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ol. 53, 2025
연구논문
The Rise of Reconciliation Studies and the Potential of Religious Reconciliation Studies
화해학의 등장과 종교화해학의 가능성
화해학의 등장과 종교화해학의 가능성
J. Daesoon Acad. Sci. 2025;53:1-47.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1
The Key Features of the Perception of God in Daesoon Jinrihoe from Eckhartian Perspective
에크하르트의 관점에서 본 대순진리회의 신인식 관건들
에크하르트의 관점에서 본 대순진리회의 신인식 관건들
J. Daesoon Acad. Sci. 2025;53:49-89.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49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49
Contemporary Social Change and Paradigmatic Transformation in Applied Religious Studies: Toward an Applied Religious Studies Grounded in Evolutionary Cognitive Science of Religion
현대 사회변동과 응용종교학의 패러다임 전환: 진화인지종교학 기반 응용종교학의 필요성과 그 비전
현대 사회변동과 응용종교학의 패러다임 전환: 진화인지종교학 기반 응용종교학의 필요성과 그 비전
J. Daesoon Acad. Sci. 2025;53:91-141.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9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91
The Korean Adaptation of The Scripture of the Jade Pivot in the Collated Commentary Edition and Its Relevance to Daesoon Jinrihoe: Focusing on the ‘Object of Faith’ Section in Essentials of Daesoon Jinrihoe
『옥추보경』 집주본의 한국내 변용과 대순진리회와의 상관성 연구: 『대순진리회요람』의 「신앙의 대상」에 대한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옥추보경』 집주본의 한국내 변용과 대순진리회와의 상관성 연구: 『대순진리회요람』의 「신앙의 대상」에 대한 문헌 고찰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5;53:143-179.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14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143
A Study on the Foundational Modernity of Sangsaeng Ethics in Daesoon Thought: Focusing on Kant’s Model of the Moral Subject and Rational Faith
대순사상 상생윤리의 근대성 정초(定礎)에 관한 연구: 칸트의 도덕 주체 및 이성 신앙 모델을 중심으로
대순사상 상생윤리의 근대성 정초(定礎)에 관한 연구: 칸트의 도덕 주체 및 이성 신앙 모델을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5;53:181-205.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18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181
Religious Life through the Books of Sicheongyo Church: Focusing on Materials Held at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Hall
시천교 교당 장부로 보는 종교 생활: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시천교 교당 장부로 보는 종교 생활: 동학농민혁명기념관 소장 자료를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5;53:207-240.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20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207
A Comparative Study of Buddhist Historical Texts in East Asia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13~14세기 동아시아의 불교사서 비교 연구
13~14세기 동아시아의 불교사서 비교 연구
J. Daesoon Acad. Sci. 2025;53:241-271.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24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241
Catholic-Protestant Debates during the Korean Empire Period: An Analysis of “A Fortuitous Dialogue” in Bogam
『보감(寶鑑)』의 ‘우연히 수작’을 통해 본 한말 천주교와 개신교 논쟁
『보감(寶鑑)』의 ‘우연히 수작’을 통해 본 한말 천주교와 개신교 논쟁
J. Daesoon Acad. Sci. 2025;53:273-304.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27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3.0.2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