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논문

연대기(年代記)로 본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전경(典經)』 구절의 양상과 의미: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와 관련하여

고남식 1 , *
Nam-sik Ko 1 , *
Author Information & Copyright
1대진대학교 교수
1Professor, Department of Daesoon Theology, Daejin University

© Copyright 2023,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Received: Jan 25, 2023; Revised: Mar 04, 2023; Accepted: Mar 08, 2023

Published Online: Mar 31, 2023

국문요약

이글은 강증산 생애 관련 『전경』(1974) 구절들에 맞춰, 이상호가 1926년에 편찬한 강증산에 대한 최초의 추보식 기록인 『증산천사공사기』(1926)에 수록된 연월일 표기와 그 내용이 어떤 관계에 있는가를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전체 『전경』의 각 편(編)별 기록을 연대기에 토대해서 볼 때 각 편들에 두 개의 큰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연대기적으로 기록된 편과 그렇지 않은 편이다. 행록, 공사, 교운, 권지 1장은 추보식 연대기 기록으로 명확히 볼 수 있다. 그러나 교법은 전 편에서 연도가 있는 구절이 총 11개, 제생 편은 2개, 예시 편은 5개로 나타나 연대기적 기록으로 보기 어렵다. 『전경』의 내용은 목차별로 되어있다. 이를 연도별로 편찬된 『증산천사공사기』의 내용과 비교해보면 구절들의 대부분이 연도가 같게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그 구절 가운데는 같은 구절의 내용인데 서로 다른 연도로 되어 있는 것도 보인다. 새로운 시기의 구절이 나타나기도 한다. 구절에 한 편에는 없는 새로운 내용이 가미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두 문헌에서 같은 내용의 구절이 다르게 연월일이 기록된 것은 추가적으로 복합적 관점에서 다양한 면으로 그 정확한 시기를 찾는 고찰이 필요하다. 크게 보아 주제별로 되어있는 『전경』을 연도별로 정리해서 그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추보식 정리를 통해 각 편을 통합해서 좀 더 보충적으로 강증산의 행적에 대해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examine whether the parallel passages from The Canonical Scripture and Jeungsan Cheonsa Gongsagi (甑山天師公事記 Records of the Reordering Works of Celestial Master Jeungsan), the first full-length record related to the life of Kang Jeungsan compiled by Lee Sang-ho, indicate the same chronology. A comparison of the contents betwee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Jeungsan Cheonsa Gongsagi revealed the following.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are categorized by a table of contents. By way of contrast, the contents of Jeungsan Cheonsa Gongsagi, is organized year by year. When parallel passages appear, the two texts tend to indicate the same year for specific events, but the chronology of some events do not match. A comparison of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 first edition of Daesoon Jeongyeong (大巡典經 The Canonical Scripture of the Great Itineration) shows the following. Once again, the contents of The Canonical Scripture are organized via a table of contents. The contents of the first edition of the Daesoon Jeongyeong are also indicated through a table of contents. When lined up for comparison, most of the passages show the same content to have occurred in matching years. However, new contents are contained in this record that were absent in Jeungsan Cheonsa Gongsagi. All of these texts contain a summary of the life of Kang Jeung-san; however, they are organized differently. Jeungsan Cheonsa Gongsagi presents that summary chronologically (year by year with some gaps in years). Daesoon Jeongyeong and The Canonical Scripture both feature a table of contents wherein chapters are based around specific themes. One key takeaway is that different passages appear in the contents of each text. Also, The Canonical Scripture and the first edition of the Daesoon Jeongyeong contain some parallel passages wherein the two texts disagree on what year some events took place. Despite the different style of organization, Jeungsan Cheonsa Gongsagi and The Canonical Scripture can still be compared and such comparison shows the same pattern as comparison between The Canonical Scripture and Daesoon Jeongyeong. As a result of organizing and comparing the contents of the table of contents with the chronological record, the parallel passages wherein chronology is disputed can be highlighted and the introduction of new passages can also be shown.

Keywords: 『증산천사공사기』; 『전경』; 『대순전경』; 연대기(年代記); 생애
Keywords: Jeungsan Cheonsa Gongsagi; The Canonical Scripture; Daesoon Jeongyeong; chronology; life

Ⅰ. 머리말

조선사회의 본격적인 개화(開化)가 시작되던 20세기 초 ‘참동학(東學)’이라는 이름으로 지상천국(地上天國)을 이루기 위한 새로운 사회혁신 운동을 일으킨 강증산(姜甑山, 1871~1909)1)에 관한 최초의 기록은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2)(1926)이다. 이후 『증산천사공사기』는 1929년부터 1965년까지 『대순전경(大巡典經)』이라는 책명으로 6판까지 발행되었는데 『증산천사공사기』만이 연대기(年代記)로 되어 있다. 『전경』3)은 조정산(趙鼎山, 趙聖玉皇上帝, 1895~1958) 도주(道主)가 창도(創道)한 종단(宗團) 무극도(无極道, 1925)로부터 연맥(緣脈)되는 한국을 대표하는 자생(自生) 종단인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 1969)의 경전으로, 교무부(敎務部)에서 출판되었다. 「행록(行錄)」, 「공사(公事)」, 「교운(敎運)」, 「교법(敎法)」, 「권지(權智)」, 「제생(濟生)」, 「예시(豫示)」편으로 분류되어 총 7개 편인데 전체 편(編)은 아니지만 『전경』은 일부 편들이 연대기식(年代記式)으로 기록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전경』을 각 편의 내용으로 보면, 신격위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인 강증산의 생애를 총체적으로 요약해 기록한 「행록」, 강증산의 광구천하(匡救天下)의 성적(聖蹟)인 「공사」, 강증산의 가르침의 운세를 보여주는 「교운」 1 장, 강증산으로부터 천부(天賦)의 종통(宗統)을 계시(啓示)로서 전수(傳受)받은 조성옥황상제(道主, 趙鼎山)의 생애와 포교(布敎) 50년간(1909~1958)의 공부(工夫)의 행적을 기록한 「교운」 2장, 강증산이 윤리도덕과 관련 계율적 가르침으로 홍포한 「교법」, 강증산이 소유한 권능(權能)과 지혜(智慧)를 기록한 「권지」, 강증산의 치병(治病)과 인류 구원(救援)의 행적인 「제생」, 강증산이 후천이라는 미래에 대해 천지공사를 통해 미리 보여준 「예시」로 되어 있다. 이 편들 가운데 무엇보다 『전경』에서 가장 중요하게 주목되는 편과 장(章)은 대순진리회의 신앙의 대상인 강증산의 종통(宗統)을 계시(啓示)로서 전수(傳受)받은 조성옥황상제인 도주 조정산에 관한 기록인 「교운」편 2장이다.

현재까지 강증산 관련 문헌적 기록에 대한 연구를 보면 『전경』의 각 편의 총체적 의미와 구절들에 대한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 기록의 『대순전경』과의 변이를 비교하는 고찰이 중심이 되어 연구되었다. 구천상제인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문헌적 연구사를 보면, 「증산교의 교리체계화 과정」,4) 『대순전경』의 사적 의의」5)라는 연구를 이어, 상제 관련 최초의 기(記)형태의 문헌인 『증산천사공사기』에 대해 연구6) 그리고 상제 관련 기록 문헌의 역사를 살피고 해원(解冤) 주제에 주목한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연구」7)라는 논의가 진행된 바 있다.8) 여기에 『전경』(1974)의 「교법」편9)과 「공사」편10) 및 「행록」편 그리고 「권지」편, 「제생」편과 관련해서 그 내용을 요약적으로 고찰하고 『대순전경』 초판부터 6판 (1929~1965)까지의 구절과 비교하여 내용의 변이를 논의한 연구도 이루어진 바 있다.

이러한 고찰에서 더 나아가 이번 연구는 『전경』에 대해 주제별 편명으로 되어 있는 것을 연도별로 통합하여 연대기적으로 그 구절의 양상을 보고 그 드러난 문헌상의 의미를 살펴볼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에 이글은 제목을 따라 집편(集編)된 『전경』에 대한 연대기에 따른 강증산 성사(聖師)에 대한 기록의 재편성을 통한 읽기이며 나아가 1926년에 최초 목차가 없이 연대기식으로 강증산의 전(全) 생애를 기록한 『증산천사공사기』와의 비교 고찰이다. 즉 이상호가 1926년에 편찬한 강증산 생애 관련 연대기에 따른 최초의 추보식 기록인 『증산천사공사기』와의 함께 읽기이며, 그 시기와 내용의 차이 등에 대한 문헌상 의미의 고찰이다. 이는 1871년 강세(降世)하여 1909년 화천(化天)한 강증산 구천상제의 생애에 대해 연대기에 따른 이해를 위한 시론적 작업이며 그 두 문헌의 구절 내용에 대한 문헌학적 고찰이다. 이에 이글은 두 가지 면에 대한 접근이 된다. 그것은 첫째로 문헌에 연월일(年月日) 등11)으로 시기가 기록된 『전경』과 『증산천사공사기』의 동일한 내용이 연대기적 기록상 어떠한가와 둘째로 그 구절들 중 시기가 기록되지 않은 『전경』의 구절 내용이 『증산천사공사기』에서는 어는 시기로 대비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다만 『전경』의 양의 방대함으로 인하여 이번 고찰에서는 1871년부터 1902년까지의 기간에 한정하여 그 고찰의 시기를 조절하였다.

이 두 가지 면을 살펴보기 위해 이글은 Ⅱ장에서 목차로 되어있는 『전경』 각 편의 구절에서 연월일의 기록 양상을 표로 정리하고 『전경』의 연대기적 이해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찾아보았다. Ⅲ, Ⅳ장에서는 1871년부터 1902년까지의 시기로 한정된 『전경』 각 편 구절들을 『증산천사공사기』의 같은 시기의 내용과 비교하여 그 양상을 보이고 이에 대해 문헌상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이를 통해 최초 연도별로 기록된 『증산천사공사기』와 관련해서 『전경』의 편에 따른 주제별 기록이 어떻게 연월일 상의 차이가 있고 또 내용상 변이가 어떠한가를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향후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더 나아가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연대기적 고찰에서 두 문헌의 구절에 나타나는 차이점과 『공사기』를 통해 더 추가되는 구절들을 수용하여 종합적 관점에서 향후 강증산 사상에 대한 통합화된 체계적 연구를 진행하는데 이번 연구가 일조할 것으로 사료된다. 아울러 이번 연구는 『증산천사공사기』를 이어 3년 뒤부터 6판까지 간행된 문헌인 『대순전경』에 나타나는 구절의 양상과의 비교를 통해, 연대기를 공통분모로 하는 강증산 생애에 대한 문헌 기록적 양상과 추이에 대한 정리와 종합적 연구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생각된다.

