 어느 하나의 개념으로 규정 될 수가 없다. 단지 그 시대를 이끌어 가기 위해 시대의 상황에 맞추어 강조하는 부분이 있을 뿐이다. 유가 문헌에서 도는 군주와 신하, 부부, 부모와 자식 등 각자의 위치와 자리에서 지켜야 하는 사람의 도리[人道]를 말한다. 이러한 인ㆍ의ㆍ예ㆍ지의 상도는 대순사상에서 인도뿐만 아니라 신도에도 적용되고 있다. 대순사상의 천도는 천을 주재하고 통제 관장한다는 관점에서 상제의 도로 본다. 따라서 도가의 천도의 개념은 인격적 주재천이 아닌 만물의 존재 원리로 대순사상의 상도 개념에 포괄된다고 할 수 있다. 천도인 상제의 제세대도를 따르는 제생의세의 인도는 모든 분별이 사라져 고통으로부터 벗어나 불생불멸의 경지에 도달하기 위한 과정으로 불가에서 말하는 보살의 수행과 맥을 같이 한다고 본다.152) 이는 상극적 세상을 치유하여 새로운 세상을 열고 영원한 평화를 이루기 위한 궁극적 진리인 상생의 도에도 그 의미가 담겨있다 하겠다. 상도, 천도, 신도, 인도, 상생의도로 분류하여 살펴본 대순사상의 도 개념은 엄격하게 구분하여 정의하기에는 어려운 한계가 있으며 상제의 대순진리인 제세대도의 천도를 중심으로 복합적인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대순사상의 도는 그것이 등장한 시대적 배경과 사상적 특징을 담고 있다. 중국 고전에서 말하는 도와 동아시아의 사상을 대표하는 유ㆍ불ㆍ도에서 전개하는 도의 전통적 개념을 수용하면서도 특별히 신앙대상으로서의 상제의 의지를 내포하고 있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순사상에서 ‘도’란 우주의 시원(始原)이요, 이치요, 음양(陰陽)이요, 영원한 진리요, 생성(生成) 변화의 법칙이고, 부단불식(不斷不息)하여 무형무적(無形無跡)하고, 무성무취(無聲無臭)하지만 공명정대하여 무위무가(無僞無假)하며, 무편 무사하여 두과지리(豆瓜之理)의 속성을 지니는 진리의 도라는 점에서 사상적 보편성을 띠고 있다. 이처럼 대순사상은 도의 개념을 규정하는 과정에서 한국 근대의 민족종교사상이 지닌 보편성과 특수성의 양 갈래를 조화하고 발전시키면서 전개되어 나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Footnotes

1) 최동희, 「도를 통한 참된 지경에 대한 이해」; 양무목,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사상의 고찰」; 박용철, 「도통진경에 대한 이해」; 박승식, 「도통진경의 종교적 의의」, 주현철, 「도통진경의 실천적 배경」;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도통진경」; 이경원, 「도통진경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5 (1998);

양무목, 「도통진경의 의의와 실현」; 최동희, 「도통진경의 종교적인 의미」; 김홍철, 「도통진경의 원리와 실상」; 유재갑, 「도통진경의 실현 : 천지인의 합일」; 신철균, 「도통진경의 이해와 그 실현에 관한 연구」; 박광수, 「도통진경의 이상적 세계관」; 김방룡, 「도통진경과 그에 이르는 길」,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2) 김홍철, 앞의 글; 유재갑 앞의 글; 신철균, 앞의 글; 박광수, 앞의 글; 박용철, 앞의 글; 최동희 앞의 글; 양무목,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사상의 고찰」.

3) 박광수, 앞의 글; 박용철, 앞의 글; 박승식, 앞의 글; 주현철, 앞의 글; 고남식, 앞의 글; 양무목, 「도통진경의 의의와 실현」.

4) 김홍철, 앞의 글; 이경원, 「도통진경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양무목, 「도통진경의 의의와 실현」.

5) 동아출판 편집부, 『동아 새 국어사전』 (서울: 동아출판, 2018), p.617.

6) 『대학』, “如切如嗟者 學也 如琢如磨者 自修也.” 깎은 듯 다듬은 듯 하다는 것은 배움을 말하고, 쪼은 듯 간 듯 하다는 것은 수양을 뜻한다.

7) 『중용』, “道問學.” 묻고 배움을 거쳐야 한다.

