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icle

인존사상에 대한 인간학적 접근

윤재근 1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대진대학교 대순종학과 교수
Corresponding Author : 윤재근

ⓒ Copyright 1999,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Published Online: May 27, 1999

목차

  • Ⅰ. 논의의 성격

  • Ⅱ. 인간의 문제에 대한 인간학적 해석의 틀

    • 1. 인간의 실질적 존재방식으로서의 생명적 차원과 정신적 차원

    • 2. 정신적 존재로서의 인간과 다양성, 그리고 가치대립의 문제

    • 3. 실존적 존재로서의 인간존재와 전인적 인간의 지향

  • Ⅲ. 인존사상에 대한 인간학적 조명

    • 1. 인존의 실제성과 구아르디니에 있어 인간의 실체적 통일성의 문제

    • 2. 인존의 전일성과 셸러에 있어 정신과 생명의 문제

    • 3. 인존의 가치론적 의미와 셸러에 있어 인격의 완전성과 도덕적 자유의 문제

  • Ⅳ. 인존사상의 인간학적 의미


참고문헌

1.

김병옥(1998), 인간본질론,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교재.

2.

김병옥(1997), 인간학과 교육, 동국대학교 대학원 미간행 교재.

3.

김하태(1985), 동서 철학의 만남, 서울: 종로서적.

4.

윤재근(1996), 대순진리회와 인존사상 종교교육학연구2, 서울: 한국종교교육학회.

5.

윤재근(1997A), 陰陽合德 一試論 -음양론에 관한 몇 가지 논의-, 대순사상논총2, 경기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6.

윤재근(1997B), 神人調化에 나타난 神人關係 硏究, 대순사상논총3, 경기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7.

윤재근(1998A), 大巡眞理會 宗旨의 個別的 特性, 대순사상논총6, 경기 포천: 대순사상학술원.

8.

윤재근 외(1998B), 한국의 종교와 인격교육, 서울: 아름다운 세상.

9.

윤재근(1998c), 다종교사회에 있어 대순진리회와 종교교육, 한국종교교육학회 1998년도 추계학술대회 다종교사회와 종교지도자 교육 자료집.

10.

이계학(1995), 양명학파의 인격교육론, 한국의 교육과 윤리 제5집, 경기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1.

진교훈(1996), 철학적 인간학 연구 Ⅱ, 서울: 경문사.

12.

진교훈(1994), 철학적 인간학 연구 Ⅰ, 서울: 경문사.

13.

조정옥(1997), 우주에서 인간의 지위, 오늘의 철학적 인간학, 서울: 경문사.

14.

이경원(1997), 로마노 구아르디니의 인간학, 오늘의 철학적 인간학, 서울: 경문사.

15.

조가경(1993), 실존철학, 서울: 박영사.

16.

박영선(1997), 쉴러의 미적 인간관, 오늘의 철학적 인간학, 서울: 경문사.

17.

서경수 외(1984), 종교와 윤리, 경기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8.

I.Kant. 이남원 역(1998), 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울산: UUP.

19.

J.M.Rich. 김정환 역(1985), 인간주의 교육학, 서울: 박영사.

20.

E. Coreth. 진교훈 역(1997), 철학적 인간학, 서울: 종로서적.

21.

M.Landmann. 진교훈 역(1998), 철학적 인간학, 서울: 경문사.

22.

H. Bergson, 송영진 역(1998), 도덕과 종교의 두 원천, 서울: 서광사.

23.

E.Fromm, 황문수 역(1996), 인간의 마음, 서울: 문예출판사.

24.

O.F.Bollnow, 하영석, 허재윤 역(1998), 교육학과 인간학, 서울: 형설출판사.

25.

J. Dewey(1958), Art as experience, N.Y: Capricon Books.

26.

C.M.Smith(1971), The Aesthetics of John Dewey and Aesthetic Education, Aesthetic and Problems of Education Univ, of Illinois press.

27.

E. Spranger(1935), Das ethische Moment is Gesundsein und Kranksein, T. Brugsch, Einheitsbestrebungen in der medizin. Bd.2.Dresden.

28.

K. Jaspers(1977), Philosophische Autobiographie, Geweiterte Neuausgabe. munchen.

29.

A. Schilson(1990), Romano Guardini und die Theologie der Gegenwart, Theologie und Glaube, Jahrgang.

30.

C.A van Reursen, 손봉호, 강영안 역(1985), 몸 영혼 자신-철학적 인간학 입문, 서울: 서광사.

31.

G. Siewerth(1963), Der Mensch und sein Leib, Einsiedeln.

32.

A. Gehlen(1966), Der mensch, FrankFurt.

33.

R. Guardini(1955), Der gegeusatz, Mainz.

34.

M.S.Frings(1965), Max Scheler: A Consise Introdution into the World of a Great Thinker Pittsburgh.

35.

I. Lakatos(1978),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Programmes, Cambridge.

36.

A. Fein(1986), The shaky game: Einstein Realism and the Quantum Theory, Chicago.

37.

M.Scheler(1976), Vom Umsturz der Werte.

38.

M.Scheler(1980), Die Wissensformen und die Gesellschaft.

39.

M.Scheler(1987), Schriften aus dem Nachlaß.

40.

F.Schiller, W.Dusing(1981), Uber die asthetische Erziehung des Menschen, Mun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