Ⅱ. 편(編)별로 본 『전경』 구절의 연대기적 양상

『전경』은 7개의 편(編)으로 되어있다. 『전경』 전체 편은 모든 편은 아니지만 구절들이 연도별로 배열되어 있는가, 아닌가의 두 형식으로 볼 수 있다. 「행록」, 「공사」, 「교운」 1장, 「권지」 1장 등 네 개 편은 전체적으로 보아 편 안의 구절들이 연대기식으로 되어 있지만12) 「교법」, 「제생」, 「예시」 등 3편은 몇 구절을 빼면 거의 모든 구절이 연월일이 없는 구절들이다. 구절의 모두는 아니지만 연월일이 순차적으로 나타나는 편은 행록, 공사, 교운, 권지 편이다. 교법과 제생 및 예시에도 연월일이 기록된 구절이 있기는 하지만 서너 개의 구절이기 때문에 강증산의 생애를 따라 연대기식으로 구절이 수록되었다고 보기 힘들다.

한편 『전경』은 크게 두 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강증산 의 강세(降世)로부터 화천(化天)까지의 전 생애를 요약적으로 담고 있는 「행록」편과 강증산의 전 생애에서 가장 대표되는 중요한 성적(聖蹟)을 6개의 편으로 나누어 기록한 부분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토대 위에 강증산의 종통을 전수(傳受)받은 조정산의 생애와 또한 조정산으로부터 유명(遺命)으로 종통을 전수받은 박우당(1917~1996)에 대한 기록이 강증산에 대한 기록들과 함께 전기체식으로 교운 2장에 수록되어 대순진리회의 연원(淵源)을 밝히고 있는 면이 『전경』의 실존하는 존재 가치이며 강증산 천지대도(天地大道)의 생명(生命)과 같은 것이다.

주지의 사실로 『전경』은 주제별 목차에 따라 구성되었다. 이글은 연도가 정확히 기재된 내용을 중심으로 연도에 따른 내용을 정리하고 이를 연도별로 기록된 『증산천사공사기』와 비교해서 그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전경』 구절에는 연월일이 기록된 것과 기록이 안 된 구절이 있다. 이글은 추보식으로 기록된 행록, 공사, 교운, 권지 편에서 연월일이 기록된 구절과 그 구절들 사이의 연월일의 기록이 없는 구절에 주목하기로 한다.

먼저 연월일이 수록된 구절에 대해 『전경』의 편을 따라 1871년부터 1909년까지 그 분량을 배분해서 6개의 시기13)로 나누어 연월일 표기 구절의 분포를 보기로 한다. 1871년부터 1909년까지의 시기가 표기된 구절의 면모를 『전경』에서 보면 다음 표와 같다.

표 1. 1871년~1902년도(32년간) 『전경』의 각 편별 연월일 표기 구절의 분포양상
연월일/편 행록 11개 공사 4개 교운 1장 6개 교법 0개 권지 5개 제생 2개 예시 0개
1871. 9. 19 1장 5절 14)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 (32년간)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 (32년간)
1883 1-14
1887
1894 1-20
1894. 5 1-22
1895 1-24
1895. 5 1-26
1902 어느날 1-27
1904 1-33
1897 2-1
1900 2-7
1901 2-12
1901. 겨울 1-1
임인년 1-2 4
1902. 1. 7 1-1
1902. 4 1-2
4 1-4
4 1-6
1902. 4. 13 5
7 1-7
7 1-7
여름철 1-1 1-2
가을 1-8
9 1-5
9. 19 1-8
1-12
1903. 1 1-10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를 보면 1871년부터 1901년까지의 연도 표기 기록은 행록 편에 집중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 시기는 크게 둘로 나누어지는데 하나는 1세부터 30세까지의 본격적인 구원의 행적을 하기 이전의 준비 과정이며 다른 하나는 공사, 교운, 교법, 권지, 제생, 예시 등으로 기록된 구원의 천지공사(天地公事)를 본격적으로 거행하던 기간이다. 특히 1세부터 30세까지의 기록은 행록 1장을 통해 연월일이 표기되어 강증산의 생애가 수록되어 있다. 이어서 31세인 1901년 기록은 행록과 공사 편에 천지공사에 대한 설명이 전해지고 다른 편에는 없다. 1902년 기록부터 본격적으로 『전경』 행록, 공사, 교운 1장, 권지, 제생 편에 그 내용이 나타난다. 나머지 교법, 예시 등에는 이 1902년 기간으로 기록된 내용이 없다. 다만 행록 편 1장에서 1895년 5월 이후 1902년과 1904년 기록이 나타났다가 다시 1897년 기록이 등장하는 것이 특이점이다. 이어서 시기가 기록된 1903년 기록을 보기로 한다.

표 2. 1903년도(1년간) 『전경』의 각 편별 연월일 표기 구절의 분포양상
연월일/편 행록 2개 공사 1개 교운1장 2개 교법 1개 권지 6개 제생 0개 예시 2개
1903. 1 1-10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 (1903년)
1-6 1-6
4 12
7 15
7 1-7
1903. 가을 2-20
1903 2-22
12 1-12
어느해 여름 1-23
한겨울에 1-26
계묘년에 25
이해 여름에 56
약방 겨울 1-27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1903년 시기가 기록된 구절들은 제생을 제외한 『전경』의 모든 편에서 다 나타나고 있다. 무엇보다 권지 편에 시기가 표시된 구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교법은 연도별로 기록이 수록되어 있지 않은데 1903년 봄의 시기로 한 구절이 나타난다. 예시 또한 그 대부분의 구절의 시기가 나타나 있지 않은데 두 개 구절이 1903년 내용으로 적혀져 있다. 공사는 1개 구절 만이 1903년 기록으로 명확한 시기가 표기되어 있다.

표 3. 1904년~1906년도(3년간) 『전경』의 각 편별 연월일 표기 구절의 분포양상
연월일/편 행록 15개 공사 7개 교운1장 0개 교법 0개 권지 6개 제생 0개 예시 0개
1904 이후 2-23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 (1904~1906년)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 (1904~1906년)
1904. 1. 15 3-1
1904. 1 3-9
1904. 2 1-28, 29
1904 3-10
1904. 5 3-12
6 3-13
7 3-14
8 3-21
1904 3-24
1904.11 3-25
12 3-26
12 1-31
갑진년에 1-30
갑진년 1-33
1905 3-27
1-14
1906. 1. 3 1-16
1. 30 2-1615)
1906. 2. 28 1-17
3. 1 1-19
십여일 1-20
4월 1-23
4월 그믐 1-24
3-28
7월 초 3-32
1906. 11 3-33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1904년부터 1905년까지 그 시기가 나타난 구절은 행록, 공사, 권지 편에서 볼 수 있다. 다만 1906년이 기록된 확실한 구절은 행록, 공사, 권지에만 보인다. 이 3년간의 기록은 무엇보다 행록 편에 시기가 표시된 구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다. 교운, 교법, 제생 등은 명료히 시기가 있는 구절이 없다. 이 기간에 구절의 시기가 나타나 있지 않은 구절들은 1903년부터 1907년까지의 4년간의 기간에 있었던 일로 보아야 해서 꽤 긴 시간대의 기록으로 그 내용을 추정해서 살펴보아야 한다. 공사 편의 구절도 1903년 1월부터 1905년 2월 29일 간의 시기에 속한 연월일이 없는 구절들은 2년간의 내용으로 보아 그 문헌 기록의 양상을 고찰하여야 한다.

표 4. 1907년도(1년간) 『전경』의 각 편별 연월일 표기 구절의 분포양상
연월일/편 행록 10개 공사 6개 교운1장 7개 교법 5개 권지 0개 제생 0개 예시 0개
1907 3-35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1907년)
1 1-19
3월초 2-1
3월 어느날 1-20
화창한 봄 1-24
4월 2-7
1907. 5 3-37
1907. 5 3-38
5 2-15
6 2-17
한여름 2-18
가뭄 2-19
1907. 6 3-44
가을 1-25
1907. 10 3-47
11 2-14
11 2-15
11. 28 1-27
12. 1 2-18
12 2-19
겨울 3-49
12 3-51
12. 23 1-30
12. 24 3-54
12. 25 3-55
12. 26 3-58
정미년에 1-26
정미년에 2-10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1907년에 그 시기가 나타난 구절은 행록, 공사, 교운, 교법 4개 편에 등장하고 있다. 이 1907년 기록에서 무엇보다 행록 편에 시기가 표기된 구절들이 가장 많이 편재(偏在)되어 있고 공사와 교운 1장은 시기가 있는 구절이 6, 7개로 비슷하다. 권지, 제생, 예시 편은 1907년 시기가 기록된 구절이 없어서 1907년에 기록된 구절에 대해 권지는 앞의 1905년 1월 30일 이후부터의 기록, 제생은 1902년 이후의 기록, 예시는 1903년 여름 이후가 되며, 이후 시기인 1908년과 1909년에 있어 권지, 제생은 1909년까지, 예시의 기록은 뒤의 표에 나오지만 1908년 섣달까지의 기록으로 보아야 하는 긴 시간상의 구절 고찰이라는 난점이 있다. 즉 1908년과 1909년의 기록에서 권지와 제생은 확정된 시기의 구절이 없기에 이 시기에 속한 권지 구절에 대해서는 1905년 1월 30일부터 강증산의 화천(化天)까지의 구절은 5년간의 내용으로 보아야 하며, 제생 구절에 대해서는 1902년부터 화천까지의 구절은 8년간의 내용으로 보아야 한다. 또 예시 편의 구절은 1903년 여름부터 강증산의 화천까지의 구절은 7년간의 내용으로 보아야 한다. 이는 연대기적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고찰에서 상당히 긴 시간대 속에서 권지, 제생, 예시의 구절들에 대해 그 시기를 고려해야 되는 면이다.