8) 『논어』, “道千乘之國.” 천 승의 병거(兵車)를 가진 나라, 즉 많은 전차를 가진 강대국을 다스리다.

9) 같은 책, “道之以政.” 정령으로써 그들을 인도하다.

10) 민중서림 편집국, 『한한대자전』, (파주: 민중서림, 2018), p.2313.

11) 박기봉, 『한자정해』 (서울: 비봉출판사, 1996), p.842.

12) 張立文, 『도(道)』, 권호 옮김 (서울: 동문선, 1995), 참조.

13) 『주역계사』 상, “一陰一陽之謂道.”

14) 『중용』, 20장, “仁者人也.”

15) 『맹자』, 진심장구하 16, “仁也者 人也 合而言之 道也.”

16) 유승종, 「도통진경의 연원과 사상적 특징」, 『대순사상논총』 5 (1998) p.461.

17) 『논어』, 「학이」, “君子務本 本立而道生 孝悌而道生 基爲仁之本與.”

18) 『논어』, 「이인」, “子曰 參乎 吾道 一以貫之 … 曾子曰 夫子之道 忠恕而已矣.”

19) 『논어』, 「위정」, “人而無信 不知基可也.”; 「안연」, “子曰 主忠信 徙義崇德也.”

20) 『논어』, 「옹야」, “中庸之爲德也 基至矣乎.”

21) 『이정유서』, 권22 상, “又問 天道如何? 曰 隻是理 理便是天道也.”

22) 『주자어류』, 권5, “道卽性 性卽道.”

23) 『주자어류』, 권100, “道是在物之理 性是在己之理, 道是骨子便是性.”

24) 『이정유서』, 권22 상, “性卽理也 所謂理性是也 天下之理 原基所自 未有不善.”

25) 같은 책, “心卽理也 天下又有心外之事 心外之理乎 … 心卽理也 此心無私欲之蔽 卽是天理.”

26) 한동균, 「왕양명 심학에서 ‘심’의 의미 연구」, 『양명학』 23, (2009), p.85.

27) 등도, 보리ㆍ열반의 도, 중도의 의미는 張立文, 『도』, 권호 옮김 (서울: 동문선, 1995)에 의거해 분류하고 참조하였다.

28) 『合放光光贊隨略解序』, “等道有三義焉, 法身也, 如也, 眞際也.”

29) 張立文, 앞의 책, pp.175-176.

30) 같은 책, p.176.

31)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광륵사, (2015), pp.90-91.

32) 張立文, 앞의 책, p.179.

33) 『華嚴金師子章』, “菩提, 此云道也覺也.”

34) 『중론』, “不生亦不滅 不常亦不斷 不一亦不異 不來亦不去.” 공(空)이라함은 ‘없음(無)’이 아닌, 만유는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관계를 맺고 있다는 연기(緣起)를 말한다.모든 것은 연기의 소산으로 실체가 없으므로 집착의 대상도 될 수 없다는 것이다.

35) 張立文, 앞의 책, pp.190-193.

36) 박승식, 앞의 글, p.525.

37) 『도덕경』, 1장,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38) 같은 책, 25장,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39) 손흥철ㆍ박용석, 「노자와 공자의 도 개념과 사회정의 고찰」, 『동양고전연구』 66 (2017), p.234.

40) 『도덕경』, 37장, “道常無爲而無不爲.”

41) 같은 책, 42장, “道生一, 一生二, 二生三, 三生萬物. 萬物負陰而抱陽, 沖氣以爲和.”; 박승식, 앞의 글, p.526.

42) 『도덕경』, 40장, “天下萬物生於有 有生於無.”

43) 손흥철ㆍ박용석, 앞의 글, p.233.

44) 『전경』, 교법 2장 30절, “훼동도자(毁東道者)는 무동거지로(無東去之路)하고 훼서도자(毁西道者)는 무서거지로(無西去之路)하니라.”; 행록 3장 44절, “心也者鬼神之樞機也門戶也道路也 … 吾心之樞機門戶道路大於天地.”

45) 常道, 元亨利貞道, 天地之道, 地道, 天道, 濟世大道, 天地大道, 神道, 人道, 儒道, 佛道, 西道, 仙道, 相生의 道, 解冤相生 大道, 仙佛儒大道, 有道, 无極道, 衣食色之道, 生殺之道, 人神之道, 無量之大道, 變化之道, 성인의 도, 요순의 도, 陰陽之道, 吉凶禍福之道.

