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ol. 54, 2025
연구논문
Academic Discourses on “Public Religion” in South Korea Revisited
한국 학계의 ‘공적 종교’ 담론에 대한 재고찰
한국 학계의 ‘공적 종교’ 담론에 대한 재고찰
J. Daesoon Acad. Sci. 2025;54:1-42.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
Beliefs and Rituals regarding Whales: Understanding Whale Representations in the Bangudae Petroglyphs
고래에 관한 믿음과 의례: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 도상 이해를 위한 모색
고래에 관한 믿음과 의례: 반구대 암각화의 고래 도상 이해를 위한 모색
J. Daesoon Acad. Sci. 2025;54:43-94.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4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43
The Perception and Response of Daesoon Jinrihoe towards Immigrants
대순진리회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대응
대순진리회의 이주민에 대한 인식과 대응
J. Daesoon Acad. Sci. 2025;54:95-120.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9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95
The Ancestor Worship Beliefs of the Silla Royal Family
신라 왕실의 조상숭배신앙 시론
신라 왕실의 조상숭배신앙 시론
J. Daesoon Acad. Sci. 2025;54:121-154.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2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21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ldview of the ‘Samgye’ in Comparison with the Three Teaching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Daoism: Focusing on the Integrative Perspective of the Two Categories Presented in Daesoon Thought
유·불·도 삼교와 비교한 ‘삼계(三界)’ 세계관의 특징 연구: 대순사상에 나타난 두 가지 범주의 통합 관점을 중심으로
유·불·도 삼교와 비교한 ‘삼계(三界)’ 세계관의 특징 연구: 대순사상에 나타난 두 가지 범주의 통합 관점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5;54:155-191.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5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55
The Role and Direction of Daesoon Jinrihoe’s Elderly Welfare in the Super-Aged Society
초고령사회에서 대순진리회 노인복지의 역할과 방향
초고령사회에서 대순진리회 노인복지의 역할과 방향
J. Daesoon Acad. Sci. 2025;54:193-225.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9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193
The Narrative of Memory and the Reconstruction of Female Identity in Janghwa Hongryeonjeon: Focusing on Paul Ricoeur’s Triple Mimesis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기억의 서사와 여성 정체성의 재구성: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를 중심으로
<장화홍련전>에 나타난 기억의 서사와 여성 정체성의 재구성: 폴 리쾨르의 삼중의 미메시스를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5;54:227-263.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22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