표 5. 1908년도(1년간) 『전경』의 각 편별 연월일 표기 구절의 분포양상
연월일/편 행록 14개 공사 6개 교운1장 4개 교법 5개 권지 0개 제생 0개 예시 1개
1908. 원조 3-62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 연월일 추정 구절은 예시 50절의 ‘화천하시기 전 해 섣달 어느날’ 이라는 한 구절뿐임.16)
1. 10 3-63
2. 4 3-64
4-6
2 4-10
3-1
4 4-16
4 4-17
4 1-44
5 1-29
여름 1-30
어느날 4-23
6 1-51
6, 7, 처서 4-28
7 4-32
7 2-27
7 3-4
무더운 여름 4-36
여름 4-37
여름 어느날 3-7
가을 4-44
10 2-31
11. 9 1-50
11 1-54
겨울 2-32
섣달 4-46
섣달 3-42
섣달 어느날
추운 겨울 2-25
무신년 3-41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1908년에 그 시기가 나타난 구절은 행록, 공사, 교운, 교법 4개 편에 나타나고 있다. 이 1908년의 기록에서 무엇보다 행록 편에 시기가 표기된 구절들이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 공사는 6개, 교운은 4개, 교법은 5개의 구절이 보인다. 권지, 제생 편에는 1908년 시기가 기록된 구절이 없고 예시는 1개 구절이 나타난다. 이 예시 편 구절은 예시 편 전체에서 1903년 시기의 구절이 두 개 나타난 후 5년 뒤인 1908년 섣달 기록이 등장하여 총 3개 구절만이 연월일이 표기되어 있다. 이는 예시 편의 연월일이 없는 구절들에 대해 그 시기를 고려하는데 특히 1903년부터 1908년까지의 구절에 대해서 6년이라는 상당한 기간의 편차를 두고 그 구절의 시기를 고려해야 한다는 어려운 점이 있다.

표 6. 1909년도(1년간) 『전경』의 각 편별 연월일 표기 구절의 분포양상
연월일/편 행록 19개 공사 4개 교운1장 1개 교법 0개 권지 0개 제생 0개 예시 2개
1909. 1. 1 1장 66절 (1909년 1월 1일) 만이 1909년 기록이다. 연월일 표기 구절 없음 연월일 추정 구절은 예시 편 마지막 구절인 89절의 ‘화천하기전’과 ‘이해 여름에’라는 두 구절뿐임.
1909. 1. 2 5-1
1. 5 5-3
기유년 5-4
기유 3-29
기유. 2. 9 5-6
3 5-8
3 5-9
3 5-12
3 5-13
4 5-15
무더운 여름 3-31
6 5-19
6. 10 5-20
6. 20 5-21
6. 21 5-26
6. 23 5-31
6. 23 5-32
6월 어느날 3-37, 38
6. 24 5-34
5-35
5-36
치상 후 5-37
화천하기전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1909년에 그 시기가 나타난 구절은 행록, 공사, 교운 편의 3개 편이다. 이 1909년의 기록도 앞의 연도와 같이 강증산이 화천하던 해의 생애를 기록한 편이기에 무엇보다 행록 편에 시기가 표시된 구절들이 특히 6월 달을 중심으로 많이 등장하고 있다. 공사는 4개, 교운은 1개, 예시는 1개의 구절17)에 시기가 적혀 있다. 특히 권지, 제생 편은 앞의 연도와 마찬가지로 1909년 시기가 기록된 구절이 없다. 예시 편 마지막 구절은 앞 1908년 섣달 구절이 50절이므로 51절부터 89절까지의 40개 대부분의 구절이 1908년 섣달 이후에서 1909년 여름 또는 6월 24일 이전의 시기가 된다.

이상에서 『전경』의 각 편별 기록을 연대기에 토대해서 볼 때 각 편들에 두 개의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것은 연대기적으로 기록된 편과 그렇지 않은 편이다. 행록, 공사, 교운 1장, 권지 편 1장18)은 추보식 연대기 기록으로 명확히 볼 수 있다. 그러나 교법은 전(全) 편 총 176개 구절에서 연도가 있는 구절이 총 11개19), 제생 편은 총 44개 구절에서 2개20), 예시 편은 총 89개 구절에서 3개21)로 나타나 연대기적 기록으로 보기 어렵다. 이 세 개편은 구절들 간에 상당히 긴 기간을 두고 그 편에 속한 구절들의 시기를 생각해야 한다.

다음으로 이상에서 고찰한 1871년부터 1909년까지의 내용에서 볼 수 있는 양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연대기(年代記)적 순서와 관련해서 행록 등에서 뒤 연도가 앞에 있다.

  2. 연도가 있는 구절이 적은 편(編)은 교법과 제생 및 예시이다.

  3. 계절에 의거한 여름, 겨울, 연도만 있고 월 일이 없는 등의 구절은 시기상 몇 년 몇 월 달에 배치해야 하는가가 연대기적 기록에서 산정하기 어려운 면이다.

  4. 편이 다르며 같은 월 또는 같은 년으로 되어 있는 구절들에 대해 통합적으로 어느 구절을 앞 시기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면이 또 하나의 난점이다.

  5. 정확한 연월일이 있는 두 구절 사이의 시기가 없는 구절들에 대해 전체 편에서 그 구절의 순서를 어떻게 정해야 하는 면이 있다.22)

이어서 Ⅲ, Ⅳ장에서는 문헌상 고찰의 범주가 방대함을 고려하여 전체 연도를 다루지 못하고, 1871년부터 1902년까지의 『전경』구절을 중심으로 그 연도가 있는 구절의 분포양상을 도표로 정리하며 『공사기』의 구절들과 비교해 보기로 한다. 먼저 1871년부터 1901년까지의 시기에서 『전경』을 중심으로 『공사기』에 나타난 연월일을 대비시켜 Ⅲ장에서 보기로 한다.

Ⅲ. 『전경』 각 편(編)의 1871~1901년 시기 구절의 양상과 『증산천사공사기』와의 비교

이장에서는 앞의 표의 순서에 따라 『전경』의 행록 1장 1절부터 예시 89절까지의 내용에서 1901년까지의 기록을 추출하여 도식화하고,23) 『증산천사공사기』와 대비시켜 연대기적 비교 고찰이라는 측면 하에 『전경』의 시기가 표기된 구절을 중심으로 두 문헌의 구절의 양상을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전경』의 편(編)·장(章)·절(節)을 따라 『공사기』에 나타난 연월일이 있는 구절의 시기를 대비해 보면 다음 표와 같다.24)

표 7. 연월일 표기가 나타난 『전경』과 『공사기』의 구절 및 그 내용(1870~1902년)
『전경』 및 『공사기』 내용 『전경』 편장절 『공사기』 (page)25) 비고
1870 9 모친(母親)의 꿈 행1-9 p.1
1871 9 19 강증산의 강세(降世) 행1-5 p.1
1876 서당 스승의 속뜻을 앎26) 행1-13 pp.1-2 『전경』에는 7세 이후
1877 7세시의 한시(漢詩) 행1-12
1883 모시베를 다시 찾음 행1-14
1884, 5 (주유, 머슴, 벌목 / 14, 5세시) p.2
1887 술주정꾼 신명징벌 행1-18
1894 글방 개설, 한문 가르침 행1-20 p.3
1895 두승산 시회(詩會) 행1-24
1895. 5 유덕안 제생 행1-26
1895. 7 동학군 패멸 예시 행1-23 p.3 『전경』 연도 없음
1902 신약전서 소화(消火) 행1-27, 8 pp.14-15 『공사기』는 6월
1904 일진회 발족 시(時) 행1-33 p.33
1897 서당 재개, 유불선음양참위 행2-1 p.4
1897 8 15 공주에서 소를 잡아 올림 p.5
1900 객망리로 귀향, 면례 행2-7
1900 마을 호구를 맞춤 권1-14 p.6
1901 5 대원사 수도 행2-12 p.7 『공사기』에는 2월로 기록
1901 7 5 천지대도를 열다 행2-12 p.7 『공사기』는 대각(大覺)으로 표현
1901 겨울 9일 동안 천지공사 시작 공1-1 p.7 『공사기』는 9일 없음
1902 1 7 류서구 일화 권1-1 pp.7-8
4 공사, 개벽 공1-2 p.9
4.13 김형렬 부인 산후복통 제생 제5 p.8 형렬 부인 제생
4 김형렬 내알(來謁) 행1-20 p.8 『공사기』는 1894년으로 기록
가을 천하종기를 없앰 공1-8 p.13
4 유불선 글자, 부유(腐儒) 운1-6 p.39
4 명부공사 공1-5 pp.12-13
4 15 심법 운1-4 p.12
7 망량의 사귐 운1-7 pp.15-16
8 미륵불 출세 예86 p.13 추석절
9 보리수확 없음 예시 권1-5 p.13
9 19 심법 수련 마침 권1-4 p.12
송시열 일화 행1-36 p.14
1902 치도령(治道令) 권1-9 p.17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는 1902년까지 연대기적으로 『전경』에 기록된 연월일과 『공사기』에 나타나는 연월일을 모두 모아 비교 정리한 표이다. 두 문헌에서 같은 시기 하에 동일한 내용이 기록되어 있기도 하지만 두 문헌에 각각 서로 다르게 시기가 적혀져 있는 내용도 있다. 또 동일한 내용이 시기가 다르기도 하다.

다음으로 연대기 기록에서 주목해야 할 것은 『전경』의 연월일이 나타난 구절 사이의 시기가 없는 구절에 대한 고찰이다. 이 구절 들은 시기가 있는 구절 사이의 기간을 보여주는 구절인데 『공사기』를 참조하며 그 구절 내용을 연대기식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행록 편 1장 5절(1871년 9월 19일)과 12절(1877년)27): 행록 편 1장에서 5절에 1871년(신미년) 9월 19일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1장 12절에 1877년(7세) 시기가 나온다. 이 5절과 12절 사이의 구절은 1871년 9월 19일부터 1877년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표 8. 『전경』(행1-1~12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1-1 강씨 원시성, 강이식, 고부 강씨 『공사기』에 없음
2 행록 1-2 삼신산이 있음
3 행록 1-3 선인포전(仙人布氈)
4 행록 1-4 시루산 주변 마을
5 행록 1-5 1871. 9. 19. 강세, 강증산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
6 행록 1-6 정읍군 덕천면 신월리 『공사기』에 없음
7 행록 1-7 선망리 → 객망리 → 신월리
8 행록 1-8 부(父) 강문회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
9 행록 1-9 모(母) 권양덕, 꿈 p.1
10 행록 1-10 산실(産室)에 선녀, 이상한 기운 p.1
11 행록 1-11 성품 원만 관후, 호생의 덕 p.1
12 행록 1-12 1877년, 7세시의 한시(漢詩) 『공사기』에 없음
1328) 1870. 9 모친의 꿈 p.1 『공사기』에는 모친의 꿈이 1870년 9월로 되어있음
14 6세 훈장 속셈 파악 pp.1-2 『전경』에는 행1-1329)에 있음
Download Excel Table

위와 같이 표를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행록 편에서 1871년 9월 19일과 1877년 사이에는 6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표에서 13, 14번 내용이 등장한다. 이 두 구절은 비고에서 보듯 『전경』에 기록되어 있는데 그 시기를 보면 13번 구절은 추가로 1870년 9월에 강증산의 강세와 관련된 꿈을 꾼 것으로 되어있다. 14번은 『공사기』에서 6세로 되어있으나 『전경』에서는 7세 이후의 일로 나타난다.