46) 양무목, 「도통진경의 의의와 실현」; 김홍철, 앞의 글; 이경원, 「도통진경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47) 김홍철, 앞의 글; 유재갑, 앞의 글; 신철균, 앞의 글; 박광수, 앞의 글; 양무목,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박용철, 앞의 글; 최동희, 「도를 통한 참된 경지에 대한 이해」.

48) 양무목,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박광수, 앞의 글; 박용철 앞의 글; 박승식, 앞의 글; 주현철, 앞의 글; 고남식, 앞의 글.

49) 양무목,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박광수, 앞의 글.

50) 김홍철 앞의 글; 유재갑, 앞의 글; 김방룡, 앞의 글.

51) 박광수, 앞의 글; 박용철, 앞의 글.

52) 박승식, 앞의 글; 주현철, 앞의 글.

53) 주현철, 앞의 글.

54) 고남식, 앞의 글.

55) 박용철, 앞의 글.

56) 민중서림 편집국, 앞의 책, 676.

57)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원불교대사전』 (익산: 원불교출판사, 2013), p.525.

58) 왕필(王弼)은 『도덕경』, 16장의 “知常日明 不知常 妄作凶.” 「王弼」注에서 [常之爲物 不偏不彰 無曒昧之狀 溫涼之象 故曰知常日明也.]: ‘상이란 편중되지 않고 드러나지 않으며, 밝거나 어두운 모습도 없고 따뜻하거나 쌀쌀한 흔적도 없다. 그러므로 상을 아는 것을 밝음이라고 한다.’와 55장 “和之至也 知和曰常”의 「王弼」注, 物以和爲常 故知和則得常也; ‘사물은 조화로 상을 삼는다. 그러므로 조화를 알면 상을 터득한다.’ 라 해서 상을 편중되지 않고 조화를 아는 것, 즉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지 않는 것’으로 보았다. 『도덕경』, 1장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의 「王弼」注, [可道之道 可名之名 指事造形 非基常也 故不可道 不可名也.] 김학목, 『노자도덕경과 왕필의 주』 (서울: 홍익출판사, 2014).

59) 왕필, 『노자지략』, p.42.

60) 『한비자』, 「해노」, 20편, “夫物之一存一亡 乍死乍生 初盛而後衰者 不可謂常 唯夫與天地之剖判也俱生 至天地之消散也 不死不衰者謂常.”

61) 『이정유서』, 권15, “天地之化 雖廓然無窮 然而陰陽之度 日月寒暑晝夜之變莫不有常 此道之所以為中庸.”

62) 전경용어사전, http://www.daesoon.org

63) 『전경』, 공사 1장 3절.

64) 같은 책, 교운 1장 9절.

65) 같은 책, 제생 43, “年月日時分刻輪廻 皆是元亨利貞天地之道也.”; 교운 2장 42절, 「운합주」, “元亨利貞天地之道.” 원형이정은 주역 계사(繫辭) 건괘(乾卦)에 나오는 말인데 대순사상에서는 법칙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66) 『대순지침』, p.44.

67) 『전경』, 제생 43절, “生殺之道, 吉凶禍福之道, 元亨利貞天地之道.” 生殺之道의 ‘殺’은 덜다, 감삭(減削)하다로 ‘감쇄’의 뜻으로 보았다.

68) 같은 책, 교법 3장 47절, “衣食色之道.”

69) 같은 책, 교운 2장 42절, 「음양경」, “乾定坤順乾陽坤陰 … 天地之事皆是陰陽中有成萬物之理皆是陰陽中.”

70) 같은 책, 제생 43절, “陰殺陽生 陽殺陰生 生殺之道 在於陰陽 人可用陰陽然後 方可謂人生也.”

71) 최상용, 『도덕경 : 노자도덕경 하상공장구』 (고양: 일상이상, 2018), p.78.

72) 『시경』, 「대아(大雅)ㆍ한록(旱麓)」; 『중용』, 12장, “詩云 鳶飛戾天 魚躍于淵 言其上下察也.”

73) 『주역계사』 상, 12장, “易曰 自天祐之 吉无不利.”

