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of Articles
The Journal of Daesoon Academy of Sciences. Vol. 52, 2025
연구논문
A Development Plan for Siru-san Trail in Jeongeup City, Jeonbuk Province (Tentatively Named ‘Trail of Mutual Beneficence’)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루산 둘레길, 가칭 ‘상생길’, 조성 방안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루산 둘레길, 가칭 ‘상생길’, 조성 방안
J. Daesoon Acad. Sci. 2025;52:1-39.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
Exploring the Research Trends of the Journal of the Daesoon Academy of Sciences through Keyword-centered Network Analysis
주제어 중심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순사상논총』의 연구 경향 탐구
주제어 중심의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대순사상논총』의 연구 경향 탐구
J. Daesoon Acad. Sci. 2025;52:41-72.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4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41
A Study on Muwi-ihwa and Its Religious Implications in Suwunist and Jeungsanist Thought
무위이화(無爲而化)에 대한 수운과 증산의 사유와 종교적 함의
무위이화(無爲而化)에 대한 수운과 증산의 사유와 종교적 함의
J. Daesoon Acad. Sci. 2025;52:73-110.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73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73
The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Daesoon Jinrihoe in East Asian New Religions: A Study on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Its Religious Practices
동아시아 신종교문화에서 대순진리회의 종교실천적 특징: 중국 일관도와 일본 천리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동아시아 신종교문화에서 대순진리회의 종교실천적 특징: 중국 일관도와 일본 천리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J. Daesoon Acad. Sci. 2025;52:111-150.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1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11
A Study on the Mind Theories of Heo Yu from the Hanju School and Park Chi-bok from the Seongjae School
한주학파 허유와 성재학파 박치복의 심론 고찰
한주학파 허유와 성재학파 박치복의 심론 고찰
J. Daesoon Acad. Sci. 2025;52:151-186.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51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51
The Coexistence of Chinese, Xianbei-nomadic and Western Region Cultures and Their deviation in the Hebei Region During the Eastern Wei and Northern Qi Dynasties
동위·북제시대 하북(河北) 지방 한인(漢人)의 다문화 공존과 그 양상: 선비문화(鮮卑文化)와 서역문화(西域文化) 수용과 그 편차
동위·북제시대 하북(河北) 지방 한인(漢人)의 다문화 공존과 그 양상: 선비문화(鮮卑文化)와 서역문화(西域文化) 수용과 그 편차
J. Daesoon Acad. Sci. 2025;52:187-224.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8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187
Acceptance and Transformation of Zhu Xi’s Academic System in Daesoon Thought
대순사상에서 주자(朱子) 학문 세계의 수용과 변용
대순사상에서 주자(朱子) 학문 세계의 수용과 변용
J. Daesoon Acad. Sci. 2025;52:225-263.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22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225
On Shin Hudam’s Critique of Mohism: The Mohist Section of Palgachongpyeong
하빈 신후담의 묵가 비판론: 『팔가총평』 묵가류
하빈 신후담의 묵가 비판론: 『팔가총평』 묵가류
J. Daesoon Acad. Sci. 2025;52:265-295.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265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265
The Necessity of Registering Korean Rice Farming Songs as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and Its Concrete Alternatives: Sunchang Geumgwa-Deulsori as a Case Study
한국민요 논농사노래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필요성 및 제안 고찰: 순창농요 ‘금과 들소리’를 중심 사례로
한국민요 논농사노래의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등재 필요성 및 제안 고찰: 순창농요 ‘금과 들소리’를 중심 사례로
J. Daesoon Acad. Sci. 2025;52:297-327.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297
HTML
PDF
PubReader
https://doi.org/10.25050/jdaos.2025.52.0.297