『전경』에 기록된 1절~4절의 내용은 연도가 나타나지 않고 『공사기』에는 없다. 1절은 강씨의 시조와 고부의 강씨, 2절은 고부 주변의 지세, 3절은 방장산과 시루산, 4절은 시루산 주변의 지세 및 마을 등을 기록하여 강증산 사상을 고찰함에 지리(地理) 및 지세(地勢) 등과 관련해서 중요한 문헌 기록이 되고 있다.

행록 편 1장 12절(1877년)과 14절(1883년): 행록 편 1장에서 12절에 1877년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1장 14절에 1883년 시기가 나온다. 이 12절과 14절 사이의 1개 구절인 13절은 1877년부터 1883년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9. 『전경』(행1-12~14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1-12 1877년. 7세시의 한시 『공사기』에 없음 7세
2 행록 1-13 훈장의 속셈 미리 앎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1-230)
3 행록 1-14 1883년. 모시베를 다시 찾음 『공사기』에 없음
431) 8, 9세 지은 시 p.2 『전경』은 1895년과 1908년 12월 이후 기록으로 두 구절로 되어있음, 행3-27, 예54
5 서산리에서 객망리로 이주, 시루산이 있어서 호(號)가 증산 p.2 『공사기』에는 서산리에서 객망리로 이주한 것으로 되어있음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877년과 1883년 사이에는 1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 『전경』 구절은 『공사기』에는 6세에 있었던 일로 되어 있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8, 9세에 지은 한시가 『전경』에는 행록 3장 27절의 1895년 시기와 예시 54절에 ‘불가지(佛可止)’공사 후에 언급한 한시(漢詩)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다르다.

행록 편 1장 14절(1883년)과 18절(1887년): 행록 편 1장 14절에 1883년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1장 18절에 1887년 시기가 나온다. 이 14절과 18절 사이의 3개의 구절은 1883년부터 1887년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0. 『전경』(행1-14~18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1-14 1883년 모시베를 다시 찾음 『공사기』에 없음 13세
2 행록 1-15 어린 시절의 놀이와 권능
3 행록 1-16 글에 여백을 둠
4 행록 1-17 부친의 빚을 탕감
5 행록 1-18 1887년 술주정꾼 신명징벌 17세
6 14, 5세 행적 pp.2-3 『공사기』에만 있음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883년과 1887년 사이에는 3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연도가 있는 두 개의 구절을 포함해서 5개 구절 모두 『공사기』에는 없는 내용이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표에서 14, 5세 행적이 적혀 있다. 출중한 능력에 제도권 학업을 중지하고 사방을 주유하며 공부했으며 머슴살이와 벌목일을 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는 것이 『전경』에는 없는 내용이다

행록 편 1장 18절(1887년)과 20절(1894년): 행록 편 1장의 18절에 1887년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1장 20절에 1894년 시기가 나온다. 이 18절과 20절 사이의 구절은 1887년부터 1894년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1. 『전경』(행1-18~20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1-18 1887년 술주정꾼 신명징벌 『공사기』에 없음
2 행록 1-19 완주 송광사 기둥
3 행록 1-20 1894년 글방 개설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3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887년과 1894년 사이에는 1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를 보면 구절의 내용이 나타나지 않는다.

행록 1장 20절(1894년)과 24, 25, 26절(1895년): 행록 편 1장에서 20절에 갑오년(1894)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1장 21절에는 이 해에(1894), 22절에는 1894년 5월로, 23절은 연도는 없으나 동학군의 패멸 시기로 1894년 시기의 기록임을 알 수 있다. 또 24절은 1895년(을미년) 봄이고 26절은 5월의 기록이 되어 25절은 1895년 봄과 5월 사이의 기록을 알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2. 『전경』(행1-20~26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1-20 1894년 글방 개설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3
2 행록 1-21 동학난, 김형렬이 찾아옴, 글방폐지, 동학난에 몸을 감추심 p.3
3 행록 1-22 후천진인이 천지현기와 세계대세 논의 p.3
4 행록 1-23 동학군 패멸 예시 p.3 『공사기』는 원신을 묵운(黙運) 한 것으로 되어 있음
5 행록 1-24 1895년 봄, 시회(詩會), 노인이 책을 전하여 그 책을 통독 『공사기』에 없음
6 행록 1-25 광구천하의 뜻(1895)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4 『공사기』는 1894년으로 기록
7 행록 1-26 5월 유덕안 제생 『공사기』에 없음
Download Excel Table

32)에는 2, 3, 4번 3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이 구절들은 『공사기』에도 기록되어 있는데 그 시기를 보면 3개의 구절은 24세에서 25세 봄 사이의 구절로 볼 수 있다. 6번과 7번도 시기가 기록되어 있어 5, 6, 7번이 모두 1895년 같은 연도의 기록이라서 연속된 하나의 시기로 표에 같이 수록하였다. 한편 『공사기』에는 광구천하의 일을 시작한 것이 1894년으로 되어있다. 동학군 패멸 관련 예시적 한시를 들려준 것은 『공사기』에는 내용의 차이가 있게 나타난다.

행록 1장 27절(1902년)과 7절(1904년)33): 행록 편 1장에서 27절에 임인년(1902)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1장 33절에 시기는 없으나 ‘일진회가 발족되던 때’라는 내용이 있어 1904년의 기록임을 알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3. 『전경』(행1-27~33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1-27 1902년 신약전서 소화(燒火)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4 『공사기』는 6월로 되어 있음
2 행록 1-28 신약전서를 돌려줌 p.14
3 행록 1-29 49일간의 시루떡 정성 『공사기』에 없음
4 행록 1-30 신작로 공사
5 행록 1-31 진묵의 일화(사옥소리)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19-20 『공사기』에는 1903년 기록
6 행록 1-32 고대의 명인 p.13
7 행록 1-33 일진회가 발족되던(1904년) p.33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902년과 1904년 사이에는 5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이 1902년과 1904년의 기록은 원래는 연월일의 순서상 이곳에 위치할 구절이 아닌데 기록된 것으로 보인다. 『전경』에서는 정확한 시기가 없는 진묵(震黙)대사 관련 일화는 『공사기』에 1903년으로 되어 있는데 이는 특정 연도는 아니지만 1902년과 1904년 사이의 시기로 적혀 있는 『전경』의 기록과 일치한다.

행록 1장 33절(1904년)과 2장 1절(1897년): 행록 편 1장에서 33절에 ‘일진회가 발족되던 때’라는 내용이 있어 1904년의 기록임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는 행록 편 2장 1절에 1897년의 기록이 있다. 『전경』 행록 편의 구절이 1871년부터 1909년까지의 기록이 순차적으로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보면 27절부터 행록 편 1장의 끝 구절인 38절까지의 기록은 이례적이다. 33절부터 38절까지의 기록은 1904년 이후의 기록이 된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4. 『전경』(행1-33~2-1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1-33 일진회가 발족되던(1904년) 『공사기』에 없음
2 행록 1-34 나의 사자와 명부사자 일화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40 『공사기』는 1904년 9월 10일 이후부터 11월 사이의 일
3 행록 1-35 붕괴된 오동팔 집을 지어줌 p.49 『공사기』는 1905년 3월
4 행록 1-36 송시열의 정기와 상제의 권능 p.14 『공사기』는 1902년 겨울
5 행록 1-37 명당(明堂)과 득남(得男) 『공사기』에 없음
6 행록 1-38 강증산의 항렬(行列)과 신명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28 『공사기』는 1909년 기록
7 행록 2-1 1897년 글방교육, 유불선음양참위, 주유(周遊)의 길 p.4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904년과 1897년 사이에는 5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이 5개의 구절은 행록 2장 1절이 1897년이므로 연도의 착간(錯簡)이 있는 것이며 1904년 이후의 구절이 된다. 한편 『공사기』에서 2번 구절이 1904년, 3번 구절이 1905년 3월, 4번 구절이 1902년 겨울로, 6번 구절이 1909년 기록으로 되어 있는 것이 시기상 참조가 된다.

행록 2장 1절(1897년)과 7절(1900년): 행록 편 2장의 1절에 1897년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2장 7절에 1900년 시기가 나온다. 이 1절과 7절 사이의 구절은 1897년부터 1900년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5. 『전경』(행2-1~7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2-1 1897년 글방교육, 유불선음양참위, 주유(周遊)의 길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4
2 행록 2-2 김일부의 꿈과 요운(曜雲) pp.4-5
3 행록 2-3 8도주유, 전주에서 신인이라함 p.5
4 행록 2-4 만인함열 『공사기』에 없음
5 행록 2-5 정읍 내장산 관련 시
6 행록 2-6 금강산 관련 시
7 행록 2-7 1900년 귀향, 면례, 호둔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6
834) 이리(익산)에서 복서명리를 보다 p.4 『공사기』에만 있음
9 공주에서의 일화
10 공주에서 지역민들이 강증산에게 공양(供養, 8월 15일 한가위)
11 전주에서 명(命)으로 시험함을 알아냄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897년과 1900년 사이에는 5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표에서 8번에서 11번까지의 내용이 등장한다. 이 구절들은 비고에서 보듯 『전경』에 기록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내용이다. 3년간의 주유(周遊) 기간에 익산, 공주, 전주에서 있었던 일화들이 『공사기』에서 이 기간으로 기록되어 있다.

행록 2장 7절(1900년)과 12절(1901년 5월): 행록 편 2장의 7절에 1900년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2장 12절에 1901년 5월의 시기가 나온다. 이 7절과 12절 사이의 구절은 1900년부터 1901년 5월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6. 『전경』(행2-7~12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2-7 1900년 귀향, 면례, 호둔(虎遁)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6 『공사기』는 호둔 없음
2 행록 2-8 쥐눈이콩, 유칠룡, 큰 소리 『공사기』에 없음
3 행록 2-9 샘터 너머에서 우심
4 행록 2-10 진법주, 오방신장, 48장, 28장공사
5 행록 2-11 순검을 따돌리심
6 행록 2-12 1901년 5월~7월 대원사 천지대도 의복(衣服) 일화 의복 일화는 없음 p.7
7 이직부35), 어떤 이의 혼사 매개(媒介)에 대한 일을 예시 pp.6-7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900년과 1901년 5월 사이에는 4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표에서의 기간에 새로운 내용이 등장하지 않는다. 또 1번에서 『공사기』에는 호둔(虎遁) 내용이 없다. 6번에서는 『공사기』에 본 댁에서 의복을 지어왔다는 기록이 없다.