74) 『논어』, 「옹야」, “夫子矢之曰 予所否者 天厭之 天厭之.”; 『맹자』, 「이루」상, 7장, “孟子曰 天下有道 小德 役大德 小賢 役大賢 天下無道 小役大 弱役强 斯二者 天也 順天者 存 逆天者 亡.”

75) 『순자』, 「천론」, “天行有常 不爲堯存 不爲桀亡.”

76) 『전경』, 공사 3장 39절, “天道敎桀於惡天道敎湯於善.”

77) 같은 책, 교운 2장 42절, 「음양경」, “神人相通然後天道成而地道成.”

78) 같은 책, 교운 1장 9절.

79) 같은 책, 예시 68, “天有日月之明 地有草木之爲 天道在明故 人行於日月 地道在爲故 人生於草木.” 하늘에는 일월의 밝음이 있고 땅에는 초목의 다스림이 있다. 하늘의 도는 밝음에 있으므로 사람은 일월처럼 행하고 땅의 도는 다스림에 있으므로 사람은 초목처럼 살아야 한다. 사람은 천도와 지도에 따라 살아야 하므로 여기서 ‘천도’의 의미는 이치와 법칙을 의미하는 ‘상도’로 볼 수 있다.

80) 같은 책, 행록 3장 13절.

81) 다산(茶山) 정약용은 인격성을 가진 최고위의 신격으로서 상제의 속성을 영명천(靈明天)으로 표현한다. 영명하다는 것은 초월적 감찰 능력으로 모든 사람의 마음속을 바로 꿰뚫어 볼 수 있는 가장 밝은 앎 전지(全知)를 뜻한다. 이경원, 『한국의 종교사상』, (서울: 도서출판 문사철 2010), p.255.

82) 『전경』, 교운 1장 9절.

83) ‘천명과 신교’는 ‘제세대도’로 여기서의 신(神)은 상제를 말하며 신교는 ‘상제의 가르침’을 말한다.

84) 『전경』, 행록 2장 12절, “ … 마침내 七월 五일에 오룡허풍(五龍噓風)에 천지대도(天地大道)를 열으시고 방 안에서 금곡을 불러 미음 한 잔만 가지고 오라 하시니 금곡이 반겨 곧 미음을 올렸느니라.”

85) 『대순지침』, p.17, p.23 참조.

86) 『전경』, 교운 1장 9절, “ … 천하를 대순(大巡)하다가 이 동토(東土)에 그쳐 … ”; 권지 1장 11절, “ … 천하를 대순하다가 삼계의 대권을 갖고 삼계를 개벽하여 선경을 열고 … ”; 교운 1장 64절, “ … 「각처의 종도들에게 순회ㆍ연포 하라」는 분부를 받고 「이 일이 곧 천지의 대순이라」는 말씀을 들었도다.”; 교운 2장 6절, “도주께서는 九년의 공부 끝인 정사년에 상제의 삼계대순(三界大巡)의 진리를 감오(感悟)하시도다.”

87) 『주역계사』, 상, 「건괘」, “分而言之 則以形體謂之天 以主宰謂之帝 以功用謂之鬼神 以妙用謂之神 以性情謂之乾 乾者 萬物之始 故爲天 爲陽 爲父 爲君.” 나누어 말하면 형체로써 말할 때는 하늘이라 하고 주재 관장할 때는 상제라 하고 역학적 음양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지칭할 때는 귀신이라 하고 신묘한 작용으로써 말할 때는 신이라 하고 성정으로 말할 때는 건이라 한다. 건은 만물의 시초이다. 그러므로 하늘이 되고 양이 되고 아버지가 되고 군주가 된다. 주역에 근거하면 천(天)을 부르는 용어는 경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대순사상에서의 천도는 이러한 구분을 엄격히 적용 하였다기보다 주재하고 통제 관장하는 최고신의 관점으로 천도를 ‘상제의 도’라는 뜻으로 구별하였다.

88) 박기봉, 앞의 책, p.189.

89) 『서경』, 권5, 「상서, 제17편 미자」, “父師 若曰 王子 天毒降災 荒殷邦 方興 沈酗于酒 乃罔畏畏 咈其耈長舊有位人 今殷民이 乃攘竊神祇之犧牷牲 用以容 將食無災.”

90) 『사마천 사기』, 권12, 「효무본기(孝武本紀) 봉선(封禪)」, 將招來神僊之屬, 東至海上, 考入海及方士求神者, 莫驗, 然益遣, 冀遇之, 『도덕경』 60장, 非其鬼不神, 其神不傷人, 『맹자』, 「진심장구」하 25장, 聖而不可知之之謂神.

91) 민중서림편집국, 앞의 책, p.1594.

92) 『전경』, 교법 1장 49, 50절.

93) 대신명, 문신 무신 상계신 중계신 하계신, 호소신, 중천신 황천신, 도술신명, 동학신명, 선령신, 도통신, 천지신, 황극신, 문명신 지하신, 지방신, 천지대신명, 예고신 예팽신 석란신, 통정신, 원신, 조선신명 서양신명, 서신, 군자신, 청국만리창 신명.

『전경』 순서대로 행록 4장 8절, 행록 5장 38절, 공사 1장 16절, 공사 1장 29절, 공사 2장 4절, 공사 2장 19절, 공사 3장 9절, 공사 3장 15절, 공사 3장 22절, 공사 3장 41절, 교운1장 9절, 교운1장 63절, 교법 3장 18절, 예시 3절, 예시 25절, 권지 1장 11절, 예시 30절, 예시 50절, 예시 69절.

94) 같은 책, 교법 3장 2절 참조.

95) 같은 책, 교법 2장 14절, 36절 참조.

96) 같은 책, 교법 2장 23절 참조.

97) 같은 책, 교법 2장 17절 참조.

98) 같은 책, 교법 1장 29절 참조.

99) 같은 책, 교법 3장 44절 참조.

100) 같은 책, 교법 3장 35절.

101) 박승식, 앞의 글, p.548.

102) 『전경』, 교운 2장 42절, “仁義禮智人神之道.”

103) 같은 책, 교법 3장 1절, 4절 참조.

104) 『대순지침』, p.39, “우리 도(道)는 신도(神道)임을 누차 말하였으나 깨닫지 못함은 신도와 인위적(人爲的)인 사도(邪道)를 구별하지 못한 까닭이다. 도인들은 항상 어디서나 신명의 수찰이 있음을 명심하고 속임과 거짓이 없이 도인의 본분을 바로 지켜야 한다.”; 같은 책, p.75, “우리의 도(道)가 신도(神道)라는 진리를 깨우쳐 줄 때에 체계 있는 말로 전하라.”

105) 민중서림편집국, 앞의 책, p.89.

106) 『서경』, 권4, 「주서」 1장, 태서 상, “惟天地萬物父母,惟人萬物之靈.”

107) 『맹자』, 「양혜왕장구」하 7장, “國人皆曰賢然後 察之 見賢焉然後用之.” 백성들이 모두 현명하다고 한 이후에 살펴서, 현명함을 본 이후에 그를 써야 합니다.

108) 『논어』, 「술이」, “三人行必有我師.”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반드시 나의 스승이 있다.

109) 『장자』, 「외편」, 추수, “牛馬四足 是謂天 落馬首 穿牛鼻 是謂人. 故曰 无以人滅天 无以故滅命 无以得.” 소와 말에게는 네 개의 발이 있는데 이를 일러 하늘의 자연이라 하고, 말의 목에 멍에를 메서 소에게 코뚜레를 꿰는데 이를 일러 사람의 작위라 한다. 그러므로 인위적인 일로 자연을 멸망시키지 말고 의도적으로 천명을 끊게 하지 말고 덕을 명성 때문에 버리지 말라.

110) 『사기』, 권130, 태자공자서(太史公自序), “家給人足.” 집집마다 풍족하고 사람마다 넉넉하리.

111) 『중용』, 14장, “正己而不求於人 則無怨.”

112) 『전경』, 행록, 3장 36절.

113) 같은 책, 행록 5장 38절, “忘其父者無道 忘其君者無道 忘其師者無道 世無忠 世無孝 世無烈 是故天下皆病.”

114) 『대순지침』, p.68,

115) 같은 책, p.69, 참조.

116) 『전경』, 교운 2장 42절, “仁義禮智人神之道.”

117) 같은 책, 교운 1장 46절.

118) 같은 책, 교운 1장 29절 참조.

119) 같은 책, 교법 1장 23절 참조.

120)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서울: 예문서원 2018), pp,16-20 참조

121) 『전경』, 교운 1장 16절, “제생 의세(濟生醫世)는 성인의 도요 재민 혁세(災民革世)는 웅패의 술이라.”