행록 2장 12절(1901년 7월)과 20절36)(1903년 3월): 행록 편 2장의 12절에 1901년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행록 편 2장 20절에 1903년 시기가 나온다. 이 12절과 20절 사이의 구절은 1901년부터 1903년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7. 『전경』(행2-12~20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행록 2-12 1901년 5월~7월 5일 대원사 천지대도 의복일화 의복 일화 없음 p.7
2 행록 2-13 금곡 전생, 금산사 중수 및 입적 『공사기』에 없음
3 행록 2-14 판밖의 법
4 행록 2-15 금수(禽獸) 해원
5 행록 2-16 금산사 미륵불과 상제의 용안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46
6 행록 2-17 정집전 일화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35 『공사기』는 1904년 6월로 기록
7 행록 2-18 삼략(三略)의 글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79-80 『공사기』는 1907년으로 기록
8 행록 2-19 김도일 요통제생, 금산도득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63 『공사기』는 1906년으로 기록
9 행록 2-20 1903년 3월 백남신 일화 37)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8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행록 편에서 1901년과 1903년 3월 사이에는 2번에서 8번까지 7개의 구절이 나타나는데 1901, 1902, 1903년의 시기가 될 수 있다. 이에 대해 이 시기를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표에서 6번이 1904년 6월로, 7번이 1907년으로, 8번이 1906년으로 되어있어 『전경』과 다르다. Ⅲ장에서 논의한 『전경』과 『공사기』 내용에서 차이가 있는 주요 내용을 모아서 표로 만들어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 18. 『전경』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1871~1901년)
『전경』 『공사기』 『전경』 편장절
1 모친의 꿈 1870년 9월 어느 날 밤에 모친 권씨가 꿈을 꾼 것으로 기록 행록 1-9
2 훈장 속셈 파악 → 7세 이후 13세 이전 6세로 기록 행록 1-13
3 김보경의 집에서 어린 시절 지은 한시를 말함 → 을사년(1895)38) /‘불가지 가활만인’에서 한시를 말함(1908년 섣달이후) 8, 9세에 지은 한시(漢詩)39) 행록 3-27, 예시 54
4 객망리에강세 → 1871년 기록 서산리에서 이거(移居), 시루산이 있어서 증산(甑山)이라고 호(號)를 함 → 9세(1879년) 이후 기록 행록 1-5
5 광구천하의 뜻을 세움 → 1895년 동학군이 패멸(敗滅)한 1894년으로 기록 행록 1-25
6 신약전서 소화(燒火) → 1902년 1902년 6월로 정확한 월(月)도 나타남 행록 1-27
7 진묵(震黙)의 일화 → 1902년 이후 시기가 없음 1903년의 기록 행록 1-31
8 나의 사자(使者) 일화 → 1904년 이후 1904년 9월 10일이후 11월 사이의 기록으로 수록됨 행록 1-34
9 붕괴된 오동팔 집을 지어줌 → 1904년 이후 1905년 3월로 기록됨 행록 1-35
10 송시열의 정기 → 1904년 이후 1902년 겨울 행록 1-36
11 천지대도를 열다 → 1901년 5월~7월 5일 1901년 2월~7월. 칠성각 폐문수도 천지대도 대각(大覺). 정씨 부인 의복 일화 없음 행록 2-12
12 정집전 일화 → 1901년 7월 5일 이후부터 1903년 3월 사이의 기록 1904년 6월로 기록됨 행록 2-17
13 삼략(三略)의 글 → 1901년 7월 5일 이후부터 1903년 3월 사이의 기록 1907년의 기록 행록 2-18
14 김도일 요통제생, 금산도득 → 1901년 7월 5일 이후부터 1903년 3월 사이의 기록 1906년의 기록 행록 2-19
15 한시를 바로 외워줌 원신(元神)을 묵운(黙運)하여 한시 두 구가 보이고 그 접구를 생각하니 나머지 두 구가 보인 것으로 기록됨 행록 1-23
16 14, 5세의 행적이 있음
17 1. 이리(익산)에서 복서명리를 보다.
2. 충남 공주에서의 일화. 공주에서 지역민들이 강증산에게 공양(供養, 8월 15일 한가위).
3. 전주에서 명(命)으로 시험함을 미리 알고 있음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1번에서 14번까지는 이장에서 살펴본 『전경』과 『공사기』에서 시기가 차이나는 주요 내용을 『전경』을 중심으로 정리한 것이다. 15번은 두 문헌에서 연도는 1894년으로 같으나 강증산이 원신(元神)을 묵운(黙運)했다고 하여 기록 내용의 차이를 보여주는 구절이다. 16번과 17번은 『전경』에 없는 『공사기』 내용으로 17번은 강증산의 3년간 8도 주유(周遊)에서 익산, 공주, 전주에서 있었던 일화가 기록되어 문헌상 주유기(周遊期)의 기록이 많지 않은 상황에서 강증산에 대한 전승 기록을 풍부하게 하고 있다.

Ⅲ장의 논의를 마무리 하며 위의 <표 18>에서 『전경』과 『공사기』를 대비해서 찾을 수 있는 면을 몇 가지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가 없는 『전경』 구절에 대해 『공사기』를 참조하여 그 시기를 앎으로써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전경』과 『공사기』 두 문헌에서 내용이 같으나 시기에 차이가 있다. 이는 강증산의 생애에 있어 천지공사가 순차적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같은 내용에 대한 두 가지 시기는 향후 정오(正誤)를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연구에 있어 『전경』을 중심으로 각각의 시기를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전경』에 등장하지 않는 시기가 기록된 『공사기』의 내용은 연구의 범주를 확장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Ⅳ. 『전경』 각 편(編)의 1902년 시기 구절의 양상과 『증산천사공사기』와의 비교40)

앞장에서 1871년부터 1901년까지의 『전경』 내용을 그 분량을 고려하며 『증산천사공사기』의 내용과 비교하여 연대기 순(順)으로 구절의 시기별 양상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어서 이장에서는 1902년 1년간의 『전경』의 기록에 대해 『증산천사공사기』와 비교하며 연대기순으로 구절의 양상을 보기로 한다. 행록 편의 1902년 및 1904년의 기록은 앞장에서 이미 살펴보았으므로 생략한다.

1. 공사(公事) 편 1장

공사 1장 2절(1902년 4월)과 8절(1902년 가을): 공사 편 1장에서 2절에 임인년(1902년) 4월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공사 편 1장 8절에 임인년 가을의 시기가 나온다. 이 2절과 8절 사이의 구절은 4월부터 가을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19. 『전경』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공사 1-2 1902년 4월, 새로 만드는 것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8
2 공사 1-3 삼계(三界)공사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9
3 공사 1-4 삼계대권, 공사의 법 『공사기』에 없음
4 공사 1-5 명부(冥府)공사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12-13 『공사기』는 1902년 4월부터 명부공사
5 공사 1-6 공사의 물품 『공사기』에 없음
6 공사 1-7 명부 주장자
7 공사 1-8 1902년 가을, 천하의 종기를 제거함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841) 이마두 사후 pp.9-11 교운 1-942)
9 천지인 고쳐씀, p.10 교법 3-1
10 사람의 운수가 변화됨 p.11 교법 2-11
11 천하대순, 최제우, 강세 p.11 권지 1-1143)
12 이마두 주벽 p.11 없음
13 후천 만국화평 pp.11-12 예시 8044)
14 개벽(開闢) 12 예시 3045)
Download Excel Table

위의 공사 편에서 4월과 가을 사이에는 5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표에서 8번에서 14번까지의 내용이 등장한다. 이 구절들은 비고에서 보듯 12번을 빼고 『전경』에 기록되어 있다. 그 시기를 보면 8번의 구절은 1902년 구절로 볼 수 있다. 그러나 9, 10, 13, 14번 구절은 연월일의 추적이 어려운 교법, 예시 편으로 『전경』에서 시기 추정이 어렵고 12번 구절은 『전경』에 등장하지 않는다. 다만 『전경』에 기록된 9, 10, 11번 구절에 대해서 『공사기』의 기록에 입각해서 보면 1902년 구절로 나타난다.

공사 편 1장 8절(1902년 가을)과 10절(1903년 1월): 공사 편 1장에서 8절에 ‘가을’이라는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 공사 편 1장 10절에 계묘년 정월의 시기가 나온다. 이 8절과 10절 사이의 구절은 가을부터 1903년 1월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0. 『전경』(공사1-8~10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내용 page 비고
1 공사 1-8 1902년 가을: 천하의 종기를 없앰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46) p.13 공사기는 1902년 4월과 9월 사이
2 공사 1-9 상제가 공사를 맡으심 『공사기』에 없음
3 공사 1-10 계묘년 1월, 부호 소지(燒紙)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47) p.18 『공사기』는 연도가 없음
448) 1902년 9월: 보리농사 예시49) pp.13-14 권지 1-5, 6
5 1902년 겨울50): 송시열 일화 p.14 행록 1-3651)
6 1902년 6월: 신약전서 소화(燒火) pp.14-15 행록 27-2852)
7 옥편 등 소화 p.15 예시 3453)
8 1902년 7월 하운동, 소퇴원 김형렬 망량의 사귐 pp.15-16 교운 1-754)
9 의법 최초로 베품, 이경오 제생 p.16 제생 255)
10 치도령 p.17 권지 1-956)
11 서원규 약국, 신묘한 의법 p.17 제생 457)
Download Excel Table

위의 공사 편에서 가을과 계묘년 정월 사이에는 상제가 공사를 맡았다는 1개 구절이 나타난다. 또 1번 구절의 천하의 종기를 파(破)한 내용은 『공사기』에서 4월의 명부착란과 9월의 보리농사 예시 사이에 등장한다. 2번 내용은 『공사기』에는 없고 『전경』에만 기록된 구절로 그 시기가 1903년 1월까지 그 시기를 추정할 수 있다. 또 이 시기에 『공사기』에는 4번에서 7번까지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이 내용을 『전경』에서 보면 『전경』과 시기가 다른 것들이 나타난다.

2. 교운(敎運) 편 1장

교운 편 1장 1절(1902년 여름철)과 3절(1902년): 교운 편 1장에서 1절에 임인년(1902년) 여름철의 표기가 있고 이어서 교운 편 1장 3절에 임인년이 되어서의 시기가 나온다. 이 1절과 3절 사이의 구절은 순서상 여름철 이후 기록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위 <표 21>에서 1902년 여름과 1902년 사이에는 척신과 겁액을 풀어주었다는 1개 구절이 나타난다. 한편 이 시기에 『공사기』에는 4번과 5번의 내용이 기록되어 있는데 『전경』 교운 1장 3절 앞에 삽입되어 있다. 4번은 1902년 6월로 시기가 명확한데 이 시기는 1번의 1902년 여름이라는 계절과 같은 때로 연계성이 있다.