122) 『대순지침』, p.93.

123) 동아출판편집부, 앞의 책, p.1259.

124) 같은 책, p.1252.

125) 『도덕경』, 2장,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巳.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巳.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較, 高下相傾, 音聲相和, 前後相隨.”

126) 김학목, 앞의 책.

127) 『전경』, 교법 3장 6절, “만고 역신을 해원하여 모두 성수(星宿)로 붙여 보내리라. 만물이 다 시비가 있되 오직 성수는 시비가 없음이라. … 모든 역신은 이것을 크게 싫어하므로 만물 중에 시비가 없는 성수로 보낼 수밖에 없나니라.

128) 같은 책, 교법 3장 6절, 23절, 참조.

129) 같은 책, 공사 1장 29절 중천신 해원; 공사 2장 3절 단주해원; 공사 2장 22절 최익현 박영효 해원; 공사 3장 2절 최수운 동학신명해원; 공사 3장 17절 진시황 해원; 권지 2장 37절 진묵해원; 예시 22절 신농씨와 강태공 해원.

130) 같은 책, 공사 3장 5절.

131) 같은 책, 공사 2장 3절, 공사 2장 4절, 공사 3장 18절.

132) 같은 책, 공사 1장 10절ㆍ32절, 교법 1장 9절ㆍ68절.

133) 같은 책, 행록 2장 15절.

134) 같은 책, 공사 1장 3절, 교법 3장 34절, 예시 8절.

135) 같은 책, 제생, 43절, “陰殺陽生 陽殺陰生 生殺之道 在於陰陽 人可用陰陽然後 方可謂人生也.”

136) 같은 책, 교법 1장 18절 참조.

137) 같은 책, 공사 1장 3절, 5절.

138) 같은 책, 공사 1장 3절.

139) 같은 책, 교운 1장 16절.

140) 김충렬은 ‘常道’를 일반적으로 ‘영원불변의 도’라고 풀이하지만 엄격히 말하면 동양에서는 영원불변의 도란 없다. 영원불변의 도란 서양의 본체개념, 신(神)개념에서나 찾아볼 수 있다. 그러므로 ‘常’의 본의는 순환변화를 통한 ‘영상(永常)’이지 불변자의 ‘常’이 아니다. 김충열, 「노자강의」 (서울: 예문서원, 2004), p.129

141) 여기서의 삼계(三界)는 우주를 공간개념으로 구분하여 세 개의 세계로 표현하는 대순사상의 고유한 용어로 불교에서의 삼계, 즉 욕계(欲界)ㆍ색계(色界)ㆍ무색계(無色界)와는 구분된다.

142) 『대순지침』, p.18.

143) 『전경』, 공사 3장 39절.

144) 같은 책, 교법 3장 2절.

145) 다른 지역으로 가서 대란을 일으키고, 원한을 품고, 악독한 귀신은 인명을 살해하고, 전쟁에서 이기면 춤추고 지면 이를 갈고, 인간에게 노여워하고 괴로워하고 감동하고, 인간에게 돈을 받고 위로를 받고, 덕을 베풀지 못하는 인간에게 화를 주고 편벽된 처사에 덜미를 치고 목을 끌어내고, 먹줄을 잡고 불 칼을 들고 죄지은 것을 밝히고, 참혹한 응징을 하고, 옮겨 다니고, 인간이 먹는 대로 흠향하고, 은혜를 갚고, 문화계발에 역사하여 인세에 베풀고, 만유를 재제하고, 만인의 추앙을 받는 등.

146) 같은 책, 교운 2장 42절, “神無人後無托而所依人無神前無導而所依神人和而萬事成神人合而百工成神明竢人人竢神明 … .”

147) 같은 책, 교운 1장 16절 참조.

148)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논총』 4 (1998). p,549.

149) 『전경』, 교운 2장, 42절. 「음양경」, “天無地化無布於其下 地無天功無成於其上, 神無人後無托而所依 人無神前無導而所依.”

150) 같은 책, 예시 6절.

151) 유가는 고대의 인격천 개념을 넘어 이법천으로 전화(轉化)되어 철학화 하였다. 근대 물질문명의 발전과 이성 중심사고는 신을 부정하며 인간을 신으로부터 독립하게 하였다. 대순사상은 이러한 인류의 교만이 천리를 흔들고 자연을 정복하려는 죄악을 저질러 신도가 권위를 잃고 천도와 인사의 상도가 여겨져 도의 근원이 끊어지게 되었다고 본다. 그러한 상극적 세상을 바로잡기 위해 상제가 인세에 강세하였으므로 대순사상의 천도와 신도에는 인격성이 강조되고 있다고 본다.

152) 보살의 수행은 흔히 “위로는 깨달음을 구하고 아래로는 중생을 교화한다(上求菩提 下化衆生)”는 말로 표현된다. 보살은 생사와 열반, 번뇌와 보리, 나와 남 등의 모든 분별을 떠나 평등한 수행을 할 뿐만 아니라 궁극적인 경계를 얻는 일도 없다. 따라서 보살의 수행은 아라한의 출세간(出世間)적인 수행과 달리 중생계에 회향(廻向)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 개론』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2), p.166.

참고문헌(References)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대순지침』,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2.

3.

『대순진리회요람』, 여주: 대순진리회 교무부, 2010.

4.

『노자지략』

5.

『이정유서』

6.

『전습록』

7.

『주역계사』

8.

『주자어류』

9.

『한비자』

10.

『논어』

11.

『도덕경』

12.

『맹자』

13.

『순자』

14.

『역경』

15.

『역전』

16.

『중용』

17.

『사기』

18.

『서경』

19.

『장자』

20.

『춘추좌전』

21.

『사마천 사기』

22.

『서경』

23.

동아출판 편집부, 『동아 새 국어사전』, 서울: 동아출판, 2018.

24.

민중서림편집국, 『한한대자전』, 파주: 민중서림, 2013.

25.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원불교대사전』, 익산: 원불교출판사, 2013.

26.

김학목, 『노자도덕경과 왕필의 주』, 서울: 홍익출판사, 2014.

27.

고남식, 「전경에 나타난 음양합덕의 원리」, 『대순사상논총』 2, 1997.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7.2..015

28.

고익진, 『불교의 체계적 이해』, 서울: 광륵사, 2015.

29.

교양교재편찬위원회, 『불교학 개론』, 서울: 동국대학교 출판부, 2012.

30.

김방룡, 「도통진경과 그에 이르는 길」,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31.

김충열, 『노자강의』, 서울: 예문서원, 2004.

32.

김홍철, 「도통진경의 원리와 실상」, 『대순진리학술논총』 5 , 2009.

33.

박광수, 「도통진경의 이상적 세계관」,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34.

박기봉, 『한자정해』, 서울: 비봉출판사, 1996.

35.

박승식, 「도통진경의 종교적 의의」,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5

36.

박용철, 「도통진경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4

37.

손흥철ㆍ박용석, 『노자와 공자의 도 개념과 사회정의 고찰』, 『동양고전연구』 66, 2017.

38.

신철균, 「도통진경의 이해와 그 실현에 관한 연구」,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39.

양무목, 「종교와 문학을 통한 도통진경 사상의 고찰」,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3

40.

양무목, 「도통진경의 의의와 실현」,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41.

유승종, 「도통진경의 연원과 사상적 특징」,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10

42.

유재갑, 「도통진경의 실현: 천지인의 합일」,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43.

이경원, 「해원상생의 의미와 천지공사」, 『대순사상논총』 4,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4..014

44.

이경원, 「도통진경의 사상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9

45.

이경원, 『한국의 종교사상』, 서울 : 도서출판 문사철, 2010.

46.

張立文, 『도(道)』, 권호 옮김, 서울: 동문선, 1995.

47.

정병석, 『주역과 성인, 문화상징으로 읽다』, 서울: 예문서원, 2018.

48.

주현철, 「도통진경의 실천적 배경」,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17

49.

최동희, 「도를 통한 참된 경지에 대한 이해」, 『대순사상논총』 5, 1998 http://uci.or.kr/G704-SER000013278.1998.5..002

50.

최동희, 「도통진경의 종교적인 의미」, 『대순진리학술논총』 5, 2009.

51.

최상용, 『도덕경 : 노자도덕경 하상공장구』, 고양: 일상이상, 2018.

52.

한동균, 「왕양명 심학에서 ‘심’의 의미 연구」, 「양명학」 23, 2009.

53.

《전경용어사전》 http://www.daesoon.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