표 21. 『전경』(교운1-1~3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요약 『공사기』 page 비고
1 교운 1-1 1902년 여름: 채소의 별미 없음
2 교운 1-2 척신과 겁액을 풀어줌 없음
3 교운 1-3 1902년: 소퇴원 마을 주민 형렬과 상제를 잘 알게됨, 망량사귐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15-1658)
4 1902년 6월: 신약전서 p.14 『공사기』에서는 3번 교운1-3 앞 내용이다.
5 옥편, 사요(史要) 등 소화(燒火) p.15
Download Excel Table

교운 편 1장 4절(1902년 4월 보름~9월 19일)과 6절(1902년 4월): 교운 편 1장에서 4절에 4월 15일이라는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교운 편 6절에 4월의 시기가 나온다. 이 4절과 5절 사이의 구절은 4월 보름부터 4월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2. 『전경』(교운1-4~6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내용 page 비고
1 교운 1-4 심법 전수(9월 19일까지)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259)
2 교운 1-5 사두용미(蛇頭龍尾) 없음
3 교운 1-6 1902년 4월, 유불선 글자, 부유(腐儒)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3960) 『공사기』는 1904년 기록에 나옴
Download Excel Table

위의 교운 편에서 4월 15일과 4월 사이에는 1개 구절이 나타난다. 이 2번 구절에 대해 『전경』의 기록으로 보면 1번과 3번이 4월이기에 4월의 기록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표에서 『전경』의 유불선 관련 글자 내용은 1904년 시기로 되어있어 다르다. 따라서 2번 구절은 『전경』에서는 그 시기가 4월이나 『공사기』 내용을 고려하면 그 시기가 확장적이다.

교운 편 1장 8절(9월 19일)과 12절(1903년 4월): 교운 편 1장에서 8절에 임인년(1902년) 9월 19일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교운 편 1장 12절에 1903년 4월의 시기가 나온다. 이 8절과 12절 사이의 구절은 9월 19일부터 1903년 4월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3. 『전경』(교운1-8~12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교운 1-8 9월 19일 심법 전수받은 후 수련마침, 신적 작용참여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2
2 교운 1-9 강세(이마두, 최제우) pp.9-10 『공사기』는 1902년 4월에서 4월 15일 기록
3 교운 1-10 칭찬한 옛 사람 『공사기』에 없음
4 교운 1-11 이치안과 중매인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6-7 『공사기』는 1900년 기록
5 교운 1-12 1903. 4 김병욱 제생 p.21
Download Excel Table

위에 공사 편에서 9월 19일과 1903년 4월 사이에 2, 3, 4번 3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그런데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pp.6-7, pp.9-10, p.12, p.21의 내용인데 2번은 1902년 4월의 기록이고 4번은 1900년 기록이라서 연월일에서 큰 편차가 나타난다. 이러한 면은 문헌학적으로 강증산에 대한 연대기를 편성하는데 두 시기를 고려해야 하는 면이 있다.

3. 권지(權智) 편 1장

권지 1장 1절(1902년 1월 7일)과 5절(1902년 9월): 권지 편 1장에서 1절에 임인년(1902년) 1월 7일의 표기가 있고 다음으로는 권지 편 1장 5절에 임인년 9월의 시기가 나온다. 이 1절과 5절 사이의 구절은 1월 7일부터 9월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4. 『전경』(권지1-1~5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1 권지 1-1 1902년 1월 7일 류서구 래방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7-8
2 권지 1-2 폭양에 구름 그늘 『공사기』에 없음
3 권지 1-3 제갈량 동남풍
4 권지 1-4 천지를 돌려 놓음
5 권지 1-5 1902년 9월 보리농사 흉년 예시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13-14
Download Excel Table

위의 권지 편에서 1월 7일과 9월 사이에 3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위의 2, 3, 4의 내용은 보이지 않고 『공사기』에도 다른 구절이 수록되어 있지 않다.

권지 1장 7절(1902년 7월)과 12절(1902년 12월): 권지 편 1장에서 7절에 임인년(1902년) 7월의 표기가 있고 이어서 권지 편 1장 12절에 임인년 섣달의 시기가 나온다. 이 7절과 12절 사이의 구절은 7월부터 섣달까지의 시기로 볼 수 있다.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5. 『전경』(권지1-7~12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권지 1-7 1902년 7월 신축년부터 일체의 천지공사 맡음 『공사기』에 없음
2 권지 1-8 아표신(餓莩神)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26 『공사기』는 1903년
3 권지 1-9 치도령 p.17 『공사기』는 1902년
4 권지 1-10 최운익 아들 p.45 『공사기』에는 1904년 12월과 1905년 1월 사이
5 권지 1-11 남조선뱃길, 참동학, 대(代)선생 pp.72-73 『공사기』는 1907년 6월 1일
6 권지 1-12 1902년 12월 치도령 61) , 어재함라산하 pp.54-55 『공사기』는 1905년
Download Excel Table

위의 권지 편에서 7월과 12월 사이에 4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에 맞춰 『공사기』의 내용은 보이지 않는다. 2번은 1903년, 3번 1902년, 4번은 『공사기』에서 1902년이 아닌 1904년 말 기록으로 되어있다. 5번 1907년 6월 1일, 6번도 『공사기』에는 1905년의 기록으로 나온다. 월(月)까지 정확하지 않으나 1902년인 3번을 빼고 2, 4, 5, 6번 구절은 모두 『공사기』에서의 연월일과 다름을 볼 수 있다.

권지 1장 12절(1902년 12월)과 19절(1904년): 권지 편 1장에서 12절에 1902년 12월의 표기가 있고 이어서 권지 편 1장 19절에 ‘일진회’가 나온다. 이에 12절과 19절 사이의 구절은 1902년 12월에서 1904년의 시기로 볼 수 있다.62) 이를 표로 만들고 『공사기』의 시기와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6. 『전경』(권지1-12~28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권지 1-12 1902년 12월, 치도령 어제함라산하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54-55 『공사기』는 1905년 12월
2 권지 1-13 치도령 칙령 도로신장 『공사기』에 없음
3 권지 1-14 줏대로 호구를 맞춤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6 『공사기』는 1900년 12월
4 권지 1-15 영학의 도술 사심 pp.25-26, pp.29-30 『공사기』는 1903/1904년 2월
5 권지 1-16 서양 우사를 부름 『공사기』에 없음
6 권지 1-17 여장군(女將軍)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107 『공사기』는 1908년
7 권지 1-18 윷 방탕한 자의 사심 p.103 『공사기』는 1908년
8 권지 1-19 일진회63)가입
박공우의 두 마음
p.76 『공사기』는 1907년 6월에서 10월 사이
Download Excel Table

위의 권지 편에서 12절 1902년 12월이고 19절은 ‘일진회의 한 간부’라는 내용이 있어 1904년 이후의 기록이 된다. 두 시기의 사이에 6개의 구절은 1902년, 1903년, 1904년의 시기가 될 수 있다. 이 6개의 구절들에 대해 『공사기』는 비고와 같이 연도가 나타난다.

4. 제생(濟生) 편

제생 5절(1902년 4월 13일)과 16절(1905년 1월 그믐): 제생 편의 4절에 임인년(1902년)이라 시기가 있고 이어서 5절에 임인년 4월 13일의 표기가 있다. 뒤에 제생 편 16절에 을사년(1905년) 정월 그믐의 시기가 나온다. 따라서 5절과 16절 사이의 10개 구절은 1902과 1905년의 시기로 볼 수 있다.64) 이에 표를 만들어 정리하고 연대기에 따라 기록된 『공사기』의 시기 및 내용들과 비교해보면 다음과 같다.

표 27. 『전경』(제생1-1~16절)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
편장절 『전경』 내용 『공사기』 page 비고
1 제생 1 환자의 몸속을 봄 『공사기』에 없음 연도 없음
2 제생 2 최초 의법, 이경오 제생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p.16-17 연도없음/ 『공사기』는 1902. 7 이후 1903년전 기록임
3 제생 3 황응종 제생 『공사기』에 없음
4 제생 4 1902년. 약재 없이 병자제생
5 제생 5 1902. 4. 13. 김형렬 아내 제생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8 연도가 같음
6 제생 6 장효순 딸 제생 p.25 『공사기』는 1903년 기록임
7 제생 7 김윤근 치질 제생 pp.25-26 『공사기』는 1903년 기록임
8 제생 8 이도삼 제생 p.24 『공사기』는 1903년 기록임
9 제생 9 김사명 아들 급병 제생 pp.42-43 『공사기』는 1903년 기록임
10 제생 10 김창여 체증 제생 『공사기』에 없음
11 제생 11 김모 앉은뱅이 제생 『전경』과 줄거리가 같음 p.43 『공사기』는 1904년 기록
12 제생 12 박순여 모친 제생 pp.45-46 『공사기』는 1904년 기록임
13 제생 13 전순일 신병 제생 pp.41-42 『공사기』는 1904년 12월 기록임
14 제생 14 김갑진 문둥병 제생 p.41 『공사기』는 1904년 12월 기록임
15 제생 15 김성화의 이웃 사람 pp.59-60 『공사기』는 1906년 기록임
16 제생 16 1905년. 정월 그믐 pp.47-48
Download Excel Table

위 표의 1902년 제생 편 내용을 보면 대부분의 구절이 『공사기』에서 나타나고 있다. 『공사기』에 없는 것은 1, 3, 4, 10번의 구절이다. 5번 5절의 4월 13일과 16절의 1905년 정월 그믐 사이에 10개의 구절이 나타난다. 또 이 시기를 따라 『공사기』의 내용을 보면 제생 6, 7, 8, 9는 1903년 기록이고 제생 11~14는 1904년 기록으로 되어있어 제생을 용사한 연도가 다르다. 제생 6절부터 9절까지의 기록과 제생 11절부터 14절까지의 기록은 『공사기』의 시기를 토대로 보면 1902년 4월 13일(제생 5절)부터 1905년 정월 그믐(제생 16절)사이의 기간으로 되어있어 『전경』과 『공사기』가 기간상으로는 맞게 대비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다만 제생 15절만이 이 기간을 벗어나 1906년으로 『공사기』에 기록되어 있다.

또 제생 1, 2, 3절은 연도가 없는데 이 중 제생 2절은 『공사기』에서는 1902년 7월 이후의 1902년 기록으로 나타난다. 『전경』에는 5번의 1902년 4월 13일과 16번의 1905년 정월 그믐 사이의 구절이 명확히 시기가 보여 거의 6년간의 기록이 10개인 것으로 되어 있는데 이에 대해 『공사기』에서 그 연도를 적고 있어 1903년, 1904년, 1906년의 시기로 구분할 수 있는 면이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전경』과 『공사기』 내용에서 그 시기와 내용이 차이가 있는 것을 모아서 표로 만들어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표 28. 『전경』을 중심으로 본 『공사기』 내용 대비(Ⅳ장)
『전경』 『공사기』 『전경』 편장절
1 이마두 사후 행적과 강증산의 강세 → 1902년 9월 19일(교운1-8)부터 1903년 4월(교운1-12) 사이의 기록 강증산의 강세 부분 없음 → 1902년 4월부터 4월15일 이전 기록 교운 1-9
2 천하대순, 최제우에게 계시, 강세, 참동학 → 1903년 7월(권지1-7)과 1903년 12월(권지1-12) 사이의 구절. 『공사기』는 1902년 4월~4월 15일 사이 기록 권지 1-11
3 후천 만국화평 『공사기』는 1902년 4월~가을 사이 기록 예시 80
4 개벽 예시 30
5 명부착란 『공사기』는 1902년 4월 명부착란 공사 공사 1-5
6 추석절, 솥, 미륵불 출세 『전경』과 내용이 같음 예시 86
7 1902년 가을, 천하의 종기를 없앰 추석절65), 천하의 종기를 없앰 공사 1-8
8 1902년 9월 보리농사 예시 『전경』과 내용이 같음 권지 1-5, 6
9 신약전서(新約全書)를 구해 소화(燒火) 『공사기』는 1902년 6월, 『공사기』에서 『전경』 교운1-3 앞 내용으로 나옴 행록 1-27, 28
10 옥편, 사요(史要) 등 소화(燒火) 『공사기』에서 『전경』 교운 1-3 앞 내용으로 나옴 예시 34
11 유불선, 부유(腐儒) 『공사기』는 1904년 기록 교운 1-6
12 이치안과 중매인 『공사기』는 1900년 기록 교운 1-11
13 아표신 『공사기』는 1903년 기록 권지 1-8
14 최운익 아들의 병.
1902년 7월
15일~1902년 12월 사이
『공사기』는 1904년 12월과 1905년 1월 사이 권지 1-10
15 치도령 어재함라산하 1902년 12월 『공사기』는 1905년 기록 권지 1-12
1666) 최초 의법, 이경오 제생 『공사기』는 1902년 7월 이후 1903년 전 기록 제생 2
17 김형렬 부인 제생 『공사기』는 1902년 4월 13일 제생 4
18 장효순 딸 제생 『공사기』는 1903년 기록 제생 6
19 김윤근 제생 제생 7
20 이도삼 제생 제생 8
21 김사명 아들 제생 제생 9
22 박순여 모친 제생 『공사기』는 1904년 기록 제생 12
23 전순일 제생 『공사기』는 1904년 12월 기록 제생 13
24 김갑진 문둥병 제생 제생 14
25 김성화 이웃사람 제생 『공사기』는 1906년 기록 제생 15
26 『공사기』는 1902년 4월 김형렬 래알(來謁)67) 행록 1-2168)
27 이마두(1552~1610)가 주벽(主壁)69) 『공사기』에만 기록이 있음
Download Excel Table

위의 표에서 1번에서 25번까지는 『전경』과 『공사기』에서 시기가 차이 나는 내용을 『전경』을 중심으로 표로 만든 것이다. 26번은 두 문헌에서 특정 사실에 대해 『전경』이 더 많은 서사를 함유하며 내용의 차이70)를 보여주는 구절이다. 27번은 『전경』에 없는 『공사기』만의 내용으로 앞 장의 강증산의 3년간 8도 주유(周遊)에서 익산, 공주, 전주에서 있었던 일화나 14, 5세의 행적에 대응되는 기록이다.

이상 Ⅳ장에서 『전경』과 『공사기』를 대비해서 찾을 수 있는 면을 앞 장 후미에서 언급한 몇 가지71)면에 더 추가하여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개 이상의 구절로 나뉘어진 연월일이 없는 구절에 대해 『공사기』의 내용을 참조로 그 시기를 알 수 있다.(표의 7번)72)

둘째, 제생 편에 대해서 보면 제생 편 『전경』 구절에 대한 연월일을 『공사기』를 통해서 참조할 수 있다.(표의 17~25번)

셋째, 『공사기』에만 있는 새로운 내용이 어떤 시기에 기록되어 있어 자료로서 연구의 범주와 깊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면이 있다.

요컨대 Ⅲ, Ⅳ장의 목차별로 되어있는 『전경』의 내용을 연도별로 보아 연대기로 편찬된 『증산천사공사기』의 내용과 비교해보면 구절들의 대부분이 연도가 같게 나타나기도 하지만 그 가운데는 같은 구절의 내용인데 서로 다른 연도로 되어있는 것이 발견된다. 이처럼 두 문헌에서 같은 내용의 구절이 다르게 연월일이 기록된 것은 추가적으로 복합적 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그 정확한 시기를 판정하는 고찰이 요구된다. 거시적으로 보아 주제별로 되어있는 『전경』을 연도별로 정리해서 그 양상을 살펴본 결과는 강증산의 생애에 대한 추보식 정리를 통해 각 편을 통합해서 강증산의 행적을 일목요연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또 목차로 되어있는 『전경』 내용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공사기』와 비교한 결과 새로운 내용이 가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Ⅴ. 맺음말

이글은 이상호가 1926년에 편찬한 강증산 생애 관련 최초의 추보식 기록인 『증산천사공사기』(1926)에 수록된 내용의 연월일 표기에 맞춰 『전경』의 같은 내용들이 『증산천사공사기』와 같은 시기로 기록되어 있는가와 『전경』의 구절 내용이 연월일이 나타나는 『공사기』 구절과 서로 같은 가를 살펴볼 두 가지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다음으로 연대기적 고찰에서 강증산의 전 생애에서 그 구절의 시기 분류상 다음과 같은 면이 나타난다. 1. 연대기적 순서와 관련해서 행록 등에서 뒤 연도가 앞에 있다. 2. 연도가 있는 구절이 적은 편은 교법과 제생 및 예시이다. 3. 계절에 의거한 여름, 겨울, 연도만 있고 월 일이 없는 등의 구절은 시기상 몇 월 달에 배치해야 하는가가 연대기적 기록에서 산정하기 어려운 면이다. 4. 편이 다르며 같은 월 또는 같은 년으로 되어있는 구절들에 대해 어느 구절을 앞 시기로 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면이 또 하나의 난점이다. 5. 정확한 연월일이 있는 두 구절 사이의 시기가 없는 구절들에 대한 전체 편에서 그 순서를 어떻게 해야 하나이다. 3, 4, 5에 대해서는 타 요소들을 고려한 종합적 고찰이 요구된다. 『전경』을 중심으로 두 문헌을 비교해본 결과를 요약적으로 기술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기가 없는 『전경』 구절에 대해 『공사기』를 참조하여 그 시기를 앎으로서 또 다른 고찰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전경』에 두 문헌에서 내용이 같으나 시기에 차이가 있다. 이는 강증산의 생애에 있어 천지공사가 순차적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같은 내용에 대한 두 가지 시기는 향후 정오(正誤)를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연구에 있어 각각의 시기를 고려해야 한다.

셋째, 『전경』에 등장하지 않는 시기가 기록된 『공사기』의 내용은 연구의 범주를 확장시키는 데 일조한다는 것이다.

넷째, 두 개 이상의 구절로 나뉘어진 연월일이 없는 구절에 대해 『공사기』의 내용을 참조로 그 시기를 알 수 있는 면이 있다.

다섯째, 제생 편에 대해서 보면 제생 편 『전경』 구절에 대한 연월일을 『공사기』의 내용에서 참조할 수 있다.

여섯째, 『공사기』에만 있는 새로운 내용이 어떤 시기에 기록되어 있어 자료로서 일면 연구의 범주와 깊이를 확장시킬 수 있는 면이 있다.

또 목차로 되어있는 내용을 연도별로 정리하여 비교한 결과 새로운 내용이 가미되기도 했음을 알 수 있다. 두 문헌에서 같은 내용의 구절이 다르게 연월일이 기록된 것은 추가적으로 복합적 관점에서 다양한 방향으로 그 정확한 시기를 판정하는 고찰이 필요시 된다. 향후 원래 연도별로 기록되어 있는 『증산천사공사기』와 『전경』과의 비교는 『증산천사공사기』(1926)이후 주제별로 편성된 1929년부터 1965년 사이에 발간된 『대순전경』과의 대비(對比)라는 관점을 시사해 주기도 한다.

Notes

1) 신격위(神格位)가 ‘구천응원뇌성보화천존강성상제(九天應元雷聲普化天尊姜聖上帝)’이며, 종단 대순진리회(大巡眞理會, 1969)의 신앙의 대상이다. 호는 증산(甑山)이며 1871년 9월 19일(陰)부터 1909년 6월 24일(陰)까지 39년간 인간 세상에 재세(在世)하였다. 이후 1909년 4월 28일 만주(滿洲) 봉천(奉天)으로 봉천명(奉天命)을 한 후 9년간 공부(工夫)를 하고 있는 당시 23세인 조정산(趙鼎山, 趙聖玉皇上帝) 도주(道主)에게 1917년에는 신인(神人)으로 나타나 기도주(祈禱主)를 보여주어 계시로써 감오득도(感悟得道)케 하여 연원(淵源)에 따른 종통계승을 더욱 확실하게 보여주었다.

2) 1926년 발행(연도별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이 문헌에 대한 기록은 『증산천사공사기』 또는 『공사기』로 적었음을 밝혀둔다.

3) 1974년 초판 발행(제목별로 구성되어 있다).

4) 김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 과정』 (성남: 정신문화연구원, 1986).

5) 임영창, 「대순전경의 사적 의의」, 『증산사상연구』 15 (1989).

6) 양은용, 「증산교의 성립과 증산천사공사기」, 『한국종교』 30 (2006); 고남식, 「1920년대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에 나타난 해원(解冤)서사의 양상과 그 치유성 : ≪강증산 일대기≫ 서사 속 해원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64 (2021).

7)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서울: 건국대학교, 2003).

8) 이외에 관련 연구는 다음과 같다. 고남식, 「천지공사를 중심으로 본 『전경』과 증산 관련 경전의 경향」, 『신종교연구』 16 (2007);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 : 천지공사 이전의 내용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2008); 고남식, 『대순전경』 초판 구절의 변이 : 초판 10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7 (2012); 고남식, 『대순전경』의 변이에 대한 연구」, 『종교연구』 75-1 (2015).

9) 교법을 계율적 의미로 보고 대순진리회의 훈회와 비교하였다.

10) 같은 성격 하의 두 개의 문헌의 편이 구절 상 어떠한 차이를 갖고 있는가를 검토하였다.

11) 봄 여름 가을 겨울 등을 포함.

12) 모든 구절에 기일(期日)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

13) 대략 같은 분량으로 나누어 본 6개의 시기는 다음과 같다. 1. 1871~1902년, 2. 1903년, 3. 1904~1906년, 4. 1907년, 5. 1908년, 6. 1909년이다.

14) 이하 『전경』의 구절 표기는 행록 1장 1절을 행 1-1 또는 행록 1-1로 표기함.

15) 이후 권지 2장의 구절들(17~38절)은 연월일이 없다.

16) 이후 예시 56절에 ‘이해 여름에’라는 기록이 있고 연도는 없다. 이는 50절의 ‘화천하시기 전 해 어느날’로 보면 착간이 아닐 경우 순서상 1909년으로 추정될 뿐이다.

17) 이 구절은 ‘화천하시기 전’이라는 내용에서 1909년 기록으로 보았다.

18) 권지 편 2장은 1개 구절만이 연월일이 있다.

19) 최초 시기는 1903년 봄(교법 1장 6절)이고 두 번째 시기는 1907년 5월(교법 2장 15절)이다.(교법 1장 17, 18, 19 세 개의 구절도 대략 이 시기이다) 두 구절 사이의 차이는 약 5년 간이어서 상당한 기간을 보여준다. 또 이 사이에는 교법의 76개 구절이 있다. 이후 1908년 5월 이후로 5개의 구절이 1908년에 등장한다. 1909년은 없다. 이러한 면은 비교적 1901년 이후부터 1909년까지 모든 연도가 나타나는 행록, 공사, 교운 편 1장과는 다른 기록으로 1903년, 1907년, 1908년의 3개년에 구절들이 있어 순서성은 있지만 간극(間隙)이 커서 연대기적 기술에서 구절에 대한 시기 파악에 상당한 난점이 있다.

20) 1902년과 1903년.

21) 1903년 2개, 1개는 연도가 없이 ‘화천하시기 전’으로 되어있다.

22) 3, 4, 5에 대해서는 타 요소들을 고려한 종합적 고찰이 요구된다.

23) 『전경』 구절의 수록 순서 및 연도의 순서가 달라도 『전경』 총 340면(面)의 페이지 순서를 따라 고찰했음을 미리 밝혀둔다.

24) 이글에서는 논의하고자 하는 자료의 분량의 방대함으로 1871년부터 1909년 기간에서 1871년부터 1902년까지의 시기에 한정해서 고찰했음을 밝혀 둔다. 차후 연구에서 1903년부터 1909년까지의 기간을 살펴보기로 한다.

25) 편의를 위해 『증산천사공사기』를 『공사기』로 줄여 표현함. 이하 page는 공사기를 가리킴.

26) 『전경』과의 구분을 위해 『공사기』는 ()로 표시하였음.

27) 이하 Ⅲ, Ⅳ장의 두 개의 구절은 연월일이 적혀 있는 구절들이다. 두 구절 사이의 연월일이 없는 구절의 『증산천사공사기』와의 대비를 표로 만들고 이를 살펴보았다.

28) 이하 13번부터 14번까지의 내용은 표의 5번 1871년부터 표의 12번 1877년까지의 기간에서 『공사기』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29) 1877년(7세) 이후 1883년(13세) 이전 기록으로 되어있다.

30) 6세 시기로 나와 시기가 『전경』과 다르다.

31) 이하 4번부터 5번까지의 내용은 표의 1번 1877년부터 표의 3번 1883년까지의 기간에서 『공사기』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32) 25, 26절도 연도를 알 수 있는 1895년 기록의 연속된 내용이므로 표에 기재하였다.

33) 이 시기를 다음 장에서 논의하지 않고 여기에서 논의하는 것은 『전경』의 구절 수록 순서에 따랐음을 밝혀둔다.

34) 이하 8번부터 11번까지의 내용은 표의 1번 1897년부터 표의 7번 1900년까지의 기간에서 『공사기』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35) 『전경』 교운 1-11에는 이치안이 예지(豫知)에 감복하여 따르게 되었다고 기록됨.

36) 1902년을 지나 1903년의 최초 연월일 기록 구절.

37) 1902년 일화는 『전경』 행록 편에서 1895년과 1897년 사이에 기록되어 있다.

38) 이 한시에 대해서는 『공사기』에 편찬자 이상호의 해설(註)로 몇 구절의 시(幾句詩)는 흩어져 잃은 것(散失)을 모아 수집하였으며, 각 시의 제목(詩題)은 상세치 않다고 밝히고 있다. 이를 볼 때 이 시는 망실(亡失)되어 내용이 온전하지 않은 몇 개의 시가 합쳐져 이루어진 한시임을 추정할 수 있다.

39) 두 편의 한시가 실려있다. 이 『공사기』의 한시는 행록 3-27과 예시 54에 각각 한 편씩 한글 내용과 함께 등장한다.

40) 『전경』의 모든 편이 해당된다.

41) 이하 8번부터 14번까지의 내용은 표의 1번 1902년 4월부터 표의 7번 1902년 가을까지의 기간에서 『공사기』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42) 1902년 4월 15일(교운1-8)부터 1903년 4월(교운1-12)까지 사이의 구절.

43) 1903년 7월(권지1-7)과 1903년 12월(권지1-12) 사이의 구절.

44) 시기 추정이 어려움.

45) 시기 추정이 어려움.

46) 이 구절은 『공사기』에서는 ‘8월 추석절에 솥이 들썩이니 미륵불이 출세하리라’고 한 내용에 연결되어 있어서 그 시기를 8월 추석절로 볼 수 있다.

47) 『공사기』에서는 11번의 뒤에 바로 이어지고 1903년 3월 백남신 십만냥 이야기와 연결된다.

48) 이하 4번부터 11번까지의 내용은 표의 1번 1902년 가을부터 표의 3번 1903년 1월까지의 기간에서 『공사기』에 등장하는 구절이다.

49) 이 내용은 다음 해인 1903년 봄과 5월 5일 기록과 연결되어 있다.

50) 순서상 계절의 차례가 맞지 않는 기록.

51) 『전경』에서는 1904년 이후 기록.

52) 이 구절은 『공사기』에서 5번 1902년 겨울 송시열 이야기에 이어지며 7월로 나와서 순서상 착오가 있음을 볼 수 있다. 『전경』에서는 1902년 어느 날

53) 『전경』에서는 연도 추정 어려움.

54) 1902년 7월.

55) 시기 추정 어려움.

56) 1903년 7월(권지 1-7) 이후 1904년 2월(권지 1-28) 사이임.

57) 『전경』에서는 1902년 기록.

58) 앞 표의 8번 내용이다. 『공사기』에서는 연월일이 없어서 6월(신약전서 이야기)이후 내용으로 여름철에 해당됨. 내용의 중간 부분에 7월이라고 나온다. 따라서 교운 1장 2절은 연도가 없으나 여름철 기록이 된다.

59) 신명의 회산과 청령 내용도 있음.

60) 1904년 9월 10일과 11월 사이의 세 개의 구절 가운데 하나의 구절 기록으로 되어있다.

61) 길(도로)을 다스려 좋게 하는 명령.

62) 1902년 12월에 이어져서 6개의 구절이 있어서 연월일을 살펴보는 것이다.

63) 1904년 창립하였다.

64) 1902년 4월 3일이 있어 이 10개의 구절을 살펴보는 것이다.

65) 『공사기』는 표의 6번 『공사기』의 시기인 추석절에 7번 『공사기』의 내용을 연이어서 말한 것으로 되어있다.

66) 16번에서 25번은 『전경』에서 1902년 4월 13일과 1905년 1월 그믐 사이로 나타난다.

67) 이후 기록은 김형렬의 부인을 제생한 것으로 되어있다.

68) 『전경』에는 김형렬이 강증산의 성예(聲譽)를 듣고 찾아 뵌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이후 당시 소란을 피해 함께 글 읽으시기를 청하여 강증산이 글방을 폐지하고 학선암으로 감.

69) 『공사기』에만 등장.

70) 주 68 참조.

71) 첫째, 시기가 없는 『전경』 구절에 대해 『공사기』를 참조하여 그 시기를 앎으로서 또 다른 고찰의 객관성과 투명성을 확보할 수 있다. 둘째, 『전경』에 두 문헌에서 내용이 같으나 시기에 차이가 있다. 이는 강증산의 생애에 있어 천지공사가 순차적으로 전개된다는 점에서 같은 내용에 대한 두 가지 시기는 향후 정오(正誤)를 구분하기 어려운 상황이라면 연구에 있어 각각의 시기를 고려해야 한다는 의미를 주고 있다. 셋째, 『전경』에 등장하지 않는 시기가 기록된 『공사기』의 내용은 연구의 범주를 확장시키는 데 일조할 수 있다.

72) 7번 공사 1장 8절은 『공사기』를 참조할 때 6번 『공사기』의 내용과 연속되는 문장이 되어 『전경』의 1902년 가을을 추석절로 좀 더 자세히 볼 수 있는 단서를 주고 있다.

【참고문헌】

1.

『전경』, 여주: 대순진리회 출판부, 2010.

2.

이상호, 『증산천사공사기』, 경성: 상생사, 1926.

3.

이상호, 『대순전경』 초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29.

4.

이상호, 『대순전경』 재판, 경성: 동화교회도장, 1933.

5.

이상호, 『대순전경』 3판, 서울: 대법사편집국, 1947.

6.

이상호, 『대순전경』 5판, 김제: 증산대도회본부, 1960.

7.

이상호, 『대순전경』 6판, 김제: 증산교회본부, 1965.

8.

고남식, 「해원 주제 강증산 전승 연구」, 건국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3.

9.

고남식, 「천지공사를 중심으로 본 『전경』과 증산 관련 경전의 경향」, 『신종교연구』 16, 2007.

10.

고남식, 「강증산 관련 경전의 변이에 대한 고찰 : 천지공사 이전의 내용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50, 2008.

11.

고남식, 「『대순전경』 초판 구절의 변이 : 초판 10장을 중심으로」, 『종교연구』 67, 2012.

12.

고남식, 「『대순전경』의 변이에 대한 연구」, 『종교연구』 75-1, 2015.

13.

고남식, 「1920년대 『증산천사공사기(甑山天師公事記)』에 나타난 해원(解冤)서사의 양상과 그 치유성 : ≪강증산 일대기≫ 서사 속 해원을 중심으로」, 『동아시아고대학』 64, 2021.

14.

김탁, 「증산교의 교리체계화 과정」,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석사학위 논문, 1986.

15.

양은용, 「증산교의 성립과 증산천사공사기」, 『한국종교』 30, 2006.

16.

임영창, 「대순전경의 사적 의의」, 『증산사상연구』 15, 19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